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eggshell and cuticle/exoskeleton play vital roles in protecting them from natural environmental stresses. However, these chitinous cuticular extracellular matrices must be degraded at least in part during embryo hatching and molting/ecdysis periods to accommodate continuous growth all the way to the adult st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importance of groups I and II chitinases, TcCHT5 and TcCHT10, in the turnover of chitinous cuticle during both em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ribolium castaneum. RNAi and TEM analyses revealed that TcCHT10 is required for digestion of chitin in the serosal cuticle for embryo hatching as well as in the old cuticle during post-embryonic molts including larval-pupal and pupal-adult metamorphosis. TcCHT10 appears to be able to substitute for TcCHT5 in all these vital physiological events except for the pupal-adult molting in which TcCHT5 is indispensable for complete digestion of chitin in the old pupal cuticle.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는 포도원에서 생장 초기부터 신초를 흡즙 가해하여 잎의 기형화, 화진형상, 열매의 소립화, 기형, 열과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2017년과 2018년도에 경기도 화성 포도원의 캠벨얼리 품종을 대상으로 가온 하우스, 무가온 하우스, 비가림 재배, 노지 재배의 재배 양식과 생육단계별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배양식별 피해는 1월부터 가온을 시작하여 7월 초순에 수확하는 조기가온 하우스와 3월부터 보온을 시작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는 무가온 하우스에서는 피해가 5%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비가림 및 노지재배에서는 잎과 열매의 피해가 관찰이 되었고, 특히 무농약 노지재배에서는 2017년도 27.6%, 2018년도 36%의 피해가지율을 나타내었다. 노지재배에서 피해 발생은 캠벨얼리 발아기 (BBCH(생물계절코드) 10)부터 이전 해에 포도나무 눈의 겉 인편 사이에 산란된 월동알이 부화하여 6 ~ 7엽(BBCH 16 ~ 17) 전개기까지 어린잎과 열매를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온도 적산 모델에 따른 노지재배과원의 최적 방제시기는 월동알 부화 시기에는 2017년 4월 26일 (BBCH 11), 2018년 4월 30일(BBCH 11)이였고, 1세대 성충 출현시기에는 2017년 6월 5일 (BBCH 71), 2018년 6월 8일 (BBCH 74)로 예측되었다. 즉, 월동알 부화시기는 캠벨얼리 전엽 초기(BBCH 11), 1세대 성충 출현 시기는 과립 착과 초기(BBCH 71)로 예측되었다.
        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선박에 설치되는 개구(Opening)는 사람이 드나드는 문(door)과 화물 출입구(cargo access hatch) 그리고 닫힌 장소에 사람이 드나들기 위한 맨홀(manhole)이 있다. 특히 해치는 수밀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폐쇄장치가 복잡한 기구로 구성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생산효율 및 품질향상을 위해 유압으로 작동하는 취부용 지그(JIG)를 개발하였다.
        5.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oading operation by the unloader is dependent on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in the cabin. If the operato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nloading situation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buc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bucket with the ship structure. In recent years, numerous measurement systems have become available on the market for three-dimensional surveying of objects, but they are very expensive. This study presents a high quality, low cost 3D laser scanning system designed for object recognition. The developed 3D laser scanning system is built on the base of a 2D laser sensor by the extension with a servo motor and a rotation module.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3D laser scanning system,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scan a shape of hatch and cargo holder on a cargo ship.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o obtain a 3D scanning data for the area around the hatch and cargo holder.
        4,000원
        6.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래운반선은 호퍼도어를 갖는 경우 제한된 범위내에서 창구덮개의 설치를 면제 받을 수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호퍼도어를 갖고 있는 선박이 단 한척도 없어 창구덮개를 면제받는 선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래운반선의 창구덮개 관련 현행 규정의 검토와 사고사례 조사 그리고 현재 운항하고 있는 모래운반선에 대한 설비현황, 복원성능 및 내항성능 평가를 통하여 모래운반선에 대한 창구덮개 면제 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래운반선의 경우 창구덮개를 면제 받기 위해서는 화물창의 크기를 조정하여 모래를 화물창 상단부까지 가득 싣더라도 흘수가 만재흘수선을 넘지 않도록 하고, 적절한 풍우밀 조치를 취함으로써 충분한 예비 부력과 복원력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배수펌프의 용량은 화물창의 액상상태인 모래를 1시간 이내에 소성상태가 될 수 있도록 배수하기에 충분한 용량이어야 하며, 모든 운항상태에서 작동 가능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모래운반선의 작업 특성상 창구덮개의 설치작업이 현실적으로 상당히 어렵고, 특히 기상악화시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항해안전과 관련된 시설기준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개선한 것이다.
