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1.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대일로’ 연선에 위치한 53개국의 데이터를 선정하여 중 국의 해외 직접 투자(FDI)와 수출입 무역 관계에 대한 일대일로 이니셔 티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미·중 패권 경 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수립한 대외 전략 이다. 이는 중국 중심의 거대한 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동기로 시 작되었으며, 더 나아가 위안을 기축통화로 삼아 달러 패권에 도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의 효과성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가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와 수출입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직접 투자는 중국의 수출입 무역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와 수출입 무역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6,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of ASEAN countries. This study also discovered impacts of other factors such as labor force, trade openness,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domestic credit, and pandemic on economic growth. We used country panel data during the period of 1998-2021 from nine ASEAN countries including Brunei Darussalam, Cambodia, Indonesia, Lao PDR,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Data were collected from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of the World Bank and UNCTAD database. Estimation results from fixed effects models showed a consistency in terms of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between two outputs (GDP per capita and national GDP). This study found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the ASEAN region. Moreover, control factors also impacted economic growth positively, except for COVID- 19 v ariable, w hich h ad a n egative impact. Labor force had the strongest impact, followed by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COVID-19, and bank credit.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ASEAN policymakers are suggested.
        4,500원
        3.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연구들은 열망 수준 대비 성과하락이 다국적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 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도, 이러한 관계의 경계 조건을 충분히 탐구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수준의 연구개발(R&D) 집중도와 매출 총이익률이 열망 수준 대비 성과하락과 다국적 기업 의 해외직접투자 입지 선정 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들 이 일반적으로는 성과하락을 경험할 시 단기적으로 효과적인 성과 향상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투자 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R&D 집중도와 매출 총이익률이 높은 기업들은 단기적 성과 회복보다는 혁 신 역량 개발, 제품 차별화와 같은 장기적인 전략적 목표를 우선시하고 있기에 성과 저하에 대응하 여 선진국 대비 개발도상국에 투자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개발도상국 이 안정적인 시장 환경과 고부가가치 기회를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제공하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 다국적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활동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성과하락이 특정 투자 유형으로 일관되게 이어지지 않으며, 기업 의 전략적 지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다국적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입지 선정 맥락에 서 강조하여 기존의 성과 피드백 연구와 국제경영 문헌에 기여한다.
        8,100원
        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글로벌 정치․경제 환경의 대전환으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재산업화 전략’으로 제조업 회복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도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제조업의 질적 발전과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 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가운데 첨단기술 산업의 비중을 중국 제조업 고도화의 지표로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20년까지의 17개년도 중국 31개 성(省)별 패널데이터로 고정효과 모형과 FGLS 모형 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전체와 중국의 동부, 중부, 동북 지역, 장강경제벨트는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부지역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FDI가 중국 제조업 고도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존재 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중국 정부의 IFDI를 통한 지역 균형 발전정책이 중부와 동북 지역에 대 해서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중국 서부지역에 대해서는 IFDI를 통한 첨단기술 산업 고도화의 정 책 목표와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통제변수로 활용된 변수인 수출과 수입으로 측정된 개 방정도와 첨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제조업 고도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 타나고 있다.
        5,5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ort and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Korea and ASEAN, and to derive cooperation pla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ASEAN Free Trade Agreement (FTA) in 2007, economic cooperation has been expanded. From 2007 to 2021,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o ASEAN countries increased by about 7.55% annually. As ASEA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conomic partner, cooperation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as also strengthened. Between 2007 and 2020, the size of Korea's ODA to ASEAN countries also increased by about 11.63% annually.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values in the agriculture sector, FDI and ODA, the gravitational model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DI and ODA affected agricultural trade. The results imply that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between Korea and ASEAN should be mad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de (agricultural product trade)-cooperation (ODA)-investment (FDI) Nexus.”
