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 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 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 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 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4,500원
        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characterized by recurring symptoms, airflow obstruction,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he onset of asthma for most patients begins early in life, and current asthma treatment with anti-inflammatory agents can have adverse effects, eventually leading to impaired quality of life. In the pathogenesis of asthma, macrophages and basophils play a vital role during progression. Macrophages not only induce inflammation by secreting inflammatory cytokines but also promote DNA damage and mucus production through nitric oxide (NO) production. Basophils enhance eosinophil recruitment and aggravate asthma through the FcεRIα receptor with high affinity for histamine and I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basophils is suppressed by the individual extracts of 28 natural products. RAW 264.7 cells (mouse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the natural products in LPS, and 4 natural product extracts resulted in decreased NO production. In β-hexosaminidase assay using RBL-2H3 cells (rat basophils), 19 natural product extracts decreased β-hexosaminidase production. In NO production and β-hexosaminidase assay using macrophages and basophils, 3 natural product extracts (Plantago asiatica, Centella asiatica, and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nd β-hexosaminidase release. Overall,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28 natural product extracts on macrophage and basophil activity, and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natural product extracts for treating asthma and macrophage- and basophil-related diseases.
        4,000원
        5.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is a rare orchid and has flowers with an attractive fragran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issue culture method for micropropagation. Capsules derived from artificial self-pollination were obtained for the best seed germination in MS basal medium. Plant growth regulators (1.0 mg·L-1 of BAP and 2.0 mg·L-1 of NAA) were affected by callus induction from subcultured pseudobulb explants. For the callus subculture, different natural plant extracts were tested in 11 treatment media. Among them, MS medium with 150 mL·L-1 of coconut water was generally effective in fresh weight (1.75 ± 0.08) and (3.01 ± 0.20) of callus proliferation and PLBs induction at 1 and 2 months, respectively, followed by an MS combination of 30 g·L-1 of banana and 20 g·L-1 of potato extract.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MS mediums containing plant growth regulators with a natural extract combination and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tural extract only showed that MS medium sup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natural extracts (150 mL·L-1 of coconut water) and plant growth regulators (2.0 mg·L-1 of BAP and 1.0 mg·L-1 of NAA) obtained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3.37 ± 0.17) and (6.41 ± 0.68) after 1 month and 2 months of culturing, respectively.
        4,000원
        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3종의 식물 추출물들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280~400nm 사이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식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살펴보고, 이로부터 다시 자외선 차단 능력과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감초추출물 3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황금, 홉, 감초추출물을 1:1:1로 혼합하여 겔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고, 이 크림이 가지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배양된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보여주는 세포 손상 방어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은 자외선 흡수 능력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세포 손상 방어 효과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결정할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5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름철 장미의 수출 환경 조건에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SC용액, 특허출원번호 10-2019-0109867)의 절화수명연장 효과를 확인하고 수입산 절화보존제의 대체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건식 및 습식 수송 조건으로 구분하고, 습식 수송 조건은 절화보존제 처리 유무와 종류 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해 물(tap water), Floralife 1%, SC용 액 300mg・L-1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절화수명 연장에는 습식수송 조건에서 절화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특히 황금추출물 SC용액 처리구의 절화수명은 수돗물(7.7일)보다 1.7일 연장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수입산 절화보존제인 Floralif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절화수명 종료 증상은 건식 수송 조건 경우 화색의 퇴화 증상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습식 수송 조건의 경우 일반적인 장미 절화의 노화 증상인 꽃목굽 음과 꽃잎마름 증상이 전체의 60~7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여름철 장미의 수출 환경에서 SC용액은 절화수명을 효 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기존 절화보존제인 floralife와 유사하여 친환경 대체 절화 보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성 위염, 위암, 위궤양 등을 유발하는 Helicobacter pylori는 항생제의 부작용, 내성, 다제 내성균의 등장으로 항생제만으로 안전하게 치료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안전하게 제균을 하기 위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을 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in vitro 실험 H. pylori 항균 효과 평가를 통해 항균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을 알아보고자 한다.
