In most cultural contexts, consuming ethically is socially desirable and reporting favorable attitudes is relatively cost-free. Thus, consumers have incentives to state favorable attitudes toward ethical products despite barriers to actual purchase. This attitude-behavior gap in ethical consumption presents a global challenge to socially responsible marketing (Carrington et al., 2010, 2014, 2016). Several explanations for this gap have been offered. The current research draws from these explanations and—based on literature in psychometrics and attitude formation—develops a novel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 (AMP; Payne et al., 2005). We aim to capture consumers’ implicit ethical product attitudes which have otherwise evaded marketers (Zollo, 2021). Further, using samples of consumers in both the US and Italy,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predictive power of this measure in predicting consequential ethical consumption choices. We conclude with a proposal for additional studies to further validate the procedure in more ecologically valid contexts.
Consumer arrogance is conceptualized and defined by Ruvio & Shoham (2016) as people's proclivity for demonstrating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acquisition, utilization, or display of consumer goods. This new notion rooted from the symbolic meaning of consumption that suggesting consumers use products as symbols to create self-identity, to maintain their self-concept, to express their self, to convey personal and social achievements and to reflect their social status to others (Holman, 1981; Belk, 1988; Hirschman & LaBarbera, 1990). This research examines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 Ruvio & Shoham‘s (2016) consumer arrogance scale in Turkey and Romania. Data were collected from 192 Turkish and 176 Romanian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four-factor solution. The scale demonstrates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within the two countries and across countries. The cross-cultural validation tested via configural, metric and covariance metho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er arrogance scale is consistent across countries and it can be established as a second order construct. The nomological validity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s support that consumer arrogance is predicted by materialism in both countries. This cross-national study extended consumer arrogance scale in a collectivist cultural setting and contributes to enriching cross-cultural validation research as well as consumer behavior understanding.
The Consumer-Based Brand Equity (CBBE) literature has, in recent years, introduced various CBBE models and measurement scal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two prominent CBBE models in the fashion retail industry; those introduced by Yoo and Donthu (2011) based on Aaker (1991)’s CBBE concept and Nam et al. (2011). In order to make this compariso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85 respondents in Turkey. Research findings show that Nam et al.’s (2011) CBBE model is, in the fashion industry context, the more reliable and valid. When the concept of “brand awareness” is included in this model,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odel are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Dunn 등(2006)의 스포츠 다원적 완벽주의 척도(Spor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Sport-MPS)에 기초하여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746명의 남녀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다집단 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최종 확정된 4요인 25문항(개인적 기준, 실수에 대한 염려, 부모의 압박, 교사의 압박)에 대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학교, 무용경력 및 무용전공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시간적 안정성도 양호한 측정도구로서 확인되었다.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의 결과 대학생과 경력이 많은 학생이 고등학생과 경력이 적은 학생보다 교사의 압박과 실수에 대한 염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Elliot와 McGregor(2001)의 2×2 성취목표 모델을 스포츠 맥락에서 검증하기 위해 한국형 2×2 스포츠 성취목표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교와 대학의 남녀 운동선수 1,743명(남자=713명, 여자=6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스포츠 맥락에서 2×2 성취목표의 요인구조를 뒷받침하였으며, 2×2 스포츠 성취목표 검사지와 스포츠 목표성향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수렴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성별, 학교급 및 종목특성별에 따른 구인 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성별과 학교급별간 하위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종목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2×2 성취목표 검사지는 남녀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적 변인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적절한 측정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의 핵심개념인 인간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를 체육수업 상황에서 측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박중길과 김기형(2008)이 개발한 운동선수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에 기초하여 중고등학생용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일련의 문항수정과 예비검사를 통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기본 심리적 욕구를 측정할 수 있는 3요인 12문항의 최종 척도를 구성하였다. 남녀 중고등학생 1,033명에게 두 차례의 본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 각각 척도에 대한 내외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와 일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다집단 분석의 결과 체육 기본심리적욕구 척도가 남녀 중고등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개념적 구조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평균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세 가지 욕구 수준이 높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자율성과 유능성 욕구가 낮지만 관계성 욕구는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