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VR (Virtual Reality) 및AR (Augmented Reality)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러한 장치들의 대부분의 콘텐츠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해 컨트롤러에 의존하고 있으나 컨트롤러는 휴대하 기 어렵고 분실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러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새로 인터페이스를 배워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Oculus Quest는 핸드 트래킹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손 제스처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핸드 트래킹을 활용하는 방법은 그 어려움 때문에 아직 널리 연구되지 않았고 아직 활 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VR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는 데 손을 사용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4,0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SW·AI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W·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 세계는 SW·AI 교육에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2015년부터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SW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다.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 교육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등 교육기관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여 SW·AI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SW·AI 교육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의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AI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SW·AI 사전 경험 차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대상으로 SW·AI 경험별 재미, 어려움, 만족도, 기대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SW·AI 경험이 AI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을 균등하게 받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육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SW·AI 교육이 될 수 있도록 SW·AI 교육을 필수 교과로 전환하여 수업 시수 확대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6,600원
        4.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and washing awareness and microorganism contamination on the hands for evaluating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conditions of hand hygiene.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was 2.7 log CFU/hand and 1.8 log CFU/hand, respectively.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in all of the students tes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obtained via a direct interview were collected from 100 university students with microorganism analysis. A majority (90%)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good hand hygiene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food poisoning. In the hand washing survey data, the responses suggesting “always washed” from “before eating food”, “after handling money”, “after finishing study” and “after visiting patients” were observed in 18, 13, 15 and 33 out of the 100 students,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data of hand washing frequency and time duration showed that 14 students and 6 students answered “more than 8 times of hand washing per day” and “more than 30 seconds of hand washing tim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mproper hand washing practices and poor hand hygiene were identified i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his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conditions of hand hygiene. Repeated hand washing education about the frequency, time duration and methods is constantly required to improve hand hygiene. Installation of hand washing equipment in the space of a restaurant and cafeteria is suggested for enhancing hand hygiene before eating food.
        4,000원
        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4 session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rom January 7, 2013 to March 11, 2013.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which are sub-areas of PDMS-2, the A-B study design was used which is a single case study method out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nd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aw scores and standardized scores of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in all the three subject children.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showed higher scores in post-hoc tests in all three children. In particular, ring throws showed high scores at right 90°, right 45°, center, left 45°, and left 90°among visual directions. I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ing throws were performed to examine visuomotor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s of successes of ring throws on the front, left, and right were shown to be high. Therefore,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effective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000원
        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A total of 59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were teste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3.72 ± 0.38 log CFU/hand. Five children's hands(2 male and 3 female) were positive(14.3%) for the coliform bacteria. These results showed that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repetitively.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tested in this study,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9(25.7%) and 16(45.7%) out of 35 their hands, respectively. Twelve out of sixteen B. cereus isolates(70.0%) produced enterotox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nd hygiene of nursery school children needs to be improv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hand washing in educated and non-educated group, the reduction effect of total aerobic bacteria on their hands was 0.42 and 0.60 log CFU/hand, respectively. The educated group showed 0.18 log CFU/hand higher reduction effect than non-educated group but microorganism did not eliminate perfectly. From the results, using a hand sanitizer after washing with soap and the continuous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to control the contaminated bacteria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4,000원
        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ransfer rates of each foodborne pathogen from pork meat packaging during the processing. We analyzed the transfer rate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contaminated pork meat to worker's hands (wearing polyethylene gloves, PEG; cotton gloves, CG; and bare hands), cutting boards and knives, and vice versa. Transfer rate of CG 100.00% was higher than that of bare hands 2.513% and PEG 1.511%. In particular, when wearing CG, the transfer rate from the CG to bare hands with CG was 0.08%. Also, the range of transfer rates from contaminated pork meat to cutting board and knife was 0.352-3.791%. In contrast, transfer rates from the workers’ hands (with PEG/CG and bare hands) to cutting board, knife, and pork meat ranged from 0.001 to 0.141%. There was a lower transfer rate from workers’ hands than from pork mea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se of PEG could effectively reduce or prevent the cross-contamination compared to CG an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nsecutive transfer of L. monocytogenes during food processing.
