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resident Yoon Seok-youl of South Korea and President Joseph R. Biden of the United States convened at the White House, adopting the pivotal “Washington Declaration.” This significant act paved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OK-US 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The NCG is envisioned as a mechanism to address North Korea’s nuclear threat, striving for nuclear sharing and a nuclear defense system, thereby alleviating concerns about nuclear security. The NCG is perceived as a crucial advancement in the realm of ‘tailored extended deterrence’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its operational scope and efficacy remain subjects of debate within South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nsultative entities, such as NATO’s Nuclear Planning Group (NPG) and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Consultative Group (EDSCG), raises questions about NCG’s unique contributions and potential functional overlaps.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CG represents a notable progression in the strengthened ROK-US alliance. This progression coincides with the resumption of large-scale joint nuclear security military exercises under the new administrations of both nations. Anticipated future operations within the NCG framework encompass the continual deployment of strategic assets and the execution of nuclear simulation exercises. Such actions serve not merely as a deterrent message to North Korea but also aim to instill confidence in the US’s commitment to extended deterrence among the South Korean populace.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ROK-US 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through an exhaustive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nuclear security consultative bodies and pertinent nuclear security policies. Moreover, this research emphasizes strategies to boost the NCG’s effectiveness, the necessity for policy enhancements to foster South Korea’s nuclear security autonomy, and the importance of raising nuclear security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1세기에 들어 핵전력 강화에 전념하는 북한의 핵전략을 내 부적 법과 제도의 정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북한은 2012년 헌법 서문 을 개정하여 ‘핵보유국’임을 천명하였고, 2013년 “자위적 핵보유국의 지 위를 더욱 공고히 할 데 대하여(소위 핵보유국법)”와 2022년 “조선민주 주의인민공화국 핵무력정책에 대하여(소위 핵무력정책법)을 통해 핵전략 을 세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2013년 대비 2022년의 법률은 상당부 분 공세적, 권한위임형 핵전략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두 법 률의 내용 변화를 리케의 전략 3요소(목표, 방법, 수단)를 바탕으로 분석 하고, 비슷한 핵전략의 변화를 보였던 파키스탄의 사례와 비교하여 함의 를 도출한다. 결론적으로는 바틀렛의 모델을 바탕으로 북한 핵전략의 전 략적 균형 달성 여부를 고찰해본다.
        6,900원
        3.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PRK had been upgrading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ies from the past to the sixth nuclear test in 2017, and Kim Jong-un has been in power since the death of Kim Jong-il in 2011, striving to upgrade and diversify four nuclear tests and firing means. In 2022, in particular, DPRK launched more than 40 ballistic and cruise missiles and provoked them in various ways, such as developing solid rocket engines, flying fighter jets, and invading drones. In addition, reprocessing facility activities have been observed again since 2021 at the Yongbyon Nuclear Research Complex. Operational activities such as continuous activities of the 5MWe Yongbyon reactor and the additional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are observed. DPRK’s recent activities could result in nuclear weapons in all except conventional weapons provocations. DPRK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nuclear weapons since the 1950s. It has been preparing to operate nuclear weapons, operating nuclear power, and modernizing nuclear power simultaneously. Given the number of nuclear weapons using DPRK’s nuclear materials and various means of missiles, an offensive transition is expected to enable restrictive deterrence strategies that can be used first use and on assured retali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nuclear strategy, which is interpreted as Vipin Narang’s nuclear doctrine and nuclear posture, DPRK is also capable of assured retaliation and asymmetric escalation postur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the Yongbyon Nuclear Research Complex, which has recently diversified the investment vehicle, and the delegation of nuclear weapon use, it is expected to move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one based on the changed nuclear strategy. However,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o interpreting it as a completely assured retaliation and asymmetric expansion nuclear strategy. First,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atmospheric reentry vehicles that can avoid ICBM interception for assured retaliation capabilities against the United States. Seco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open capacity of nuclear weapons due to the absence of SSBN capabilities. However, delegation to operations at strategy forc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symmetric expansion strategies. The previous analysis of DPRK’s nuclear strategy and limitations is valid in that the U.S. nuclear umbrella guarantees the Republic of Korea in a strong alliance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If the Republic of Korea lacks a nuclear umbrella due to the weakening of the alliance or limits U.S. intervention by having more than dozens of ICBMs, it is considered that DPRK can use a definite confirmation retaliation and asymmetric escalation nuclear strategy. As a response to this, it is the first way to verify and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three-axis system (Kill Chain, KAMD, KMPR), second to strengthen the Korea-U.S. alliance, and finally to appeal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ncrease consensu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orm a consensus of sanctions and condemnation DPRK by expressing concerns about nuclear dominoes caused by nuclear proliferation and arms competi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4.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the leakage of radioactive material or radiation to the environment or a concern,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refor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using modeling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and source-term data is carried out, or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which is an emergency response activity that directly measures dose is performed. As lessons learned from the Fukushima accident,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and modeling cannot utilize during the emergency and decision-making process for protective action for the public. Thus, rapid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is required. In Korea, when an emergency is issued at a nuclear facility, urgent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is conducted based on the national nuclear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 which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on public protective actions. A review of strategies for urgent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is important in performing efficient emergency responses. The main purpose of urgent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is to gather data for decisionmaking on public protective actions to minimize the damage from the accident. For 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upport from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and local public organizations and radiation expertise groups, and nuclear facility licensee are required. In addition, an emergency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manual is required to immediately perform environmental monitor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manual for emergency monitoring should include the activities to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hases of the emergency. The phases of the emergency are divided into pre-leakage, post-leakage, intermediate, and recovery.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are government and public information, the implementation of urgent population protection countermeasures, predicting and tracking plume trajectory, and detection of any release, the protection of emergency and recovery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countermeasures and food restrictions, the implementation of intermediate- and recovery-phase countermeasures, contamination control. Besides meteorological data, ambient dose rate and dose, airborne radionuclide concentration, environmental deposition, food, water,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dividual dose, and object surface contamination data are also required for making information for the public.
