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 일본인 다문화가정의 자녀양육 이해 및 국제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인의 자녀양육관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본 오키나와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2곳과 소학교 1곳의 학부모, 대학교 1곳과 공민관 1곳의 성인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인의 자녀에 대한 가치 인식에서 ‘자녀를 갖는 것은 인생에서 가치있는 일이다’란 인식이 4점 만점에 3.5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의 필요성은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낫다’가 62.2%로서 자녀의 필요성이 약함을 보여주었으며, 아들과 딸에 대한 기대에서 ‘성격 및 태도’에 대한 기대가 각각 가장 높았다. 둘째, 일본인의 자녀양육인식에서 자녀에 대한 정서적 지원은 ‘평생 동안 언제라도’가 56.4%로서 가장 높았고, 경제적 지원은 ‘대학졸업 까지’가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영유아기 시기일 때 바람직한 경제활동상태에 대한 인식은 ‘아버지만 취업하고, 어머니는 집에서 자녀양육’이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본인의 자녀양육태도에서 자녀훈육태도는 ‘자녀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칭찬해 주기’가 4점 만점에 3.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훈육태도를 보였다. 좋은 부모의 조건 은 ‘자녀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의 어려움으로는 ‘자녀양육과 일의 병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인의 자녀양육관을 규명하여 한국인과 비교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6,4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歷史는 勝者의 論理’라고 흔히들 말한다. 백제가 나당연합군의 침공에 의해 660년 7월 18일 멸망하면서, 百濟의 마지막 수도였던 ‘扶餘’는 불타고 한반도 역사의 전면에서 완전히 사라져 統一新羅時代와 高麗·朝鮮時 代에 걸쳐 ‘작은고을’로 겨우 命脈을 유지해 왔다. 1300여년이 지나 또 다른 침략세력인 ‘日本’에 의해 한반도가 植民支 配를 받는 기간에 아이러니하게도 ‘부여’가 일본 아스카 문화의 뿌리라는 것과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구축하려는 숨은 의도에 의하여 역사의 전면으로 재부상하게 된다. 1914년 전국 郡·面統合을 주도한 오하라신조(小原新三,1873.-1953.)는 조선에 오기 전 일본 나라현(奈良県)의 사무관으로 재직하면서 아스카·나라시대의 문화와 백제문화가 깊은 관계가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던 사람 으로, 작은마을이었던 부여군(10개면)을 주변의 3개군(석성군·임천군·홍산 군)을 흡수하여 부여군(16개면)으로 통폐합하여 부여군의 위상을 제고(提 高)하였다. 이어 1915년 충남도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경복궁에서 열린 공진회에서 ‘부여팔경 디오라마’를 제작하여 116만 여명의 관람객에게 부여를 홍보하는 기회를 갖기도 하였다. 한편, 1915년 ‘공주’와‘논산’에서‘부여’간, 정기 교통편이 개통되는 등 타 도시와 교류 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다. 1927년에 조선팔경 선정시 작은고을이었던 ‘부여’를 선정하는 등 다방면에서 ‘부여’의 位相提高노력이 이어졌다. 이 와중에 예부터 이름이 있던 곳들을 대상으로 부여의 23곳 관련 그림엽서들이 발행되었고, 그 중에서 발행 주체가 명기된 4곳은 부여고적 보존회(1915-1929),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 (1929.2.20.-1939.5.30.), 산구팔경당(山口八景堂), 다까바다게상점(高畠商店) 등이고, 발행 주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것들도 다수 살펴보았다.
        6,700원
        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perceive the similarity of stop sound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he results found, compared to the beginner’s group, the advanced group showed a lower rating value for the similarity for the same stimulus sound, and the learners with a higher perception ability distinguished lower similarities, even among the inner groups of the beginner’s and advanced group.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related information in the native language affects how the learners perceive lenis consonants in word-medial position in the Korean language, as Japanese stop sounds are divided into two sounds depending on [±voiced] feature, whereas Korean stop sounds do not have a voiced sound in word-initial consonantal context, but the lenis consonants go through voicing in word-medial position. In result, Japanese learners tend to perceive the lenis consonants in word-medial position much better than other sounds, and it was shown that the related information in native language had played a positive role in perceiving Korean word-medial consonants.