        4,000원
        6.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is the cross-border capital flow with the objective of the long-term association having at least a ten percent stake in the equity of the host country firm. In the case of new investment, the total equity is OFDI.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OFDI in the context of China. The lasting interest is considered 10% equity, thereby saying that if the cross-border investment is at least 10% of the equity share capital, the investment would be considered FDI; if below 10%, it is considered to be a Portfolio Investment. We have applied a more emic approach and discussed the determinants of multinational companies (MNCs) from China. Using an exploratory and qualitative approach, case studies of Chinese MNCs are discussed. Secondary data is utilized to obtain a closer insight into the determinants of OFDI from Chinese MNCs. At the end of this paper, suggestions for OFDI policymakers and study limitations are discussed. This research makes recommendations to the Chinese government regarding OFDI in connection with their economic development.
        5,200원
        7.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13, China unveiled its dream of retrieving the ancient Silk Road by undertaking massive infrastructure projects and adding value to ports around the Silk Roa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RI”) refers to China’s proposed Silk Road Economic Belt and Maritime Silk Road This big project has recently been accepted by Nepal. Nepal has its ow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laws and polic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se laws and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BRI. The specific objective i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BRI in Nepal and the major challenges for its implementation in reference to Nepalese FDI laws and policies. The essence of BRI is to promote regional and crosscontinental connectivity between China and other countries along the Belt and Road. The BRI is relevant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its associated countries. Trans-Himalayan connectivity, political transition of Nepal and property right of Nepal is the leading challenges for BRI implementation in Nepal.
        6,100원
        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f Republic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s Shaanxi province has increased rapidly, which drives the trade growth between Shaanxi and Republic of Korea and makes South Korea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Shaanxi province.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is economic phenomenon, but few people focus on the promotion of Republic of Korean direct investment on Korean Language talent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is region. This study takes Shaanxi Baoji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s as the case, adopts case analysis method, and points out the promotion effect of direct investment of Republic of Korean enterprises (FDI) o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al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cond foreign language teaching, international exchange, faculty reserve and foreign student education in this university. At the same time, combined with the theoretical basis of linguistic economics and research results, this paper reveals the internal mechanism of FDI and language talent education, which has certain practical guiding significance to the policy makers for the language policy making and to the language learners for promoting their learning motivations.
        4,900원
        9.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진출 다국적기업의 후속투자 의사결정이 자회사 수준에서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밝 혀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회사의 입지 특성, 자회사의 현지화 수준 특성, 자회사의 지배구조적 특성이 후속투자 의사결정의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관점 하에서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외국인직접투자로 등록된 기업 중 2008년부터 2011년 까지 투자가 이루어진 468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10년간 기업 연도별 불균형 패 널 데이터, 4,114개 관측치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Hausman-Taylor 도구변수 방법론(HT-IV 추정)을 사용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다국적기업의 현지 자회사가 클러스터에 입지할 경우 후속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둘째,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후속투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셋째,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CI가 투자대상국을 연상하게 될수록 후속투자 가능성이 높아지며, 넷째, 다국적기업 현지 자회사의 관계사간 거래가 적을수록 후속투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 국적기업 자회사의 최대주주가 자연인이 아닌 법인격 실체를 가질수록 후속투자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6,900원
        10.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간과되어온 연구영역, 즉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및 기술수준의 차이가 현 지기업으로의 지식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직접투자 동기를 상이한 두 가지 유형(시장지향형 및 수출지향형 직접투자)으로 나누고, 산업을 기 술수준별로 구분한 후, 현지기업으로의 지식확산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본 연구는 예 상했던 두 가지 사안이 모두 지식확산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 실증결과를 근간 으로, 본 연구는 실용적인 경영 및 정책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6,600원
        1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년 중반이후 특히 2006년부터 중국의 가공무역 제한조치가 확대되고, 제11 차 5개년 규획(2006-2010년)에 따라 자국의 소재 및 부품산업을 육성하고자하는 정책이 본격 적으로 시행됨으로써 기존의 해외직접투자유입과 수입 간의 관계가 계속해서 성립하는지 실 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1993-2014년까지의 총 연구기간을 1993-2005년까지 와 2006-2014년까지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보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 수입을 중간재 수입, 최종재 수입, 총 수입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1993-2005년 기간 동안의 분석결과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유입의 증가는 중간재 수입과 총 수입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2006-2014 년 기간 동안의 분석결과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유입의 증가는 오히려 중간재 수입을 감소시켰 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 기간의 분석결과와 완전히 상반된 것으로 2006년부터 강화된 일련의 정책들로 인해 해외직접투자유입의 증가와 동반되던 중간재 수입의 증가가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4,900원
