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positive effects placed on peer groups and improvements of group cohesion by composing social groups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y determining the possib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co
        10,200원
        3.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189 male athletes playing soccer, rugby and water polo 1) to demonstrate the presence of the team-serving bias and thereby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ausal Dimension Scale for Teams (CDS-T), a measurement tool of team attribution, and 2)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hesion on the team-serving bias. Results: A team-serving bias was found in the locus of causality, stability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of team attribution, thus validating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tudy. Further,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group cohesion and team-serving bias was verified vi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irec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as shown in the interaction graphs, indicated that the team-serving bias was higher for Individual-centred Task-oriented cohesion and Group-centred Task-oriented cohesion. Conclusion: we have shown that the team-serving bias tends to be stronger when group cohesion is higher. Further, we found tha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group cohesion,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of task cohesion but not of social cohesion.
        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교축구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대회 성적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간 관계를 세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축구연맹전에 참가한 18개 팀을 대상으로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을 측정하였고 팀 성적에 대한 자료는 팀별로 참가한 게임 수가 동일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총 승점을 경기 수로 나눈 게임 당 승점으로 처리한 후, 고교축구연맹전 이전까지의 팀 성적을 사전 성적, 고교축구연맹전 팀 성적을 사후 성적으로 구분하였다. 빈도 분석, 상관 분석 및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사전사후 성적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 수준에서는 양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관계 모형의 각 변인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적과 사회 응집력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 응집력은 사후성적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한 집단 응집력 및 집단 효능감 연구에서 과제 응집력과 사회 응집력 차원의 분리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아울러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의 수행에 대한 상호 매개역할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볼 코치의 리더십 유형과 성원만족, 성취동기 및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전국 10개 팀의 등록선수 중 동일한 코치와 동일한 팀에서 1년 이상의 소속 경험이 있는 선수 전원을 대상으로 선수의 개인적 특성, 코치의 리더십 행동유형, 성원만족, 성취동기, 집단응집력에 관해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법 그리고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선수의 개인적인 특성은 성원만족, 성취동기,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코치의 리더십 행동유형은 성원만족과 성취동기를 통하여 집단응집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관련 변인 간에 인과적인 관계가 내재해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