        6,0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internal process while they are translating. To figure out invisible internal process of the learner, Key logging during translation process, short interview after translating and behavioral observation were used. For consider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internal process, Pause, Deletion, Moving and Mistranslation were chosen. In particular, Pause was chosen to work as criterion when analyzing other behaviors. By analyzing those behaviors, three internal processes were found: (1)Deliberatiing on words or phrases following the pauses, (2)Considering ill-matched words or phrases between source text and target text, (3)Continuous checks on what writers had written down. Deliberations were generally found before the long-term pause. Learners were deliberating what to write on next phrases, due to their scarce knowledge of grammatical colloc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nsidering ill-matched words or phrases between source text and target text shows variety of behaviors such as moving, deletion after the long-term pauses. According to the learners’ interview and researcher’s observation, it was arisen when the learners are fail to find the acceptable expressions in target language. Continuous checks on what learners had written down were generally found after the translation was finished. Entire part of target text was examined in this type of process. Thus, long period of pause was required for reading source text and target text, also deletion and moving was required for correcting mistranslated words or phrases. It infers that learners’ behaviors are combined to suggest certain meanings of internal process. Thus, these behaviors do not suggest solid internal process. With more elaborated analysis, this
        5,400원
        6.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年からの医療観光の発展と釜山に滞在中の日本人の人口増加とともに医療機関での患者と医療関係者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は医療機関選択の重要な一部分をしめしている。日本人の医療機関利用の最大の前提条件は、医療関係者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と言える。本稿では、患者と医療関係者の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に出版されている医療関連日本語教材の内容と構成を調査し、問題点を分析してみた。その結果、内容構成の問題で診療科目の中で韓方に関する内容の不充分や診療科目の単語量の不充分、韓国語の用語と日本語の用語で示されている類語の説明不足と擬音語․擬態語活用の説明不足などの問題点があった。このような問題点をもとに医療関係者を対象にするアンケート調査を通じた実質的な分析をしていく必要があると思う。
        6,100원
        8.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asic characteristics of the adjustment process to Korean food with an analysis of Japanese independent tourist culture social resistance factors. To collect data for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84 Japanese tourists through Korean travel agenc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media and cultural beliefs affecting the diffusion process of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belief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ffusion process of most Korean food. However, people who value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South Korea and Japan-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nd identification group. Therefore, cultural beliefs did not influence the diffusion of Korean food, although there are surely cultural beliefs and subje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reform decisions.
        4,000원
        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conducted by 30 Korean specialist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green onion kimchi product. The long green onion shape, kimchi juice, seasonings, off-odor of fermented sea food, and stimulatory flavor of green onion were the main issue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green onion product. Usage of the favorite ingredient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also suggested. The percent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ho already knew green onion kimchi were 54.1% and 30.3%, respectively, whereas 46.8% of Chinese and 28.1% of Japanese have actually tried green onion kimchi in Ko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etween Chinese (3.25/5.0) and Japanese (3.17/5.0) consumers. Fo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een onion, Chinese consumers thought off-flavor, fibrous texture, and fermentation level were more significant while the Japanese considered red color, various taste, MSG content, and length of green onion. Seasoned tofu with green onion and rice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foods to green onion kimchi by the Chinese and Japanese, respectively.
        4,000원
        1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apanese"s consciousness among region, age, and job. Although traditional and conservation trend is strong in Tohoku and Kyushyu, people in metropolital areas tend to stick to old customs rather than those in non-metropolis.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between suburban and rural areas is getting weaker.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research, however, the difference in consciousness was shown between Kanto and Kansai. People in big cities exhibit different consciousness, and people in Kyushyu show entirely different consciousness even in the same area like Kagoshim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ciousness regarding morals, politics and tradi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conspicuous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people who have different jobs. People in agriculture and fishery showed strong conservatism while peolpe in technique and business showed openness. If this research findings show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in region, age, and occupation, it might provide a model of stereo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ever, is to help Koreans to reconsider the stereotype of Japan,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help people to be aware of a variety of Japanese.
        5,200원
        1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ng, Eun-jin. 2004. An Analysis of Vocabulary Errors by Japa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This paper examines vocabulary errors, especially focusing on replacement errors in writing, of Japanese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vocabulary errors in writing,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t causes of the errors are native language influence, target language influence, and educational curricula, etc,.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rror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with the error list, the error correction list, and the study list for objective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rrors with nouns that aren’t used in the target language are caused by the transfer of the native language. Second, errors with adverbs occurred in relation to sentence meaning rather than word meaning itself. Third, errors with number adjectives appeared in the combinations of ‘native Korean numeral + Chinese-origin noun’, or ‘Chineseorigin numeral + Chinese-origin noun’. The teaching of combination rules about these sequences will help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o decrease these errors. Fourth, many errors with verbs and adjectives were found to come from meaning similarity that exists between the native and target languages. Fifth, errors with collocations were due to the transfer of Japanese to the target language and also to similarities in meaning.
        6,900원
        14.