        4,000원
        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adequate food handling and poor hand hygiene play a major role in the occurrence of foodborne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the hands of food preparers varies by time during their working period.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amination of aerobic plate count,total and fec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Sampling from left hand and right hand of twenty food preparers was done with glove-juice method at every two hours during their work. Microbiological tes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od Code of Korea. The microbiological load on the hands was changed over time. Samples taken from their hands before work and at 8 hours showed higher levels of bacteria than those taken at 2, 4, and 6 hours during work and/or after work (p < 0.05). The contamination levels of microorganisms were consistently higher in right hand than in left hand. Poor hand hygiene practices were indicated by the positive results for total and fecal coliforms, E. coli, S. aureus, and Salmonella spp. on the hands of some food preparers. This study indicates food preparers' hands can be a vehicle of pathogen during their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nd hygiene education and training targeting the food preparers.
        4,000원
        1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3세의 한국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손에 대한 손의 형태적 특성과 감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감성평가 방법으로 손의 아름다움을 각각 10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감성평가 등급파의 상관관계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감성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손 길이와 손 폭의 비이었고, 손 길이와 손가락 길이 및 손가락 굵기의 비율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손 갈이와 손톱 길이의 비와 손가락 길이와 손톱 길이의 비는 감성평가에 마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높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아름다운 손)의 특정은 손, 손가락 및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더 길었다. 결과적으로 손의 모든 형태학적 특성들이 종합적으로 감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손의 형태학적 특성을 감성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정량 및 정성적 보고로 손의 미적 요소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고, 이들 정보들은 손과 관련된 다양한 뷰티산업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4,000원
        1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탐구에 대해서 초임과학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교사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26명의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 그리고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임과학교사에 의한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 관계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코딩작업을 통해 파악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과학교육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해 구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교사들은 과학탐구를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과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는 기회로 정의하고는 있지만 과학탐구를 하는 이유와 과학탐구를 실행하는 데 있어 교사의 역할은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을 함양하는 기회로 파악하고 있었다. 과학탐구에 대한 정의나 목적 또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요소는 거의 파악되지 않았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서는 과학적 관점보다는 순수한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었다. 초임교사를 위한 조직적인 교사교육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4,800원
        13.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tive : The cold feeling disease is feeling a cold at normal temperature in specific part of body and it can be felt by oneself and the others. This disease let the person who has the disease take various inconvinience in daily life but they don't take any specific care and actucally there are not efficient care. In this study we took Tae-gye(KI3) which is one of the nine point that circulating energe to whole body(回陽九針穴) and observe the efficiency conpare with non acupoint Methord : We used infra-red thermomet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hand and arm. Acupuncture is treated using Park-sharm device for double-blinding test. Temperature of PC8 is compared with LU4 for measure the coldness of hand. Results : Taking the temperature of Before-state, average temperature of PC8 is lower then LU4 at 0.3℃ degree. Right about acupuncturing, temperature of PC8 got lower at 0.238℃ degree comparing LU4 in treatment group and , got higher at 0.5℃ degree in control group, but both of them have no significance(p>0.05) During the acupuncturing, temperature of PC8 got higher at 0.388℃ degree then LU4 in treatment group and got higher at 0.975℃ degree in control group, but both of them have no significance(p>0.05). After remove the acupuncture, temperature of PC8 got lower at 0.013℃ degree then LU4 in treatment group and got higher at 0.713℃ degree in control group, but both of them have no significance(p>0.05). I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s of change are very intense for each grade and they had large standard deviation. In treatment group the differences are decreased gradually and they had small standard deviation(SD=0.424) compare with control group (SD=0.723)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KI3 can decrease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PC8 and LU4, and reduce the coldness of hand. After this, study with more group is needed to verify the possibility.