        5.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large spectrum of possible stakeholders and important factors for safety improvement during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should be identified. Decommissioning includes additional aspects which are of interest to a wider range of stakeholders. The way in which local communities, the public in general, and a wide range of other parties are engaged in dialogue about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is likely to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as the scale of the activity grows. Timely stakeholder involvement may enhance safety and can encourage public confidence. Stakeholder engagement may result in attention to issues that otherwise might escape scrutiny. Public confidence is improved if issues that are raised by the public are taken seriously and are carefully and openly evaluated. Experience in many countries has shown that transparency can be an extremely effective tool to enhance safety performance. It sets ou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two-way proces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stakeholders. Meaningful engagement is characterized through a flow of communication, opinions and proposals in both directions and the use of collaborative approaches to influence and explain decisions. The process is one in which an organization learns and improves its ability to perform meaningful stakeholder engagement while developing relationships of mutual respect, in place of one-off consultations. The evolving nature of this proces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pipeline projects, which will have differing stakeholder engagement requirements at each phase of the project lifecycle. Activity undertaken at all stages of the process should be documented to ensure engagement success can be reviewed and improved and to ensure historical decisions or engagements are captured in case stakeholders change during the progression of time and previous consultation records are required.
        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의 지위를 두고 충 돌하는 사이에 일본은 재래식 군사력을 꾸준히 증강시키고 있으며, 러시아 는 영토확장 욕심을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국제사회 의 다양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핵무장을 추구해온 북한은 이제 한국을 향한 핵무기 사용까지 노골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 고 있는 동북아 지역의 안보환경은 세계 10대 경제대국이자 재래식 군사 력 6위권에 있는 한국으로 하여금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생존전략을 모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이 벌이고 있는 패권경쟁의 틈바구니에 놓인 한국이 독자적으로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번 영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국민들의 호국정신부터 고양시킨 다음 한 국군을 정예화시켜야 한다.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에 진행되고 있는 전쟁상황을 보더라도 외부 위협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의지를 고양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전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중국의 동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인도- 태평양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한-미-일 동맹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현실화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한국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 을 미치므로 미국의 확장억제 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독자적인 핵 무장을 추진해서 자위권을 확보해야 한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美·中 충돌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가고 있다. 20세기 초 국제안보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생존능력을 갖춰야 한다.
        7,700원
        1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상쇄전략 개념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을 적용하고 국방개혁 2.0과 연계한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남북, 미․북 정상회담을 통하여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미․북 정상회담 결렬 등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현실화된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개념과 기술, 조직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였다. 대응개념은 미국의 상쇄전략 추진사항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여 '적 중심 마비작전’을 작전개념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은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과 미국의 3차 상쇄전략 추진 사항을, 조직은 국방개혁 2.0 추진과 미국의 국방부 획득조직 개편에 대한 시사점을 분석하여 발전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전략적인 개념의 일치가 필요한 부분이 있고, 기술의 상호운용성, 한․미동맹 차원의 협력분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과 국방개혁 2.0 추진 사항을 연계하여 북핵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북핵 대응을 위한 작전수행 개념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이 필요하였으며 미국의‘국제공역에서의 접근과 기동을 위한 작전개념’(JAM-GC)를 벤치마킹하여 ‘적 중심 마비전’ 작전개념을 제안 하였다.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진행 중인 점과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의 방대함, 국방개혁 2.0과의 연계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의 접목 등을 고려할 때 더욱 정교하고 세밀한 북핵 대응방안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7,000원
        1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을 시작으로 2017년 9월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감행하 였다. 북한은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제수호와 방어적 차원에서 핵무장력 담보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의 전략적 목표가 북미협상을 통해 북한체제 위기를 극복하고 그들의 한반도 사회주의통일을 위한 핵무 장력을 완성하는 데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은 한반도평화를 위협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동북아안보 역학구도에 간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엔안보리는 이러한 북한의 무모한 핵실험에 대해 지난 10년 이상 6차례의 유엔안보리 결의로 대북제재조치를 단행해 왔다. 그러나 북한 김정은 정권은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에도 불구하고 핵・경제병진노선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가 북한에 대한 효과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은 북한이 강도높은 핵실험으로 격상시키는데 요인으로 분석된다. 2017년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제재 조치 수단 가운데 하나인 대북 군사옵션은 한반도에서의 전면 전과 국지전 양상으로 예상된다. 미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의 미국 행정부의 대북제재 조치 양상과는 다르게 세컨더리 보이콧이라는 외교압박전술을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조치에 대해 북·미 간 전면적인 군사대결 입장을 밝히며 ‘벼랑끝 전술’로 맞서고 있다. 북한은 당분간 체제생존차원에서 핵・경제 병진노선을 추진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체제는 미·중 간의 현실주의적 국가전략 추진 으로 체제붕괴 변수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전략적 선택의 폭은 좁아진다.