        1999.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5.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f 1,244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boys and girls and their families in Tokyo and Seoul, we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participation in cooking and table manners.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age of parents was 40's, and the ratio of the kinds of fathers' job was similar including 75% of full-time salaried workers, while that of mothers' in Japan was 63%, in Korea 23%. The male participation in cooking in both countries was found in younger generations and that of fathers and boys in Korea was significantly fewer than in Japa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nd employment of housekeepers. The figure of frequency of supper taken together daily was 27% in Japan and 54% in Korea where they didn't begin eating until all families gathered or the elders began. In Japan the civilities before and after meals were so often customarily expressed and they had the regular order of seats. The figure of frequency of taking meals with TV watching was about 45% in Japan of breakfast and supper and more than 30% in Korea of supper. As for the participation in cooking and table manners, n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found out. In both countries, the newly modernized and democratized style of dietary behaviors was being made, rather sooner in Japan, out of the specific East-Asian traditional dining culture.
        4,000원
        16.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for the Japanese dietary style and dietary equipments, many are regarded, with the rice plant imported, as the influence of China and Korea, while traditional culture has recently changed in Japanese and Korean urban lives because of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and modernization of lives. Of 1,244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boys and girls in Tokyo and Seoul, we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employment of dining equipments October to November, 1987.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More cases that each member of a family had his or her own dining equipment were found in Japan. The frequency of using chopsticks was high in both countries. Korean children, having no struggles, handled chopsticks better than Japanese children. As for the dishing-up of sidedishes, more than half of Japanese used their individual plates, while in Korean families they used whole dishes. As for the employment of dining equipments, Japanese people have established their own style because of the national character of delicacy and finicality. This kind of traditional habits were found much more in extended families than in nuclear families. In Korea, the traditional spirit and the broad-minded characteristics cherished in the continental circumstances were manifested in the employment of dining equipments and their strong national character will not easily accept the wave of modernization.
        4,200원
        17.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Skype를 활용하여 일본인 고급 학습자의 구어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자 발 화 2,947어절을 대상으로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법 오류가 3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어휘(26건), 발음(22건), 담화(4건)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고급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모국 어 간섭의 영향을 여전히 받고 있다는 점. 둘째, 어휘 오류에서는 학습 어휘량이 많아지면서 유사 어휘에 의한 오류가 많이 나타난 점. 셋째, 두 언어의 문법 체계가 비슷하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문법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향후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를 할 때 이런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18.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Korean tourism industry to increase tourism revenue by attracting foreign tourists. Although Japanese tourist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Korean tourism industry for a long time, the level of tourist satisfaction including accommodation has been at the worst compared to other foreign visitors, which strongly requires concrete solution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Japanese visitors in the use of accommodation, and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managerial respon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customer review and managerial response of hotels in Seoul were collected from "Rakuten Travel"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line travel agency in Japan. As a result of collecting data from 2016 to 2018, 6,190 customer reviews and 1,241 managerial responses from 120 hotels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properties of 120 hotels, such as the number of rooms, classification, types of hotel facilities, types of room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prices, were collected. To test the hypotheses,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2.0. Results - It was found that only 25 sites, 20.8% of the total 120 sites, were implementing managerial response and average response rate was 66.42% among th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effects of the hotel attributes on the ratings, accessibility and price are confirmed as effective variables. We also found that the response rate has a significant moderate effect in both the accessibility and price.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and price on the ratings depending on the response rat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e rate is not a pure moderator variable but a quasi moderator variable. Overall, the evidences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Conclusion - It was possible to provide important suggestions to the hotel managers who were concerned about managing tourist satisfaction with accessibility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 accessibility problem could be overcome by increasing the response rate. It was also confirmed that high ratings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for high priced hotels by increasing the response rate.
        1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1870~80년대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과 「울릉도도항금지령」의 발령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주목하여 1881년 수토사에 의해 발각된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의 배경을 살펴보고 당시 우리 조정의 대응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기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은 일본의 관주도 하에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에 도항한 일본인은 야마구치현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일본 군함에 의해 조직적으로 파견되어 군함에 의해 철수시킨 것은 이를 대변해주는 것이다. 둘째, 이 때의 침입은 무인화 되어 있었던 울릉도에 침입하여 체류함으로써 경제적 이득 추구보다는 근대 국제법에 근거하여 새로운 섬의 ‘발견’과 ‘실효지배’라는 「무주지선점」의 논리를 적용하여 울릉도 를 침탈하려는 시도였다. 이것은 당시 검찰사 일행과 일본인 체류자와의 대화를 통해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셋째, 1881년 봄 일본인의 독도 침입은 수토사에 의해 적발되어 신속히 조정에 보고되었고 당시 우리 조정의 대응은 이규원 검찰사의 파견과 「울릉도개척령」의 반포로 이어졌다. 「태정관지령」 등을 통해서 울릉도·독도의 소속이 조선에 있음을 재차 확인하면서도 ‘죽도명칭혼란’ 등의 이유로 「죽도개척원」, 「송도개간원」 등의 청원을 통해 다분히 울릉도 탈취 의도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한 조선 조정의 대응은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이었다.
