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 문항이 예비한국어 교 사가 갖추어야 할 문법 교육 역량을 평가하기에 타당한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의 개선 방안을 구체 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교육능력 검정시험 제1회(2006년)-제18회(2023년)까지의 시험 문항에서 한국어 문 법 영역과 관련이 있는 한국어어휘・형태론, 한국어통사론, 한국어규범, 한국어문법교육론 과목 623개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 으로 이론적인 문법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는 경향이 많았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사에게는 교실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쉽고 재 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한국 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에서도 예비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교 실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접하게 될 교실 현장과 관련이 있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예비한국어 교사의 한국 어 문법 교육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8,900원
        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among non-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Korean language course. To this end,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necessity of the categorie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recogniz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measured, and then IPA(Importancce-Performance Analysis: Martilla & James, 1977) analysis and Borich’s needs analysis(Borich, 1980) were used. After implementation,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outcomes depending on learner variables. After examining the sub-item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mportance, current level, and need depending on the learner’s home countr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urrent level, demand, and necessity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 depending on the learner’s reason for learning Korean, so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individual learnier’s needs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when designing curriculum for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5,700원
        3.
        202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곧 어휘 내용 요소의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교육 어휘의 지식 영역을 이전의 언어학적 혹은 국어학적 연구 성과를 다소 그대로 옮겨온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과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이전의 언어학 혹은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정 이나 해석하지 않은 채 한국어교육에 응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교육 어휘(pedagogical vocabulary)의 측면에서 접근이었다. 그런 측면을 반영 하여 한국어교육 어휘의 내용 요소는 형식(구어/문어/단어 구성), 의미(형태와 의미/개념과 지시대상/연상 관계), 사용(문법적 기능/연어 관계/ 사용제약)의 영역에서 설정할 수 있었다.
        6,1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multiple language-identities embedded within the emerging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Situ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classrooms at an American university, this study draws data from two rounds of interviews with three instructors (one nonnative and two native Korean speakers).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their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revolves around multiple language identities grounded in their L1 cultural norms and perceived English language proficiencies. Their views and undertakings of local cultural norms indicate the varying ways in which these instructors projected their L1 and L2 identities onto their emergent teacher identity. Given the vexed relationship between notions of teacher authority in her L1 Japanese culture and the local norms of interaction, the nonnative teacher maintained authority by establishing a certain distance from her students. By contrast, the native teachers accommodated the local understandings of teacher authority and (re)shaped their view of a teacher to the locally-defined professionalism, a teacher like ‘a friend’. The negotiated identity of the KFL teachers improved classroom interaction and engendered positive view about teaching. The findings are discussed to highlight foreign language teacher identity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6,400원
        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교육용 게임으로서 text-to-scene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사용자 입력 문장의 의미구조를 분석하여 장면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사용자가 문장을 교정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정답 장면과 사용자 입력 문장에 대한 장면을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입력 문장의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파악하고 문장을 수정할 수 있다. 기존의 text-to-scene 연구에서 정교하게 장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원 구축이 어렵고 처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은 외국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장면을 단순하게 표현한다. 실험결과 격조사나 문장 요소 생략 등을 고려하여 15개의 단어를 임의로 조합하여 5개 어절 이내의 문장 1,048,576개 문장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제안하는 모델은 한 문장당 평균 14.94ms가 소요하면서 안정적으로 장면을 생성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작문 시험 결과, 종이를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10개 문항 중 오답 문장이 평균 4.7개 나왔는데, 제안하는 text-to-scene 모델을 이용한 작문 결과에서는 한 문장 당 평균 1.56회의 미리보기를 하고 문장을 수정하여 0.87개가 나왔다.
        4,000원
        6.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들이 중국어를 배우면서 접하는 한자의 학습에 대해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경험에 근 거한 교수법과 방법론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지며, 무엇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 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학습자의 연령 요소와 그에 따른 인지 발달과 관련된 고려가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이에 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어린이의 한자 교육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알파벳 등 표 음문자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발달적 읽기 장애가 있는 경우, 이들의 기억력 장애는 시각적-공간적 자극 처리 능력보다는 음운 인식 능력과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중국어 읽기 능력의 습득에서 작업 기억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중국어 한자 읽기 에서 음운 인식과 시각적 자극에 대한 처리의 기능을 다각도로 관찰,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 지는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유력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 어린이 학습자가 언 어적 환경과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한자 읽기 습득에 있어 음운과 시각적 정보, 두 유형의 인지적 처리 기술이 서로 다른 처리 기제를 가질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한자 변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및 학습에서도 한자 읽기의 교수와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요목과 교수방식을 선택해 야 하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300원
        7.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or a second language, and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I presented 3 reasons that mainly cau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mong the reasons,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insufficiency of expertise in teaching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we have to compensate in terms of improving teachers’ ability. First, in chapter Ⅱ, I analyzed the trend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to-b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defined the concept of ‘ability of teaching writing’, and summarized the categories of the ability. Finally,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with regard to teachers’ expertise. Specially, I focused not only on the pedagogic content knowledge (PCK), but also on the content knowledge (CK). In this paper, I explored teach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etter teaching Korean as an L2. However, this paper remains only as a pioneer attempt at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area is not fully discussed yet.
        5,200원
        10.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언어 교육에서 오류 분석은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언어를 연구하거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방법론의 하나이다. 하기에 많은 학자들이 학습자들의 작문이나 발화에서 오류문을 추출하여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마다 오류에 대한 견해에서 서로 다른 의견들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 판정에서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본고에서는 학자들의 견해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의 판정, 오류와 실수, 중간언어와의 관계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보고 필자의 견해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견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오류는 외국어 학습자 자신에게 있어서 필요 불가결이며 교사는 오류 분석과 오류 교정에 주목해야 한다.2. 오류 판정에서 문법성, 체계성, 반복성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원인을 밝힐 수 있으면 오류로 보아야 한다.3. 오류는 학습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없고 교정할 수 없지만 실수는 학습자 스스로가 인식할 수 있고 교정할 수 있다.4. 오류는 중간언어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고 원인을 밝힐 수 있다.
        5,400원
        11.
        2008.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에 관한 가장 큰 문제점은 체계적인 문화 영역 및 항목에 관한 분류가 다양 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화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문화교육 내용 선정과 등급을 분류에 하는데 어려움과 혼란으로 교수요목 설계가 불가능해 진다.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교육이론에 입각하여 “언어 문화교육” 입장에서 지금까지 제기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문제점들을 한국 문화의 영역과 해당 세부 항목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점검해보고 한국 문화 교육 영역 및 세부 항목들에 대한 대안적 설정 기준을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교육 입장에서 제시해서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화교육에 통일된 표준안을 제시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