        6,100원
        1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nuclear safety act, the enforcement regulations and the notification of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a preliminary decommissioning plan must be submitted at all domestic nuclear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is preliminary decommissioning plan, it is required to prepare eleven items from the outline of the decommissioning plan of the nuclear facility to the fire protection. Currently, the nuclear fuel cycle facility operat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consists of a radioactive waste form test facility (RWFTF), a post 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 (PIEF), a radioactive waste treatment facility (RWTF), and a radioactive waste storage facility (RWSF). The decommissioning strategies, decommissioning methods and dismantling activities of these nuclear facilitie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scope of decommissioning, the dismantling method, the final conditions of the site,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cost of decommissioning are established in the decommissioning strategy. The decommissioning schedule, work order, basic principle and technical feasibility are determined at the method of decommissioning. The disinfection techniques and activity plans for facilities and sites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are described at the dismantling activity.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of decommissioning of the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and prepares a preliminary decommissioning plan to be prepared afterwards.
        4,200원
        13.
        201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7년 6월에 영구정지 된 고리 1호기의 해체는 한국의 상업 원전에 대한 첫 해체 사례가 될 것이다. 해체 과정 중에 발생하 는 폐기물에 대한 처분은 전체 해체 비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방사화 및 오염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적절한 해체 전략을 수립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해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차폐체에 대한 최적화된 해체 및 처분 시 나리오를 연구하였다. 해체사례, 폐기물 처분 규정 및 처리 기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차폐체 제거 과정의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적 해체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폐기물 처분 방안을 도출하였다.
        4,500원
        1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북한 핵전략의 유형적 특징과 전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핵전략의 개념과 유형, 북한의 핵능력과 선언적 핵전략, 북한 핵전략의 운용상의 특징과 전망을 살펴본 후 결론에서 우리의 대응을 도출해본 것이다. 최근 북한의 핵무기 배치와 핵능력 증강은 우리의 안보와 군사적 대비태세에 매우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핵전략이란 핵무기 의 구성·배치·운용을 둘러싼 군사전략을 의미한다. 북한의 핵전략에 대한 연구는 북한의 핵무장이 실체화되었다는 매우 현실적인 가정에서 출발한다. 우리 국방당국이 북핵에 대한 대응책으로 선제공격, 미사일방어, 대량 응징보복 개념을 제시하고 그 도입과 전개를 서두르는 것은 북한의 핵무장을 전제로 한 조치이다. 표출된 북한의 선언적 핵전략은 ①‘핵보유국법’ 상의 핵억제·보복전략, ②핵선제공격론, ③제7차 당대회에 나타난 ‘핵선제 불사용원칙으로, 그리고 북한 핵전략의 저의 및 운용상의 특징은 ①기존핵 국가 관행모방을 통한 비난회피, ②선언적 핵전략을 통한 자신의 핵전략의 호도, ③핵전력과 핵태세간 격차로 인한 핵전략의 미정착 등으로 각각 요 약해 볼 수 있다. 북한은 개정헌법(2012.7), ‘핵무력과 경제건설의 병진노선(2013.3),’ 그리고 핵보유국법(2013.4) 등을 통해 스스로 핵보유국임을 규정·선언하고 있다. 하지만 ‘핵보유국(핵국가)’ 지위는 오로지 NPT만 부 여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미 닫힌 시스템이다. 현실적으로 우리가 당면한 북핵위협을 억제·극복해 나가기 위해서는 튼튼한 한미동맹과 긴밀한 한미 공조하에 북한핵의 억제는 물론 비핵화·무력화를 위한 우리의 단․중․장기적인 정치․군사적 대응책의 수립·이행노력이 긴요하다.
        8,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