        4,000원
        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the vit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ectothermal organisms. Also, these variables often determine the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f spider mites using phytoseiid mites N. californicus, N. womersleyi and P. persimilis are promising biocontrol agents of spider mites. The combined effects of temperatures (15,20,25,30 & 35oC) and relative humidity (33,51,75 & 95%) on egg hatch, incubation period from single egg and cannibalism from five eggs experiment were tested for three phytoseiid mites. Photoperiod was set to 16L:8D and neither water nor diet was provided. The result showed that higher temperatures (30&35oC) and lower relative humidity (33&51%) caused increased egg mortality by shrinking and desiccation. The egg hatch of N. californicus and P. persimilis were higher than N. womersleyi in all conditions with the exception of 35oC and 95% RH treatment where P. persimilis did not hatch at all. The incubation periods of egg decreased as the humidity level increased even under the same temperature. The cannibalism, habit of feeding the same species was found from protonymphal and deutonymphal stages under higher humidity levels (75&95%) in the three phytoseiid species. This tendency was higher in N. californicus and N. womersleyi than in P. persimilis. The results partially explain the lower predator performance during hot summer by P. persimilis and the possibility to sustain the predator population when the prey population is low.
        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zoylphenylurea계 살충제(BPUs)는 많은 종의 곤충에 불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의 실험결과 집파리의 불임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4가지 BPUs의 발육단계가 다른 집파리 성충에 대한 불임효과를 실험하였다. 수컷 성충 및 우화 후 교미하기 전의 암컷(우화 1일 후)과 교미 후 난소가 충분히 발육한 상태의 암컷(우화 5일 후)을 300 ppm의 약제에 24시간 동안 접촉시킨 후 1~2일 간격으로 채란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Flufenoxuron과 teflubenzuron에 처리된 5일 암컷이 처리 1일 후 산란한 알은 전혀 부화하지 못하였고, triflumuron과 diflubenzuron에 처리한 5일 암컷이 산란한 알의 부화율을 23%로 크게 감소하였다. Flufenoxuron에 처리된 1일 파리가 처음 산란한 알은 es지 1%의 부화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한 4가지 BPUs계 살충제는 집파리 성충의 연령에 관계없이 산란된 알의 부화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부화한 유충의 일부는 번데기까지 자라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4약제 중에서 flufenoxuron의 부화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약효가 5일간 지속되었다.
        4,000원
        9.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루깍지벌레 월동안 부화시기 예찰모형을 수립하기 위하여 월동알에 대한 온도발육 실험이 수행된다. 5개온도(10, 15, 20, 25, 27)와 채집시기별로 월동알 부화기간을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Wagner 등 (1984a)의 비선형발육모형이 온도별 평균발육률에 대하여 적용되었으며 (=0.9729). 발육영점온도는 15~ 영역에서 얻은 직선회귀식에 의하여 로 추정되었으며, 발육완료를 위해서는 154.14일도가 필요하였다. 적산온도 모형과 발육률전산(Wagner 등 1985) 모형이 부화시기 예측에 이용된다. 적산온도 모형은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온도를 적산하는 방법(Mean-minus-base 추정법), Sine wave 추정법(Allen 1976),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Arnold 1960)을 잉요하여 계산하였다. 50% 부화예측일을 실측일과 비교한 결과 적산온도를 이용하는 경우 Mean-minus-base 추정법은 18~28일, Sine wave 추정법은 11~14일,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은 3~5일의 편차를 보였고, 발육률 적산모형은 2~3일의 편차가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