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y problems in naming natural monuments have been repeatedly argued by many researchers, and four different types of naming problems were identified: 1) name of unknown nationality (natural monument no. 82 and 108), 2) morphological name rather than scientific name (natural monument no. 180, 295, and 409), 3) name of fable character (local cultural property of Changnyeonggun), and 4) scientifically wrong name (natural monument no. 413). Among them, two cases (case 3 and 4) using wrong names are found in natural monument of geologic heritages, which should be ascribable to a hasty designation without an accurate and thorough scientific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establish an ideal policy in designating natural monument,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carrying out a research project of "Pre-study and Post-designation (PSPD)", especially targeting the rod-shaped stromatolite. It is likely that this new strategy of PSPD is a unique and the first step to solve many problems in designating and naming geologic heritages as natural monuments. As a consequence, we strongly suggest that PSPD system must be applied to natural monument designation a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본고는 세계선교운동에서 상황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전개를 인식론의 시대적 변천과 연계해 추적하면서 교회 본연의 선교적 삶을 확증하고 강화하는 상황화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다각도로 탐구한다. 교회의 선교적 생명성은 상황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활성화된다. 문화적 진공상태 가운데 형성·전파·정착되는 복음은 결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음의 전수(傳授)적 측으로부터의 탈(脫)문화적이며 동시에 복음의 수용적 측으로의 재(再)문화적인 상황화는 선교적 교회에게 존재론적으로 부여된 해석학적 과제이다. 그러나 세계선교운동에서 상황화가 교회의 선교적 삶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본질적 요소로 중시되어 적극 활용된 것은 탈기독교세계 시대의 출현 이후이며, 이것은 복음과 문화에 대한 인식론적 전이와 밀접히 관련된다. 다시 말해 상황화는 계시와 이성, 본체와 현상, 주관성과 객관성, 실증주의와 상대주의를 통전적으로 아우르는 비판적 사실주의 관점에서 복음의 경계 한정성 대신 중심 지향성이, 문화의 자족적 폐쇄성 대신 유기적 상관성이, 그리고 타종교의 문화적 우연성 대신 문화적 필연성이 강조되는 탈기독교세계적 사유의 산물이다. 이와 같은 인식론의 시대적 변천과 맞물려 1970년대 초 에큐메니칼계 신개념으로 등장한 상황화는 1980년대에 그 유형과 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연구를 거치면서 세계선교운동의 주류 패러다임으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세계선교운동은 ‘상황화는 함의상 과정성이, 유형상 포용성이, 그리고 방법상 적합성이 요청되는 교회의 선교적 실존의 필연이다’라는 공동의 선교신학적 인식 속에 단일문화적인 기독교세계가 아닌 다문화적인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며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고 있다.
국제법과 국내법의 충돌은 헌법 학자와 국제법 학자의 연구 대상으로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이러한 충돌은 국제적인 성격이 강한 해상법의 영역에서 실제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런데 최근 해상법의 영역에서 종래 헌법이나 국제법 이론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법률가들이 미쳐 검토와 대안을 제시하기도 전에 그 영역을 확대 하여 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처음에는 해상법의 영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최근에 다른 분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종래 국제법과 국내법은 모두 국가주권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고 국가의 동의를 통하여 성립한 조약의 범위 내에소 조약이 효력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약에 기초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국제기구가 스스로 많은 규정을 만들어 이를 세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적용 대상인 국가가 국가 주권을 내세워 이에 대항할 수 없는 현상이 차츰 여기저기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고 이는 결국 국제법이 사실상 국내법에 우선하는 효력을 갖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국제적인 성격이 강한 해운 항공 및 통신 분야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더러 지고 있으며 특히 해운 분야에서는 해운활동을 규제하는 많은 국제적인 규범이 있는데 어느 국가이든 이를 사실상 수용하지 않을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현상에 대하여 법률가의 입장에서 절차적으로 이를 어떻게 정당화 하며 국내법적으로 어떻게 그 범위와 한계를 설정할지 의문이 제기된다 최근에 이탈리아에서 유럽 연합과 관련하여 이 문제가 제기되어 이탈리아 헌법의 개정에까지 이른 경험을 바탕으로 해상법학자로서 비록 최종적인 결론을 제시할 성질은 아니라 하더라도 앞으로 이 문제가 발전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greement and test-retest repeatability of two methods for measuring magnitude of toric lens rotation. The two methods assessed were using the slit lamp biomicroscope and a newly developed software tool for the iPhone platform called “Toric App” which uses the built-in camera of the iPhone. Methods: Thirty three participants (66 eyes) wore toric lens (silicon hydrogel material with the prism ballast design) both eyes. Two operators, both registered optometrists, measured toric