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에서는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계획이 세워지고 있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데 컬러 계획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컬러 계획에서도 가장 트렌디하고 민감한 패션 분야에서 선호하는 컬러를 연구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들어 슬림한 체형을 추구하는 20·30대 남녀를 중심으로 블랙 컬러 하의 (스키니 진, 레깅스 등)의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각 패션의 분류별 상의 컬러의 선호와 블랙 컬러 배색의 선호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컬러 계획에 있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둘째, 패션의 개념과 분류, 패션에서의 컬러에 대해 선행 연구 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셋째, 이론적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컬러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의류 쇼핑몰에서 블랙 컬러 하의와 상의 컬러를 수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 조사 결과, 공통된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블 랙 컬러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이미지가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찾아냈다. 결론적으로 블랙 컬러 배색으로 상의 컬러를 계획 할 때 첫째, 흡수성 둘째, 중량감, 셋째, 컬러 이미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요소로 설문 대상자들에게서 컬러의 밸 런스, 안정감을 찾으려고 선호하는 컬러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의 컬러 계획에 있어서 의미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22.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마트폰 4천만 시대가 열리며, 모바일 게임 역시 스마트폰의 대중화 속도만큼 빠르게 확산 되며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임시장의 질적 성장을 위해 게임 개발시 그래픽 이미지를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되었으며,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임 장르의 이미 지나 느낌을 측정하여, 장르별 색조(tone)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게임이 용자가 각 장르별로 작성한 형용사가 50%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호하는 색조가 비교 적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르에 대한 색조의 표준화 시도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장르 별 3가지 색채의 톤과 밝기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 게임 개발시 원활한 색채계획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성숙기에 접어든 게임시장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보다 다양 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본다.
        2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of 279 participants which counted 26 cases out of total 305 participants. It is organ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of psychological effect, general awareness and the color or shape of indoor-plants in dining/living area t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emotional image. 74.6% of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the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As the result of general awareness of green interior,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 green interior was organized was the shape of plants and the most selected possible amount of investment to the installation was less than 100,000 won which is not high enoug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participant’s awareness of effect of indoor-plant, 99.3% of participants which wa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Indoor-plants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selection of five kinds of indoor-plant’s effects.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s to the green interior in dining/living area as they selected ‘Preferred’. Decoration of cut-flower and eruption are preferred as the design of dining area. The preference order of 5 types of colors for green interior was white> green> pink> yellow> r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color sensitivity of green-interior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method, white and green stimulus group highly shows the emotion of “Clam” and “Comfortable”. In addition, red and pink stimulus group feels hard the emotion, “Fancy”. Cut flower decoration was highly preferred when living area is decorated with 76.6%.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s of green interior in living area with the order of horizontal> round>vertic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on emotional difference with green interior of living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horizontal way has “Calm”, “Comfortable” while vertical provides “Heavy” and “Stro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useful and positive possibility of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consumption of indoor green-interior by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effect and awareness of indoor-plan.
        24.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요양노인, 독거노인, 가족 동거노인 등 다양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절화 및 화색 선호도를 조사하여 노인에 대한 기본적인 심리의 특성을 이해하고, 원예치료 프로그램 구성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인에게 절화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매우 좋아한다”와 “좋아한다”가 81.5%로 나타났고, 특히 치매노인들은 97.7%로 절화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화류 중에서 모든 대상자가 장미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나리, 카네이션, 해바라기, 안개초, 스프레이 국화,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순이었다. 절화의 화색은 빨강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분홍색과 노랑색 순이었으며, 치매노인은 빨강색, 노랑색, 분홍색 순으로 선호하였다. 장미의 화색은 모든 노인들이 빨강색을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치매노인은 노랑색과 주황색을, 요양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은 분홍색과 주황색을, 독거노인은 주황색과 분홍색을 좋아하였다. 카네이션은 모든 노인 대상자들이 빨강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거베라는 치매노인은 빨강색과 노랑색을, 입소시설요양노인, 가족동거노인, 독거노인은 빨강색과 주황색 순으로 선호하였다. 나리는 치매노인과 입소시설요양노인은 흰색 나팔나리과 노랑색 아시아틱나리를,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은 흰색 나팔나리와 분홍색 오리엔탈나리 순으로 선호하였다. 스프레이 국화는 모든 노인 대상자들이 흰색과 노랑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thesis had an aim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ct floriculture effectively, and investigated universities' preference of the flower color objectfying 149 students. The three cut flowers in our country were selected, and they are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his thesis inquired of thirty flower gardens about color selection through telephone, and selected the most favored colors of three cut flowers asking the customers. The colors were red, yellow, and pink. This thesis established six polling booths in the lecture room 6.3m wide and 7m long, and put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olor based on cut flower put in the polling booth 1,2, and 3, this thesis put the common color - red, pink, and yellow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ut flower based on color in the polling booth 4,5,6. Scrutinizing the flower color after experimental study based on cut flower,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the rose, the most objects(48 persons, p=0.064) of investigation preferred yellow.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the most objects(107 persons, p=0.0000) preferred pink. The rose and the chrysanthemu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Scrutinizing the preference of the cut flower based on the color, in the case of red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and in the case of yellow cut flower, the most objects(52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In the case of pink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3) preferred chrysanthemum.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scrutinizing the tendency based on sex and age,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flower color, the persons 19~22 years old preferred pink carnation, and the persons 23~29 years old preferred yellow carnation.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0.007) But the tendency based on sex or ag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