        1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13,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put forward to build “Silk Road Economic Belt”and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One Belt One Road). “One Belt One Road” would also directly contribute to the continues growth of China's FDI. FDI is one of the key issues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all around the worl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Korea economic, the FDI between Korea and China is particularly attracting extensive attention. In this paper, by using South Korea to China's FDI as a carrier, the determinants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has been studies under conditions of both practical evidences and experience. In the aspect of practical evidence, green data KTL is introduced timely along with the use of PANELDATA data, which is the product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 green economy, knowled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been imported to econometric model as determinants. On the other hand, the FDI from China to Korea has been analyzed while with its successful experience. Results shows that GDP (market and the scale of economies), TIEC (Industrial clusters and regional attraction), WAGE (cost and factors), KTL (knowledge innovation and technology) are the determinants of South Korea to China's FDI. Selecting the target stage by stage, implementation of the Chinese localization, taking resource-oriented and making reasonable choice of business focus, concentrating its attention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patent protection is South Korea's successful experience to outward FDI.
        4,800원
        13.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regionalisation in the endeavours of emerging economies to connect successfully to the global world economy. In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it summarizes connecting theories,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Economics, Sociology (Granovetter, 1990; Li, 2003; Das, 2005; Yaquing, 2011) to discuss relationship-based versus rule-based governance as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ASEAN business environm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s applied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of ASEAN-6 countries within global trade and FDI in 2000-2012. We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examined in a broader context as ASEAN+3 (APT) did contribute to the greater integratedness of her member countries; and they have created a regional image with a common market, production base and exporting platform. Such achievements, however, can be in great part attributed to the micro-level activities of international and regional firms.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marketing strategies of global companies are analysed based on empirical results in the literature to identify how they act in the ASEAN business environment when entering or expanding their presence. Two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of the region, the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characterised by fierce competition of Japanese and Korean manufacturers) and the Japanese dominated automobile industries are highlighted including the marketing mix elements of major market players. The Korean success can be attributed more to the relationship element, than the price factor. Upgrading of the maintenance service, sales and distribution network responding to local needs has been in focus. Rebuilding, restructuring of the entire ASEAN production/supply networks of corporations are expected to prepare for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2015 environment. Localised products are designed for regional demand to obtain a competitive edge (Kabe, Ushiyama & Yamada, 2012). The first mover advantage of the Japanese car manufacturers has been kept since the 50’s through continuous product innovation with accelerated efforts into designing and manufacturing regional brands with cautious price-setting in recent years.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in marketing strategy of ASEAN-based companies investing abroad depending on the economic development level of their home country. Singaporean companies rely more on differentiation benefits, technology, product innovation, apply greater ODM/OBM (own design manufacturing, own brand manufacturing) than Malaysian ones (Sim, 2012). Movements in trade and FDI can also be observed in the evolving Asia-Europe interconnectedness with considerable scope for expansion. Our research identified promising examples of internationalizing SMEs beside the global players, which can be a further route to bridge Asia to the worl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cultures (Hofstede, 2005), SMEs have been selected with presence both in the ASEAN and Visegrad four, the so called V4 countries (Hungary, Slovakia, Czech Republic, Poland) for case studies. The still very few investment cases of the V4 countries in Southeast-Asia base their marketing strategy on product or service innovation using strongly relationship elements. The research intends to shed light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ASEAN and EU-based start-up and mid-size companies when they invest in each others’ region.