lens rotation using the two methods. One operator used the same method twice for an assessment of test-retest repeatability of each method. Inter- and intra-operator agreement and repeatability were assessed using Bland-Altman analysis. Results: The ninety-five percent confidence intervals (95% CIs) for the limits of agreement between the silt-lamp biomicroscope and Toric App methods was ±9.1 degrees. Measurements using the two different method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0.40) (paired t-test, p=0.32). Inter-observer agreement of lens rotation was ±7.9 degree (95% CIs) using the slit-lamp microscope and ±7.8 degree using the Toric App. Intra-observer repeatability was ±6.6 degree using the slit lamp microscope and ±6.8 using the Toric App. Conclusions: Th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view of the fact that toric lenses are not static but move with the blink thus the location of the reference point is unlikely to be at exactly the same location at the different measurement times. Despite this source of variability in the results, the newly developed software tool for iPhone provides clinically comparable performance to slit lamp biomicroscope measurement which does not appear to be operator dependent. This software tool may be a useful for those optometric practices have limited access to a slit-lamp biomicroscop
본 연구는 서울시 생활권 도시숲의 유형과 규모에 따른 이용행태 차이를 비교하고자 도심 소규모산인 봉제산과 외곽 대규모산인 아차산 이용자를 대상으로 2009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설문 및 보드판을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시숲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 시설 및 관리의 수요와 만족도, 그리고 통행패턴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용행태의 공통점은 주 이용객이 남녀 모두 주로 40대에서 60대 이상이었으며, 오전 7시에서 12시 사이에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고, 거의 매일 이용하거나 일주일에 2~3회 방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거주지에서 생활권 도시숲 입구까지의 접근성은 양호하다고 판단되며, 숲길 내 시설물과 관리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보완 및 필요시설물로는 ‘위생시설’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용행태의 차이점으로 봉제산의 이용객 대부분은 2km 반경 이내(도보기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으로 평균 1.3km 거리를 이동하고, 24분 정도를 소요하는 단시간의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차산의 주 이용객들은 4km 반경 이내(도보기준)에 거주하는 지역민과 타지역민으로 60% 이상이 평균 6km의 거리를 이동하고, 3시간 반 정도 소요되는 경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유형과 숲의 규모가 다른 서울시 생활권 도시숲의 이용행태 조사를 통하여, 주 이용자들을 위한 이용프로그램의 도입이나 도입시설 관리에 차별성을 두는 관리 기법이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여가시간의 증가에 따라 지역주민의 도시숲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여 도시숲도 공원녹지와 같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A fiber-opti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ystem, which transmits the 1.4 GHz reference signal from H-maser to receiver cabin in radio telescopes, was adopted for compensating the phase changes due to temperature variation and antenna movement. At the first experiment, the remote signal’s phase changed more than 15 degrees at 1.4 GHz. We found unstable components in sub-system experiments and replaced them. The main cause of unstable phase stability was the unaligned polarization axis between Laser Diode and Mach-Zehnder Modulator (MZM). The improved system stability showed 1 × 10-16 allan standard deviation at 1,000 sec integration time with the antenna fixed. When the antenna moves in the azimuth axis, the 1.4 GHz remote signal showed the phase change smaller than 0.2 degrees.
To profile the proteome in porcine plasma,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dult male barrows and those plasma were retrieved. For the depletion or pre-fractionation of high-abundance proteins, plasma samples were treated with commercial kits. Then, protein profiling was initiated using one and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Proteins were spotted and then identified by MALDI-TOF-TOF and LC-MS-MS. In the results, more than forty six proteins were identified and the reference map was constructed. The pre-treatment for the removal of high-abundance proteins caused the changes in 2-DE images and some of the proteins were newly uncovered after the most of high abundant proteins were removed. However, it is expected for further steps necessary to identify more low-abundance proteins that may contain potential bio-markers.
