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2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중국 대륙 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주류 문학이자 소수자 문학으로 인식되어왔던 홍콩이나 대만문학, 또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인(華人)들의 화문문학(華文文學)에 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필자는 홍콩작가 예쓰(也斯)의 작품을 통해 과거 식민지 홍콩에 대한 기억과 흔적들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70년 대 홍콩 정부가 시행한 사회개혁안 중 도시개혁으로 인해 사라져버린 특정 장소나 건물에 대 한 개인의 기억과 생각들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 자는 식민지 홍콩이 중국 대륙의 정치, 사회, 문화와는 상당히 다른 자신만의 독자성과 로컬 적 특징을 어떤 식민지 역사적 과정을 통해 형성시켜왔는지 개인의 기억을 통해 살펴봄으로 써, 동시에 홍콩 문학 역시 그만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홍콩은 서로 다른 문화가 섞여서 만들어진 곳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문화가 단순히 혼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문화가 섞여서 제3의 새로운 성질을 지닌 어떤 곳으로 재탄생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예쓰가 그의 작품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홍콩이다.
        4,900원
        2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the catastrophic financial crisis in of 2008,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egal academia in the globe has started to concentrate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w, financial stab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eviewing the voluminous literature in this field, it is figured out that the scope of law has been largely confined to strengthening regulation of the pre-crisis unbundled derivative transactions and enhancing cooperation among sovereign States by making formal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Few discussions have been made to scrutinize the existing regulatory structures for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s of sovereign countries and demonstrate the potential possessed by informal international law in reinforcing the efficacy of these regulatory structures. By comparing the financial regulatory structures in Hong Kong, Mainland China, the UK and the US and the core principles of the BIS, the IOSCO and the IAIS,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in the above research gap to some extent.
        5,500원
        2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쌀 수급상황을 볼 때 생산은 유지되고 소비는 줄어들며 외국산 쌀 수입은 늘게 되어 공급과잉이 전망되므로 관세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수출시장 개척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연구는 최근 한국 쌀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의 쌀 유통실태를 조사하여, 우리 쌀 수출 확대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코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한국 쌀은 지난 2007년 566톤 수출을 시작으로 조금씩증가하여 수출국 수는 40여개 국가로 늘어났다. 쌀 시장이 관세화 되면 최소한 TRQ(409천톤) 물량이 국내시장에 영향을미칠 것이므로 국내 쌀 소비확대와 더불어 수출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2. 한국 쌀 주요 수출시장인 말레이시아와 홍콩 시장의 쌀유통실태와 교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시장개척 초기단계에서 장기간 운송에 따른 품질관리와 가격경쟁력 등 문제점도있으나 쌀 시장의 선호도를 잘 파악하여 시장을 공략해 나가면 점진적으로 시장 확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3. 말레이시아에서 한국 쌀 가격은 비싸다(68.0%)와 아주 비싸다(9.3%)가 적당하다(25.3%)보다 많았고, 한국 수출 쌀의 품질은 아주 좋다(4.0%)와 좋다(28.0%)는 의견보다 보통이다(65.3%)가 많았다. 쌀 품질의 문제점으로는 품질이 일정하지않다(30.7%) 등을 지적했다. 수출 쌀의 개선점으로는 가격 저렴화(46.7%), 품질향상(18.7%), 마케팅(12.0%) 등이었다. 4. 홍콩의 경우 한국의 고품질 소포장 쌀이 교민시장을 넘어 현지 고급 수퍼마켓에서 일본, 미국, 호주 쌀과 경쟁하고있는데, 일본산 다음으로 높은 가격을 받으며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일일생활권인 마카오시장까지 포함해서 포장재개선과 판촉활동 등 자포니카 쌀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 5. 앞으로 한국 쌀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최고품질과 안전성으로 승부하는 고가미 시장과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중저가미 시장 등 2-트랙 전략이 필요하다. 품질을 기본으로 하면서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과제이며, 한국 쌀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강화도 중요하다. 6. 잠재적 수출시장에 한국 쌀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정보도 체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수출용 쌀 통합브랜드 개발과 엄격한 품질관리, 장기유통을 위한 포장재 개발, 수출전문 생산단지 조성과 전문 업체 및 인력육성도 필요하다. 쌀관세화로 수출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므로 차후에도 우리 쌀 수출시장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과 시장개척 등 정책적 관심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24.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unveils the strong competition in container cargo between Hong Kong Port which has been emerging as an international maritime center since the 1970s and Shenzhen Port which has recently gain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Among various competing strategies, the study focuses on the long-term one in which two ports will decide to compete by investing in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suggest future strategic ac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Within its scope, only economic profit brought back from the investment is considered. For this reason, an uncertain payoff two-person game model is developed where an uncertain factor of demand is involved. In applying Uncertainty theory (Liu, 2013), the two methods to solve the game are introduced, including uncertain statistics and the expected Nash Equilibrium strateg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generate meaningful suggestions for future competition plan for the two selected ports, which conclude that Shenzhen is the dominant port in this long-term strategy. Compared to existing works on the same topic, the paper shows its distinctiveness by studying the latest competitive situation with regard to the uncertain demand in the game model.
