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환경예술에서 환경 공간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특 수교육을 위한 환경 공간에 대한 기능적 디자인을 탐구하려는 목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환경 공간의 기능성 디자인 원 칙과 디자인 방법 및 디자인 동향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수용자의 기능적 공간 수요를 발굴하고, 특수 교육 체계에서 환경 공간디자인 모듈을 보완하여 환경예술 디 자인을 각 사회집단에 가장 적합하게 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인문적 배려를 강화하여 공간환경을 기능적 장벽을 제거하여 수용자의 감성적 장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법을 마 련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5,500원
        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series of basic research to draw the pilot design measures for developing the habitat apparatus of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inhabiting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this study conducted a water tank experiment to understand the habitat marine environment of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and the preference of habitat space focusing on the research fisheries performing the discharge of marine products. In the composition degree of marine algae in both fisheries, Donggwi-ri showed the highest gulfweed (79.3%) as brown algae and there were some coralline algae (17.2%) as red algae. Hansu-ri yielded the highest gulfweed (48.1%) as brown algae, which was followed by sea lettuce (10.4%) as green algae. In the preference of habitat space, the shelter angles 40° showed the highest adhesion as number of 82.9, which was followed by 60° and 70° as 69.2 and 68.2 respectively (P<0.05) by review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abit of Sa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in the coastal fishery of Jeju Island, when considering the adhesion rate in each of five shelters with different angle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and monitoring for designing the fish shelters suitable for the coastal fisheries of Jeju island, and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add the field-centered sustainable concrete research.
        4,000원
        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등 생태환경요소가 도시재생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분석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를 통해 생태환경지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선도지역 및 일부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각 현황별 하위 항목을 지표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지고 도시재생의 중요한 평가 지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인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주택보급률, 기초생활수급자비율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표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녹지율과 기초생활수급자 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 니라 공원 및 녹지 등의 생태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도시 재생 연구는 건물, 산업, 문화 지표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에는 생태환경 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에 대한 정의와 통계 데이터 부족 등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 한 연구의 한계가 남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구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유추된다.
        4,000원
        9.
        2013.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public place for children and it is where they spend most of their days. Ten elementary school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were measured in the classroom, playground and school zones (June 19 ~ Nov 1, 2012). Dust measurements of some schools were more indoor air. Measurements of black carbon concentrations were higher overall school zones. Also, in the case of formaldehyde, benzene and some environmental standards were exceeded. In the case of outdoor pollutant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 some cars and vans that were correlated with pollutants. Thus, strategies and actions are necessary that will protect the health of children in schools from environmental pollutants.
        4,800원
        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간 가로공간의 보행자 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야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소재 가로수가 잘 조성된 주거지 주변의 대로를 중심으로 야간 보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하여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요인으로 도로정비 요인과 조명환경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심리적 요인으로 범죄위협 요인과 야간 보행안전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요인이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도로정비 요인은 야간 보행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인 범죄위협 요인과 물리적 요인인 조명환경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범죄예방환경설계의 방향과 일치하며 조명환경 요인을 개선함에 따라 범죄위협 요인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야간 보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 공간의 설계 시 조명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관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설계 대안 제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1.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orbits the Earth within the inner radiation belt, where high-energy protons are produced by collisions of cosmic rays to the upper atmosphere. About 6 astronauts stay in the ISS for a long period, and it should be important to monitor and assess the radiation environment in the ISS. The tissue 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TEPC) is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impact of radiation on the human tissue. KASI is developing a TEPC as a candidate payload of the ISS. Before the detailed design of the TEPC, we performed simulations to test whether our conceptual design of the TEPC will work propertly in the ISS and to predict its performance. The simulations estimated that the TEPC will measure the dose equivalent of about 1:1 mSv during a day in the ISS,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measurements.