        5,100원
        10.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natural extracts could be used as an additive in oral health food made with Weissella cibaria CMU (oraCMU).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mulberry leaf, licorice, and propolis, which are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extracts on periodontal pathogens such as Fusobacterium nucleatum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heir synergy effects with oraCMU by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ethods were measured. From the results obtained, all the extracts showed no effect on the growth of oraCMU. Green tea extract showed the bes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MIC of 1.8 mg/ml against both F. nucleatum and P. gingivalis. In addition, green tea extract had a synergistic effect with oraCMU against F. nucleatum.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reen tea extract is available as an additive in oral health food made with oraCMU.
        4,000원
        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써 표고버섯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표고버섯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고버섯을 열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도 (100, 500, 1000) μg/ml 에 따라 처리하여 항산화 실험인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azino-bis ( 3-ethylbenzothiazoline – 6-sulph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식세포(Raw 264.7)를 이용해 샘플의 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표고버섯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과 SOD유사활성 측정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결과로는 표고버섯 추출물의 10, 25, 50μ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에 따르면 표고버섯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됨을 보아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고버섯은 염증성 Cytokine인 TNF-α, PGE2, IL-1β의 활성을 낮추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최고농도인 25 μg/ml 에서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표고버섯의 우수한 항산화, 항 염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항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염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산뽕나무, 뽕나무, 예덕나 무, 오동나무, 방아풀과 은행나무 6종을 선발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 혼합액 15mL과 티 모시 0.3g, 각각의 추출물을 기질의 5%로 넣고 39℃에서 3, 9, 12, 24, 48 그리고 72시간 배양하였다. 항염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의 첨가는 반추위 발효 성상(pH, 건물소화율, Glucose 농도, 암모니아 농도, 단백질 농도, 미생물 성장량, 휘발성지방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48시간대에서 예덕나무와 방아풀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 적(p<0.05)으로 높았다. 또한 메탄 발생량은 배양 초기에는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나, 발효가 진행될수록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에서 더 많은 메탄이 발생하였다. Polyphenol과 flavonoid는 은행나무 추출물구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 항염에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 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메탄은 초기 발효 에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proper colorant concentration,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pH for the dyeing of silk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were 100% v/v, 80℃, 80 minutes and pH 3, respectively. In various mordanted methods, the K/S values of mordanted method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mordanted methods with increasing mordant concentration. Light colorfastness and washing colorfastness of Cu or Fe mordanted silk fabric was improved by mordanting.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dyed and mordanted silk fabric showed a high reduction rate, and Thuja orientalis extract was showed effective bacterial reduction. The dyed and mordanted fabric with Thuja orientalis extract showed a superior ultraviolet protection property.
        4,000원
        1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와 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added with the mixture extracts of Curcuma Longa L. (CL), Morus alba (MA) and Ecklonia cava (EC)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pH and lightness of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were reduced by adding the mixture extracts, while the turbidity was increased. The natural dish washing liquid added with mixture extracts was shown to displa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 monocytogene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lso, it reveal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depending on concentrations. However, natural dishwashing liquid added with mixture extracts showed the low detergency efficiency. In sensory evaluation, the natural dishwashing liquid containing CL 0.5%, MA 0.25% and EC 0.25% was preferred than the control and it showed negative result in skin patch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CL 0.5%, MA 0.25% and EC 0.25% positively improved the qualities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dish washing liquid.