        4,300원
        25.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과 마카오 지역에서 시행되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시행되는 모든 교육은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출판되는 신문과 잡지 또한 대부 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 지역과 중국 대륙 사이의 교류가 점점 활발해 짐에 따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간화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 며, 여러 곳에서 번체자와 간화자가 함께 사용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홍 콩고시평가원에서는 공개적으로 공식적인 시험에서 표준화된 간화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확히 표명하여, 홍콩의 중학생들의 학습과 한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 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홍콩대학생의 간화자 사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조 사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2백여 개의 상용 간화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 능력을 조사하였고, 다시 5백 여개의 간화자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능력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 백 여개의 간화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간화자를 올 바르게 쓰는가를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홍콩과 마카오의 대학생들의 간화자에대한 분별 능력과 쓰기 능 력을 보여주었는데, 홍콩과 마카오 대학생 대부분이 중국 대륙의 간화자를 분별하 였으나 한자를 쓰는데 있어서는 종종 홍콩식 간화자, 곧 대륙의 간화자형이 아닌 간화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향후 홍콩과 마카오의 어문 교육에 있어서 참 고할 만한 사실로, 한자쓰기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들에게 홍콩식 간화자를 사용치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말해 주고 있다.
        5,800원
        26.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6,100원
        2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91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의 중국의 상해, 심천 및 홍콩주식시장의 주간 지수자료를 이용하여 중국대륙의 두 시장과 홍콩 시장간 수익률 상호연관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1997년 7월 1일 에 있었던 홍콩의 중국반환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비교하였는데, 상 관분석, 그랜저인과분석 및 GARCH(1,1)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상해 와 심천주식시장은 모든 기간에 걸쳐 상호연관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홍콩주식시장과 중국본토의 주식시장 간에는 홍콩반환 이전에는 상호연 관성이 없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홍콩반환 이후에는 상해주식시장과 심 천주식시장이 홍콩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으며, 홍콩시장 또한 상해 주식시장과 심천주식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해 및 심천주식시장은 홍콩시장에 비해 시장의 충격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을 보였으며, 충격 후 회복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홍콩의 반 환이전부터 상당한 상호연관성을 보인 중국본토의 두 주식시장은 반환 이후에는 홍콩주식시장과 동조화현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400원
        28.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3,358 islands in Korea and about 85% of them are uninhabited islands. Concerning thi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has been seeking not only to settle the fundamental policy on the preservation, th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but also to search the proper types of management suitable for the specialities by inhabited islands. Accordingly, we participated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from May 2012 to January 2013 by MLTM intended for 171 un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Mokpo City, Yeosu City, Jindo-Gun, and Shinan-Gun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uninhabited islands. In this treatise, we report the result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ical research about twenty six uninhabited islands nearby Hong-do island.