        4,000원
        1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파트 필로티 공간 활용과 친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내용으로 설계안을 구성하였다. 계획대상지 면적은 약 11,700㎡이다. 이웃과의 소통이 줄어드는 최근 주거문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파트라는 단순한 주거시설을 넘어 예술적 문화공간을추구하는 이념 아래 예술과 자연, 그리고 이웃이라는 삼각형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소통이 있는 주거 공간 형태를계획에 반영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으로 첫째, 기존의 단절된 아파트로서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소통의 장을 열어주어 친보행공간을제공하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보행로를 램프로 설계하여 노약자가 존중받을 수 있는 주거 문화를 창출하도록 계획하였다.셋째, 자원 순환 프로그램과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 예술 활동이 가능한 유연한 공간을 창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아파트 조경설계 개념을 벗어나 예술과 이웃,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과의 소통을 이끌어냄으로서 새롭고진보적인 아파트 공간 조성 계획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current Engineering (CE) has presented new possibilities for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by incorporating various product life-cycle functions from the earlier stage of design In the product design, geometric representation is vital not only in its
        4,000원
        1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3D 가상공간상에서 농촌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작물재배, 가축사육 등을 가상 체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주말농장 체험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웹 형태의 온라인 농작물재배/축산물 사육 시뮬레이션에서는 각종 텍스트 문서에 정지화상(사진이미지)을 적절히 조합하여 보여주는 형태가 대부분이며, 동영상으로 되어있는 내용들도 고정적인 이미지를 통한 정보습득 및 학습하는 형태로 되어있는데, 사용자들은 이 내용들보다 더욱 상세하고 많은 내용들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3D그래픽과 다중접속 네트워크 기술로 현실감 있는 가상의 농장 환경을 제공하여, 작물재배와 같은 기초적인 부분부터, 토지 환경 등을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며 농작물 재배가 실제 환경과 유사하도록 시뮬레이션 엔진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농업 교육이라는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귀농 정책과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가지며,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작물 재배에 관한 학습 교재로서 기능을 가진다
        4,000원
        1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냉방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분포상의 문제점을 실측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서 궁극적으로는 대공간의 열환경 개선과 효율적인 냉방설계를 위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부하 미고려시의 하절기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실험을 비냉방시와 냉방시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공간내 수평 및 상하온도분포특성, 취출기류의 거동특성, 실내쾌적온열환경 특성, 환기량 평가 등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4,200원
        1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공간의 난방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분포상의 문제점을 실측실험을 통해 확인하여, 궁극적으로는 대공간의 열환경 개선과 효율적인 난방설계를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부하 미고려시의 동절기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실험을 비난방시와 난방시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공간내 수평 및 상하온도분포특성, 취출기류의 거동특성, 실내쾌적온열환경 특성, 환기량 평가 등 대공간의 실내열환경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4,200원
        1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th is exposed to constant outflow of the solar wind from the outer layers of the Sun, and violent transient events taking place from active regions increase the energy flux of both radiation and particles leaving the Sun. Thus the space surrounding the Earth is a highly dynamic environment that responds sensitively to changes in radiation, particles and magnetic field arriving from the Sun. Nowadays,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physical system of Earth-space works and how the space around the Earth connects to interplanetary space. In the present paper we describe how explosive solar events, such as CME(Coronal Mass Ejection) and flares affect the Earth-space environment and how the space weather reacts to them. Practical consequenc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why a broader view of Earth's environment is greatly needed to cope with modern day's inhabitation problem in a rapidly developing space age.
        4,000원
        20.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ng Bogo Station (JBS), the second Korean Antarctic research station, was established in Terra Nova Bay, Antarctica (74.62°S 164.22°E) in February 2014 in order to expand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research capabilities. One of the main research areas at JBS is space environmental research.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 region ionosphere and thermosphere and their responses to solar wind and the magnetosphere. Ground-based observations at JBS for upper atmospheric wind and temperature measurements using the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began in March 2014. Ionospheric radar (VIPIR) measurements have been collected since 2015 to monitor the state of the polar ionosphere for electron density height profiles, horizontal density gradients, and ion drifts. To investigate the magnetosphere and geomagnetic field variations, a search-coil magnetometer and vector magnetometer were installed in 2017 and 2018, respectively. Since JBS is positioned in an ideal location for auroral observations, we installed an auroral all-sky imager with a color sensor in January 2018 to study substorms as well as auroras. In addition to these observations, we are also operating a proton auroral imager, airglow imager, global positioning system total electron content (GPS TEC)/scintillation monitor, and neutron monitor in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es. In this article, we briefly introduce the observational activities performed at JBS and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se observation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