        14.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국가 수준과 기업 수준에서 분석되어 왔으나, 사외이사의 특성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사외이사의 특성과 기업의 전략적 선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리인이론과 자원의존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접근하였으나, 자원기반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미천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자원기반관점에 근거하여 한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사외이사의 해외경험과 사외이사의 사회적 자본으로 상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해외직접투자 규모에 대한 사외이사 특성의 영향력이 재벌기업과 비재벌 기업 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47개국에 투자한 한국 상장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금액을 종속변수로, 사외이사의 해외경험, 그리고 사외이사의 사회적 자본을 독립변수로 하여 패널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샘플에서 사외이사의 사회적 자본이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외이사의 해외경험은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벌기업과 비재벌기업으로 구분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벌기업의 경우 사외이사의 사회적 자본이 해외직접투자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며, 비재벌기업의 경우 사외이사의 해외경험이 해외직접투자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7,000원
        1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노동시장 유연성과 외국직접투자에 대한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어떤 유형의 노동시장이 유연하고, 어느 정도의 유연함이 가능하며, 어떤 종류의 정책들이 유연한 노동시장에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분석은 크게 대륙법과 영미법으로 구성된 법체계에 근거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비교는 고용과 노동시장이 얼마나 강하게 규제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많은 나라들은 경제가 어려울 때, 어떠한 노동정책들이 그들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려해야 할 선택의 순간이 온다.일반적으로, 대륙법계 나라의 노동시장은 성문화된 고용과 노사관계법 그리고 고용법규정의 강행성으로 인해 매우 경직된 상태이다. 반면, 영미법계의 나라들은 판례나 임의고용원칙으로 인해 좀 더 유연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제하에, 이 논문은 대륙법계와 영미법계나라들이 노동시장 유연성과 외국직접투자사이의 관계에 관하여 상이한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검토하게 된다.사실상, 영미법계나라들의 노동시장은 대륙법계나라들보다 외국직접투자를 더 많이 끌어온다. 그러나 본 논문은 특정한 나라들이 많은 외국직접투자를 가져온다면, 사용자측면의 노동시장 유연성이 지속적으로 제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바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의 노동시장이 안정적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나라들이 근로자측면의 노동시장 유연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17.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거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중국에 생산기지를 대거 구축하기 시작한 것은 국내 환경변화에 대응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불가피한 선택으로 중국으로 진출한 우리 중소기업들이 모두 성공적인 결실을 거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많은 기업들이 중국 투자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이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중국 투자 후 3년 이내에 청산이 높게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투자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진 후 결정하기보다는 한 두 번의 출장으로 인건비에서의 단순 비교만을 통한 성급한 투자 결정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중국의 투자환경 또한 중국 경제의 변화만큼이나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 상황 역시 중국 현지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경쟁적인 진출로 세계의 공장이 되면서 거의 전 부문에서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수익이 발생하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복제품이 등장하고 후발업체의 새로운 진입이 급증하여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른 공급과잉 심화와 저가 출혈경쟁이라는 악순환은 기업들의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한 수익성의 악화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퇴출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우리 중소기업들은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고, 투자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동력지향형 중국 투자 전략도 타격을 입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 중소기업들은 기술경쟁력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무조건 싼 노동력만을 찾아 다른 낙후 지역으로 눈을 돌리기에 앞서, 임가공 기지로서의 중국 투자는 한계에 봉착하였음을 빨리 파악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한국 본사와 역할 분담하여 중국에서 제3국으로의 수출비중을 줄이고, 세계 최대 시장 가운데 하나인 중국에서의 생존을 위해 부단한 기술개발에 매진하여, 그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고 하겠다. 또한 중국 투자를 준비하거나 향후 중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현장답사 뿐만 아니라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에 이미 사업을 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을 방문하여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국의 투자환경과 중국 정부 정책이 이미 과거와는 달리 외자기업들에게 우호적이지만은 않다는 사실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6,4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