        4,800원
        2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로 알려진 김홍도(金弘道, 1745~1806)는 여러 장르의 그림을 남겼는데 그가 성취한 업적은 그가 활동했 던 영조(英祖: 재위 1725~1776)와 정조(正祖: 재위 1777~1800) 년간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꽃피울 수 있었다. 김홍도에 관한 연구는 당대 에 그와 함께 활동했던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을 필두로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추진되어 왔다. 그 결과 김홍도의 생애(生涯)와 작 품세계(作品世界)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진전되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부 분까지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김홍도의 불교 인물화(佛敎人物畵)에 대한 논문이 발표되어 주목된다. 김홍도는 정조의 명으 로 용주사 불화(龍珠寺佛畵)를 제작한 1790년(46세) 이후 급격하게 불교에 심 취한 듯 여러 점의 훌륭한 감상용 불교회화를 남겼다. 김홍도가 그린 감상용 불교회화는 대략 30점 정도가 남아 있는데 그가 겪은 인생 말년의 불행을 종 교적으로 승화시켜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깊은 여운과 감동을 전해 준다. 다양한 분야에서 발군의 기량을 발휘한 김홍도는 주옥같은 명작을 많이 남 겼다. 그 중에서도 특히 김홍도는 여러 점의 도석인물화를 제작했는데「군선 도」같은 신선도는 젊은 시기에 치우친 반면 불교회화는 인생의 후반기에 많 이 제작했다. 김홍도는 46세 때 용주사불화의 제작에 참여한 것이 인연이 되 어 진심으로 불교에 귀의하게 되었다. 김홍도가 인생의 황금기 때 제작한「남 해관음」이나「혜능상매」는 그의 예술적인 기량과 종교성이 합치돼 탄생한 수 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동은 오히려 실의와 병고 속 에서 탄생한「염불서승」과「노승염송」이 훨씬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 은 작가에게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뿐만 아니라 어렵고 힘든 시련조차도 예술 가를 키울 수 있는 자양분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김홍도의 불교 회화는 종교인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7,800원
        30.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대륙이나 홍콩 등의 지역적 구분에 관계없이 “유치원에서 학생들에게 한자 쓰기를 가르쳐야 하는가?”는 오랜 동안 쟁론의 대상이 되어왔다.이에 대해 홍콩교육국에서는 “한자와 어휘 쓰기”를 명확하게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정확히 한자를 씀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문자 쓰기를 통해 표현하도록 하였다. 때문에 홍콩에서의 유치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자 쓰기 교육은 한자 자형의 균형성과 비율, 정확한 필획과 그 형태를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전통적인 한자 모사를 통해 한자의 자형을 학습하는 방법이외에 다른 어떤 방법이 유아들의 한자 쓰기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지가는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있는 연구 과제이다. 이 문제에 대해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쓰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우선 유아들이 “자유로운 쓰기”의 할동을 통해 한자 쓰기를 학습할 수 있는가를 관찰하였고, 이와 동시에 “자유로운 쓰기”와 기존이 “정식 쓰기 연습”이 쓰기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 연구하였다.이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3, 4세 유아들은 아직까지 필순에 따라 안정된 형태의 한자 쓰기를 할 수 없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유아들은 불규칙한 선을 따라 쓰는 단계로부터 천천히 안정된 형태의 한자 쓰기로 변화되는 일련의 과정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초기 단계에서 안정된 형태의 한자자형 쓰기로 넘어가는 단계를 “중간 단계 쓰기 한자 자형(過渡字)”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들의 “중간 단계 쓰기 한자 자형(過渡字)”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정하는 것이 유아들이 한자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필순의 학습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교사들은 “정자”와 “필순”의 문제에 너무 집착하여 유아들이 “외관적 아름다움을 지닌 표준자형”을 쓰도록 강요하고 유아들의 한자 쓰기를 제한함으로써 유아들의 한자 쓰기 능력의 발전을 방해하거나 저해하여서는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중간 단계 쓰기 한자 자형(過渡字)” 사용은 유아들의 문자 독해 능력과 쓰기 능력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임을 인식해야 한다.
        6,400원