        2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7세기 해금 정책으로 인해 무인도로 된 울릉도·독도에 일본 어민들이 침입해 어업을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가와카미 겐조(川上健三)의 연구를 바탕으로 에도막부(江戶幕府)가 다케시마(竹島)=울릉도 도해면허처럼 마쓰시마(松島)=독도 도해면허도 발행하고 마쓰시마 를 경영했기 때문에 일본은 마쓰시마에 대한 영유권을 17세기에 확립했다고 주장했다. 이 처럼 17세기 일본인의 마쓰시마 어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본격적으로 검증한 논문은 거의 볼 수 없다. 본고는 이런 일본인의 마쓰시마 어업이나 도해면허를 분석 하고 독도 영유권 문제를 생각한다. 마쓰시마에서 어업이 시작된 것은 다케시마(竹島)=울릉도에서의 어업이 시작된 지 약 30년 후다. 이렇게 뒤늦게 마쓰시마 어업이 시작된 것은 많은 장애가 있었기 때문이다. 먼저 마쓰시마에는 80석짜리 정도의 작은 배로 갈 필요가 있었다. 다음에 마쓰시마에는 장작이나 식수가 거의 없으니 생활하기가 어려운데다가 강치에서 기름을 만드는 작업도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케시마에서의 강치 기름의 수확이 급감했기 때문에 어민들은 부득이 1650년대에 마쓰시마에서 강치 잡이를 시작했다. 그러나 강치 사냥은 악조건 때문에 “조금씩”밖에 못했다. 따라서 다케시마 도해가 없으면 마쓰시마 어업은 경제적으로 도 성립되지 않다. 가와카미 겐조는 어민들은 다케시마로 도해하는 도중에 먼저 마쓰시마에 들러서 어업을 했다고 주장했으나, 도해 기록을 분석하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케시마로 왕복하는 도중에서의 마쓰시마 어업은 없었다. 마쓰시마 어업은 다케시마를 기지로 삼아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 때문에 마쓰시마는 “다케시마 근처의 작은 섬” 등 다케시마의 속도로 인식됐다. 종래 다케시마로의 도해는 200석짜리의 큰 배 2척으로 갔는데, 마쓰시마에서 어업을 하려면 배 2척 중 1척을 80석짜리 정도의 작은 배로 바꿀 필요가 있었다. 그렇다면 가져올 수 있는 어획물의 적재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당초 오야(大谷)는 마쓰시마에서의 어업을 제의한 무라카와(村川)에 찬성하지 않았다. 그런데 무라카와만이 마쓰시마 어업을 시작한다 면 손해를 보기 때문에 무라카와는 오야·무라카와 양가를 돌보던 아베 시로고로(阿倍四郎五郎)를 움직여 오야를 설득했다. 드디어 오야도 수입의 감소를 각오해 마쓰시마에서의 어업을 시작하게 됐다. 이런 사정을 아베는 그때까지 전복을 헌상하고 있었던 로쥬(老中)에 알리고 양해를 얻었다. 이것이 “로쥬의 내의(內意)”인데, 가와카미 겐조(川上健三)는 이를 바탕으로 마쓰시마 도해면허가 발급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케우치 사토시(池內敏)가 주장하듯이 “로쥬의 내의”는 결코 도해면허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민들 사이의 사업을 조정하는 것이며, 마쓰시마 도해면허는 없었다고 생각된다. 오야·무라카와 양가의 어업은 조선인도 울릉도에 출어하게 되자 전기를 맞았다. 다케시 마(울릉도) 영유권을 둘러싸고 조·일 간에 울릉도쟁계(다케시마 일건)가 시작됐다. 논쟁이 평행선이 됐다는 쓰시마번의 보고를 받자 에도막부는 다케시마·마쓰시마의 조사를 시작했 다. 그 결과 다케시마는 조선 영토이며, 다케시마 근처에 있는 마쓰시마는 돗토리번에도 일본 어느 나라에도 소속되지 않다는 사실을 에도막부는 알게 됐다. 따라서 1696년에 에도 막부가 다케시마 도해금지령을 내렸을 때에 일본 땅이 아닌 마쓰시마도 도해가 금지됐던 것이다. 그 후는 약 200년 동안 마쓰시마에서의 일본인 어업은 기록에 없으며 마쓰시마에 상륙했다는 기록도 없다. 따라서 17세기에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했다는 주장 은 성립될 수 없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