본 연구는 빠른 운항 속도와 짧은 운용 시간을 요구하는 임무에 활용될 저가 소형 자율 무인잠수정에 고가 대형 관성 측정 장치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저가 소형 자세 측정 장치 개발 및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저가 소형 자세 측정 장치 개발을 위해서 MEMS 기술을 적용한 gyro, accelerometer 및 magnetometer 채택하여 MEMS 기반 하드웨어를 제작하였으며, 좌표 변환 공식과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자세 계산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된 MEMS 기반 자세 측정 장치에 대한 기본 성능 검증을 위한 지자기센서 검증 시험, 정적 자세 시험, 차량 시험, 운동 모사 장치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각각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자기센서 검증 시험 결과 외부 자기장 보정을 통하면 개발된 MEMS 기반 자세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가 외부 자기장에 강인함을 확인하였으며, 정적자세 시험 및 차량 시험을 통하여 자세 변화가 크지 않는 환경에서 자세 측정 오차가 0.5°/hr 임을 확인하였다. 운동 모사 장치 시험을 통하여 5분 내외 자세 변화가 큰 운동 중에도 자세 측정 오차가 발산하지 않고 1°/hr 이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개발된 MEMS 기반 자세 측정 장치가 목표 성능인 1°/hr이내 roll, pitch, yaw 오차를 보여주고 있음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20분 내외 운용시간 동안 정확한 자세 정보 제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in many international and reg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Several international documents safeguard freedom of religion including the right to convert from one faith to another. In Malaysia, the safeguard of this fundamental right is provided under Article 11(1) of the Federal Constitution with some limitations. The right to convert out of one’ s faith is not mentioned explicitly. However, for the non- Muslims, this right to opt out of one’ s faith and choose another has been regarded as an implicit part of religious liberty guaranteed by Article 11. In relation to the Muslims, the issue of apostasy is regarded as a taboo as well as a politically explosive proposi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freedom of religion under international law focusing mainly on the issue of apostasy in the context of the Malaysian Federal Constitution.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position of Muslim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embracing a new religion remains unsettled.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반교회적, 탈교회적 상황이 확산되는 시대적 상황은 교회의 본래적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절실히 요청한다. 이러한 교회 본질의 회복의 일환으로서 필자는 하나님나라와 하나님나라 전도(kingdom evangelism)를 하워드 스나이더의 이론을 바탕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총 6장으로 구성된 본고는 하나님나라의 성서적 개념, 하나님나라의 신학적 논의, 스나이더의 하나님나라 모델들을 순차적으로 탐구한 후, 영적, 사회적, 생태적 구원을 총괄하는 하나님나라 전도를 교회의 본질적 사명으로 제시한다. 스나이더에 따르면 하나님나라는 본질상 현재-미래, 이생–내생, 개인–사회, 점진–급진, 인적–신적, 교권–비(非)교권 등 6중적인 양극성을 수반한다. 이런 창조적인 긴장관계에 주목하면서 그는 하나님나라의 성서적 표현과 역사적 표출을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분류한다: 1) 미래의 희망, 2) 내면의 영적 경험, 3) 신비로운 사귐, 4) 제도적인 교회, 5) 대안 사회, 6) 정치적인 국가, 7) 기독교적 문화, 8) 지상의 유토피아. 이처럼 다양한 사상 중에서 스나이더의 주관심사는 재세례파, 스탠리 하우어워스 등과 경건주의, 스탠리 존슨 등이 각각 지향했던 ‘대안 사회’ 즉 전복적 하나님나라(subversive kingdom)와 ‘기독교적 문화’, 즉 변혁적 하나님나라(transformative kingdom)에 통합적으로 기울고 있는데, 이는 양자가(특히 후자가) 성서적으로 적합한 개시된 종말론(inaugurated eschatology)에 기반하고 상기한 6중적 양극성을 전향적으로 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후자의 스탠리 존슨이 주창한 하나님나라의 우주적 복음에 경도된 스나이더는 하나님의 창조적 주권성과 인간의 청기기적 선교성에 주목하면서 생태학적 차원까지 아우르는 하나님나라의 전일성을 강조한다. 스나이더의 하나님나라 사상에서 교회는 하나님나라 공동체로 부름을 받았다. 세속적 집단과 성별된 선교 공동체로서의 교회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왕권의 범우주적 선포와 실현을 위해 즉, ‘회심(conversion), 제자화(discipling), 정의(justice), 문화(culture)’를 포괄하는 하나님나라 전도를 위해 세상으로 보냄을 받았다. 따라서 하나님나라 전도에 올곧게 집중할 때 교회의 정체성과 생명성은 최고로 발현되며, 바로 이 때 신적 샬롬이 영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온 피조물의 삶에 회복되고 구현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asonal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 reference stream as well as the effects of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 study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sampled seasonally at five different sampling sites with five replicates at Changjeon stream in Mountain Gariwang from spring to winter in 2011.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e.g., discharge, width, substrate,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pH and water temperature) were measured at each sampling sites.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and pH were similar among the sampling sites, whereas hydrological factors including discharge and width tended to be high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In substrate composition, the relative ratio of large substrate such as cobbles was higher in summer season. In macroinvertebrate samples, 79 species with 2 phylum, 5 order and 9 family were identified during the sampling periods. Gammarus sp. was higher in upstream (sites 1 and 2), whereas Chironomidae spp. tended to be higher in downstream. In functional feeding groups, shredder was higher in upstream, whereas predator and collector-gatherer were higher in downstream. The ratios of Gammarus sp. and Plecopetera were higher in summer.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appl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during the survey periods, representing the seasonal changes as well as hydrological gradients.