        3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홍천강의 생태적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계획 중인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편익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결과물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가 아니기 때문에 가격을 이용한 가치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사용가치 및 비사용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분석하는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지불의사액이 0인 응답자들을 고려한 스파이크 모형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지 인근에서는 가구당 연간 3,300원~4,628원, 비사업지에서는 가구당 연간 1,308원~2,929원의 지불의사가 있었다. 이를 우리나라 전체로 확대할 경우, 홍천강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현재가치로 약 976억 원~2,163억 원에 이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언문의 한자․어휘 교육은 중학교 중문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전에 홍 콩의 중학교에서 시험을 치르었던 아니던 간에, 문언문은 최근 중학교 졸업시험에 서 그 지식과 이해가 포함되고 있으며, 중국 어문교과의 읽기 교과에서도 일정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소홀히 할 수 없다. 그러한 가운데 학 생들이 효과적으로 문언문 한자․어휘를 분석하고 습득하게 교육시킬 수 있는 전 략과 방법은 바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를 위 해 본고에서는 필자 개인의 경험과 홍콩의 문언문 읽기 교육의 실제를 결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탐구해본다. 우선 홍콩의 문언문교육의 발전을 회고하여 보고, 이전의 문언문 교육이 가졌던 난점을 개괄한 후, 고대 한어 의 어법적 특징에 집중하여 몇 가지 문언문 교육에서 효과적인 방법과 전략을 제 시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문언문에서의 한자와 어휘와 대한 인식과 이해, 흥미 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5,500원
        3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破讀即別義異讀,屬於一字多音多義現象。一般來說,我們要通過翻查字典,了解某字有沒有破讀的情況,方能準確掌握這個字的形、音、義等資料。不過,觀乎香港通行常用字典對破讀字的處理,卻存在不少差異。本文以《粵音韻彙》、《中華新字典》、《李氏中文字典》、《常用字廣州話讀音表》、《商務新字典》、《粵音正讀字彙》、《廣州話正音字典》等香港通行常用字典為例,選取並剖析一些涉及破讀問題的字例,藉以探討這些字典對破讀字的處理準則。
        3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文言文的字詞教學是中學中文教學的必要組成部分。不論在以往的香港中學會考,還是在剛推行的中學文憑試當中,文言文篇章的識讀和理解,在中國語文科閱讀卷別中均佔有一定的比例,其重要性不容忽視。其中,培養學生有效地掌握辨析文言字詞意義的策略,正是提升學生文言文閱讀能力的重要關鍵。傳統的文言文教學,較強調要求學生記誦及掌握文言常用詞的意義及用法,雖有一定成效,然而由於古漢語常用字為數甚多,也為學生的學習帶來相當大的負擔;與此同時,學生往往由於文字障礙及古今文化隔閡造成的心理距離,削弱了閱讀文言的興趣,長遠來說更進一步影響他們的文言理解能力。為此,本文嘗試結合筆者個人的教學經驗及香港的語文教學的實際,針對香港中學文言文教學的難點,探討具實踐性的教學策略:(1)增字成詞法:把握古漢語較多單音節詞的構詞特點,增字成詞,把文言字詞轉換成學生熟習的現代漢語詞語,強化辨析和記憶字詞的效果;(2)偏旁歸類法:善用漢字偏旁與字義的對應關係,適當歸類偏旁相同的字詞,有利於辨析和把握同、近義詞,減少閱讀文言文的障礙;(3)辨析通假字;(4)掌握虛詞的運用;以及(5)辨析倒裝句等等。期望通過掌握上述的文言文閱讀策略,學生在閱讀和理解文言文時能夠觸類旁通,以簡馭繁,掃除文字障礙,從而提升認讀及理解文言字詞的能力與興趣。筆者也希望藉此能拋磚引玉,分享經驗,為語文教師提供一些教學借鑒。
        35.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香港教育當局自上世紀九十年代起開始積極推動資訊科技學習,然而電子學習是否會影響小學生執筆書寫漢字的表現?電子學習與執筆書寫二者之間有何利弊一直沒有受到學者的關注。是次研究以兩所小學四班小五學生合共80人為研究對象,透過錄影及分析學生在書寫上下結構、左右結構、全包圍結構、半包圍結構等字的表現,測量比較電子學習班和控制組學生書寫漢字的筆順習慣和錯字的情況有何不同。研究數據包括學生默書、作文、工作紙等課業的文本分析,並配合書寫漢字小測試及訪談等形式,以期分析電子學習對香港小學生書寫漢字的影響。 
        36.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記敍文是香港非華語學生學習中文的基礎文類。本研究以60位分別接受主流中文課程和調適中文課程的非華語學生為對象,選取他們參加香港大學「學生支援計劃」的記敍文前測和後測共120 篇文章,以系統功能語言學為理論框架,分析學生在通篇層次、句子層次和字詞層次的表現,藉此比較兩組非華語學生中文書寫能力的差異,並探究「學生支援計劃」提昇非華語學生中文水平的成效。
        37.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umber of non-Chinese speaking (NCS) students in Hong Kong is increasing year by year. Their needs for education are increasing too. The educators and their NCS parents very concern how well these NCS students can adopt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Hong Kong, and have better academic performance, especially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Researchers believe that if the NCS students can learn Chinese language as earliest as possible, like in kindergarten stage, they can catch up with the local Chinese language curriculum requirement and standard much easier. Researchers worked with three kindergartens, and designed school-based Chinese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for these NCS young students. The curriculum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NCS you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strengthen their Chinese character learning ability and also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fter one-year teaching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se NCS young students’ was very impressive. They have great improvement in the learning of the sound, shape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presentation will report the research findings.