        4,000원
        1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 및 식중독 오염의 감염 매개체가 되는 손에 대한 위생실태를 점검하고자 유아원, 초등, 중등, 고등학생 및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오염의 지표인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과 식중독 원인균인 세균성이질,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병원성대장균, V. parahemolyticus, Y. enterocolitica, B. cereus,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 C. jejuni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등의 위생세균에서 대장균군은 유치원생 2명, 초등학생 6명, 성인에서 2명이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유치원생의 경우 평균 3.3 log CFU/hand, 초등학생은 3.4 log CFU/hand, 중학생은 3.2 log CFU/hand, 고등학생은 3.4 log CFU/hand, 성인은 3.3 log CFU/hand로 나타났다. 2. 식중독 원인균으로 총 62주(12.4%)가 분리되었는데 그 중에서 황색포도상구균 47주(75.8%), B. cereus 8주(12.9%), C. perfringens 7주(11.3%)로 나타났다. 3. 독소 발현 확인시험은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47주 중 25주(53.2%)에서 독소를 확인하였는데 A형이 22주(88.0%), A와 B형 복합주가 2주(8.0%), A와 C형 복합주가 1주(4.0%)로 나타났으며, B. cereus는 8주 중 7주(87.5%)에서 독소 생산주를 확인하였으나, C. perfringens는 7주 모두 독소를 생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항생제감수성 시험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47주는 ciprofloxacin, clindamycin, imipenem, rimethoprim/sulfamethoxazole, rifampin, vancomycin에 대해서는 100%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cefepime, chloramphenicol, cefotetan, gentamycin은 각각 91.5% 및 oxacillin(89.4%), tetracycline(87.2%)에 대해서도 높은 감수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생제 내성은 ampicillin(91.5%), erythromycin(42.6%) 및 penicillin(95.7%)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개 이상의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인 균주는 총 44주였는데, 2제 다제내성 18주(40.9%), 3제 다제내성 15주(34.1%), 4제 다제내성 7주(15.9%), 5제와 6제 다제내성 각각 1주(4.5%)로 나타났다.
        4,200원
        1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bots ar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instructional media, an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s have been increa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hands-on robots on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43, and they were all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and general free activities, respectively. Results using ANCONA have shown that the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positively affected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se meaningful results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use as the effectiveness of hands-on robots has come out.
        1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vailable additional education cours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functional education, which is mainly for the enhancement of safety consciousness, along with a model for the way of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struction death accidents for the recent five years were analyzed about their patterns and the scales of the accident sites to infer the main subjects and the direction of hands-on education cour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combin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the construction safety hands-on education courses and the additionally required education courses were proposed.
        19.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에서 2012년도에 조 사한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 모형 개발연구’ 자료 중 중학교(84개 학교) 결과를 활용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 정도와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와 관련 있는 학교수준의 여러 특 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학교를 창의적 체험활동을 기준으로 상/중/하 그룹으로 구분한 것과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가 상위, 하위 20% 수준에 위치한 학교만을 선택하여 분석 한 것의 두 가지 데이터의 형태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탐색한 학교수준의 특성은 교사의 참여 수준, 교사의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지역사회와 네트 워킹 필요성의 4개 항목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는 저조하였다. 전체 학생의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는 3.08, 전체 학교 중 체험활동 효과가 상위 20%에 위치한 학생들의 평균도 3.43으로 보통수준에 그쳤다. 둘째, 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과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정도는 낮았으나, 교사의 참여수준과 지역사회 네트워킹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는 위 네 가지 특징 중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정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20.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역전통과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마늘아 놀자’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물론이고 담임 교사와 학생들의 부모들은 모두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특히 모든 참가 학생들이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에 다시 참가하기를 희망하였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 뚜렷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지역애착심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실험군의 값이 뚜렷하게 높았다. 정서지능은 프로그램 전·후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