        4,200원
        1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control Thrips tabaci in Korean leek and green onion which grow at vinyl house in IKSAN, Jeollabuk-do, the non-treatment was set as negative control. In general treatment group, 120 mesh gauze was installed on the side window after planting(May, 2nd) and, in spring, Orius strigicollis (1.0/m2) was grazed 3 times every 7 days from mid of May which is early development stage and In the mid of June, which is the peak stage, plant extracts were sprayed one time. In autumn, O. strigicollis was grazed 3 times every 7 days from mid of September which is early development stage, and in the mid of October, which is the peak stage, plant extracts were sprayed one time. The result shows that the leaf damage ratio was decreased by 22% in Korean leek and by 27% in green onion compared to the untreatment. And the control value of Thrips tabaci shows 78.7% in korean leak and 90.6% in green onion. The density control effect of Thrips tabaci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under max 6.2/plant in general treatment group compared max 25/plant in the untreatment and this result was similar in green onion. The yields by general treatment was increased by 85% in Korean leek and 56% in green onion, compared with non-treatment yields, which was 900kg/10a in Korean leek and 1,287kg/10a in green onion.
        1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ti-biofilm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of chives (Allium tuberosum), garlic (Allium sativum), and radish (Raphanus sativus L.) against environment harmful bacteria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the paper disc assay, garlic extracts exhibited the highest anti-biofilm activit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all plant extracts was generally higher for gram-negative bacteria than it was for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were more resistant to plant extracts. The tetrazolium dye (XTT) assay revealed that, each plant extract exhibited a different anti-biofilm activity at the MIC value depending on the pathogen involved. Among the plant extracts tested, garlic extracts (fresh juice and powder) effectively reduced the metabolic activity of the cells of food-poisoning bacteria in biofilms. These anti-biofilm activitie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Though the garlic extract reduced biofilm formation for all pathogens tested, to elucidate whether this reduction was due to antimicrobial effects or anti-biofilm effects, we counted the colony forming units of pathogens in the presence of the garlic extract and a control antimicrobial drug. The garlic extract inhibited the E. coli O157:H7 biofilm eff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ntimicrobial drug ciprofloxacin; however, it did not inhibit S. aureus biofilm significantly compared to ciprofloxacin. In conclusion, garlic extracts could be used as natural food preservatives to prevent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and elongater the shelf life of processed foods.
        1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wo major forest medicinal resources,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and Cnidii rhizoma (Cnidium officnale Makino) were used as medicinal herbs for long times and in these day consumed as cosmetic materials. For keep pace with a mass demand and supply, pesticides were should be sprayed for control of pests and plant diseases. However, the social concerns on well-balanced life, pesticides safety, and continuous and stable production of clean non-timber products were increased with the times. Therefore, environmental-friendly cultivation was increased before decade. This study performed for selection of effective control agents to hyphal growth of leaf spot and anthracnose in two medicinal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fungal effects of eugneol, pine needle E.O, and 7 natural product extracts (Sophora root, green tea, neem, eucalyptus, grapefruit seed, derris, and 36% rosin) were evaluated against two plant pathogens (Phoma sp.,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fter re-loading of each 20 ㎕ natural product extracts to the PDA plate which loaded two spore dilution (106 spores/㎖) 100 ㎕, the hyphal growth control effects to pathogens were confirmed. Among 9 control agents, eugenol and pine needle E.O were the most effective, and then Sophora root, green tea, and neem. However, 4 agents (eucalyptus, 36% rosin, grapefruit seed, and derris) were not effective. Conclusion : It confirmed that possibility as a control agents of eugenol and pine needle E.O to leaf spot (Phoma sp.) of Korean angelica and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f Cnidii rhizoma, respectively. We will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safe in the forest lands
        20.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여드름의 주요 병원성균으로 염증성 질환에 관련된 미생물 중 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주요 유발 균주인 P. acnes에 대하여 70% Ethanol로 추출한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test 실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61개의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 중에서 45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검출되었으며, 16개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중 에서 여우 구슬(Phyllanthus urinaria L.) - 줄기⋅잎 추출물이 18.96 ± 0.69 mm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뿌리,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잎⋅줄기,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 꽃, 그리고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 줄기 추출물 순으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이 여드름 치료⋅예방의 항균제 및 기능성 화장품 천연 원료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