        38.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을 시작으로 홍콩에서는 334라는 새로운 학제를 시행하였는데, 이는 3년 의 중학교, 3년의 고등학교, 4년의 대학교 제도이다. 홍콩의 교육국은 이러한 새로 운 중등교육과정을 발전시키기 위해 『中國語文課程及評估指引(中四及中六─ 定稿)』제시하고, 지금의 학습과정을 다시 9개의 학습범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전면적이면서도 균형잡힌 학습 능력”을 배양하려는데 그 목적 이 있다. 그러나 간화자, 이체자 등의 기본적인 한자 지식이 학습의 중점적인 부분 으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용적인 한자의 지식을 가르쳐야 하는 책 임은 상급학교의 실용 중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학술계는 대학에서의 실용적인 중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토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홍콩의 부학위(Sub-degree Programme)에서의 중문 교육과정에도 간화자 등의 한자지식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은 간화자 읽기와 쓰 기의 능력을 교육받고 있으며, 이는 중학교 과정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빠듯한 일정으로 인해, 상관되는 한자지식을 습득하는데 여전히 부족 하며, 학생들은 여전히 표준화된 한자의 사용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약하다. 중국과 홍콩의 접촉이 더 활발해 질수록, “한자”는 두 지역이 소통하는데 중요한 도구 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이것이 홍콩의 학생들의 표준 한자 학습을 중시해야 하 는 이유이다. 신학제는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이는 한자 교육에 있어 매우 좋은 기회이다. 본문은 홍콩의 부학위 제도 속의 실용 중국어 수업을 통해, 부학위 제도 속의 중국어 교육의 현황과 위상을 살펴보고, 그 특색과 기능, 효과 뿐 아니라 중 문 과정과 관련된 과정, 교재, 교수법 등을 분석하고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5,100원
        39.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를 안다는 것은 읽기와 쓰기가 기초가 된다. 때문에 한자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중요한 임무이다. 한자는 중국어를 기록하는 문자이며, 매 글자는 자음을 가지고 있어 읽기가 되며, 현대 중국어의 언어 특질인 단음절로 되어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據形標音』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한자는 또한『以形示義』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곧, 한자의 형음의는 단음절을 그 속에 감추어서 『據形標音』과 『以形示義』의 특징들이 서로 결합되어 한자를 음과 의로 구성된 의음문자 (意音文字)로 만들기 때문에 형과 음, 의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질 수 없다. 때문에 교육적 관점에서 본다면 한자에 포함된 형음의 세 요소는 한자교육의 목적이며, 1개의 한자를 학습한 이후에 새로운 한자의 형음의가 대뇌 속에서 서로 긴밀한 연결 고리를 가진 것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자형을 보면 자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자음과 자의를 알면 자형을 쓸 수 있어야 하며, 형음의를 완전히 습 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이론 가설은 70년대 스웨덴 쿠텐버그 대학에서 제기한 현상지도작성법(Phenomenography)을 이용한다. 이 이론은 인류가 현상과 사물의 접촉의 대 한 경험과 이해를 묘사하고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이 학설은 최근 관찰변이 (Variation)로 발전하였으며, 학습과 관계되는 관련 특징들을 분별하고 판단하려 는 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Marton & Booth, 1997) 이 학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한 학교의 소학교 2학년 학생들을 2개의 교 실로 나누고, 구분된 두 학급에 같은 내용을 교수하였다. 이 두 반의 학습 능력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이 두 반의 교수자는 다른 사람이었다. 연구의 초점은 교수자가 그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을 실천하는 과정과 학생들이 도달하는 최종의 학습 목표의 성취 기준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관계였다. 우리는 처음에 두 교사를 나누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교수를 하게 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 교사들 이 동일하지 않은 교수법을 사용할 때의 학습 성취기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6,000원
        40.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말민초(清末民初) 일본인들에 의해 새롭게 조어된 신조어들이 일본에서 번 역된 도서나 일본에 유학한 중국인들에 의해 대거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한편 8,90년대 일본의 신조어는 일본 문화와 기술의 유행으로 인해 중국과 대만, 홍콩 등지로 전파되었고, 이는 일본어 신조어가 중국어로 유입되는 제2의 전성기가 되 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는 과거에 대규모의 언어접촉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두 언어 사이에는 대량의 동형사(同形詞)가 존재하고 있는데, 일본문화청이 발간한 《中国語と対応する漢語》(文化廳,1978) 중에는 75%가 동형사(同形詞)이며, 그 중 대부분이 의미가 같거나 혹은 어휘의 의미가 매우 비슷한 「S(Same)」류에 속하고 있다. 모국어의 대한 능력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에게 “글자를 보면서 뜻 을 알게 되는” 현상으로 옮겨가고, 비교적 쉽게 일본어 속의 한자어휘를 습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중국어 속의 지식으로 일본의 한자 어휘를 이해할 때는 실 제 어휘의 의미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경우가 쉽게 일어나 는데, 이는 두 언어 사이에는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은 21세기(2000년부터 지금까지)까지 발간된 신문과 잡지를 대상으로, “일 본에서 온 어휘”가 홍콩 사회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특징 및 그 배경을 살펴보고, 홍콩의 일본어 학습자들이 중국어와 일본어의 혼란스러운 언어 환경 속에서 일본 한자어를 습득해 나가는 어려움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5,7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