2010년 11월부터 유럽 4개국 5개 고등교육기관 10여명의 중국어교육관련 연구 자들은 매우 중요한 새로운 임무를 부여 받았다. 유럽언어공동기준(CEFR: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을 기초로 한 유럽중 국어공동기준이었다. 중국어는 자모문자가 아니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 는 말하기와 쓰기로 분류하여 설계가 고려되었고, 각 등급에 따라 대응되는 “언어 능력표현”에 말하기-듣기 활동 관련 동사 어휘표와 읽기-쓰기 활동과 관련된 한 자표를 제작하였다. 更科学地把口语和文字区分开来, 以便更有效地发展学习者的语言能力。 본 문에서는 중국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분리하여 강조함으로써 중국 어 교사가 더욱 체계적이며, 더욱 과학적으로 말하기와 문자를 분리하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을 체계화하였으며, 이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구성하였다.
Since November 2010, a team of a dozen researchers from fiveuniversities and institutes of four European countries has been workingon challenging project: how to adapt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Reference for Languages (in us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 for the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of European languages around Europe)to the Chinese language, a very distant language for European learners,with the peculiarity of its non-alphabetic writing system. In the end,the approach adopted by the team was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oraland written activities at each level of the framework. For the oralactivities the team has provided lists of words, and for the writtenactivities lists of characters. We focus on one point: we hope thisdissociation between oral and written in the Chinese framework willencourage more and more teachers to separate oral and written in teachingand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in the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so as to allow the learners of Chinese to develop each language competencemore efficiently.
We tested the identification ability of DNA barcodes comparing with morphological data using the Korean butterflies. The 921 samples (4.6 samples per species) for 202 resident Korean species except migratory species were used. The obtained samples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based on wing patterns. In a result, genetic divergence to the nearest-neighbouring taxon varied from 0 to 28.2%, with an average of 13.4 per cent. The neighbour joining (NJ) tree profile showed that sequence data for 185 of the 202 species formed distinct barcode clusters. Thus, our results indicated that 91.6 percent of the species were possible to allow the reliable identification using DNA barcoding. The rest 17 species (8.4%) consist of following four cases: clustering separated from each species by less than 1% branch length (two species pairs), paraphyletic clustering (two species pairs and one triple species pair), polyphyletic clustering with sharing barcodes (three species pairs), and clustering separated from existing species by the deep branch divergence (four clusters). However, it was not easy to interpret these ambiguous cases only using our current taxonomic evidences. Therefore, we are performing integrative taxonomy on these cases using other additional evidences such as examination on male genitalia and analysis of other gene regions.
This paper discusses some of the expected features of multimedia based education and the teaching approach that promote active learning. The possibility of the multimedia-based education can have potential roles in enhancing learning. The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audio and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with the goal of improving comprehension and retention. Certainly multimedia based education in English was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On the contrary, multimedia based education in German has not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Fritz Lang`s film <M> will be analyzed in this paper. It is Lang`s first soundfilm, so that the sound and picture have an effective function in the film. Otherwise the film. which was made in the Weimar Republic, presents social anxieties in Germany of the 1930. The paper concludes that multimedia based education in German is not only language but also culture education useful and effective.
The countries in East Asia continue to have problems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collision on September 7, 2010 between a Chinese fishing vessel (Minjinyu) and a Japanese patrol boat in the waters near Diaoyu/Senkaku Islands is interesting to observe as a step in dispute settlement proc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C and Japan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for the East China Sea and the legal status of Diaoyu/Senkaku Islands are demonstrated by this incident. To see things in their context,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practices of East Asian countries in handling thei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s, especially those involving islands with disputed legal status. The rules of international law relating to the pacific settlement of dispute and maritime delimitation dispute resolution, which involve a preliminary sovereignty dispute over islands, are also relevant as a much broader background. The author will examine why certain maritime delimitation cases are particularly hard to handle. The lessons drawn from this paper is inspiring for Taiwan, a long-time marginalized player in East Asian regional affairs. The author will examine the difficulties and opportunities for Taiwan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nd offer a suggestion on how to accomplish such task with neighboring countries.
본 연구는 2000년 이래 영국과 미국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 제작사가 제작한 지도를 중심으로 동해 해역의 지명표기 형태를 조사하고, 그 원칙을 분석한 것이다. 대부분의 지도 제작사들은 지명표기와 관련하여 자체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데, 동해 해역은 ‘일본해(동해)’의 형태로 병기했지만, 여전히 ‘일본해’로 단독 표기한 경우도 있다. 한편 지리교재 제작사는 지명표기를 저자들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그 결과 지리교재에 따라 동해 해역에 대한 지명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의 확산을 위해, 영미권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의 저자들에게 동해 지명의 정당성을 전략적으로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