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1.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해양법협약 체계에서 해양은 영해나 배타적 경제수역 등 연안국의 관할 수역과 공해로 구분된다. 공해 이외의 해역은 연안국의 주권이나 관할권이 미 치는 해역이고, 공해는 공해자유의 원칙이 적용되는 수역이다. 다만, 광활한 공 해에서 선박의 국적국만 관할권을 행사하면 선박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어렵고, 또한 연안국의 법령을 위반하고 공해로 도주하는 선박에 대한 통제 역시 불가능하여 해상질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선박에 대한 국적국의 관할권에 대한 예외를 구성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추적권이고, 이는 연안국의 법령집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 을 한다. 다만, 추적권의 개념이 도입되고 오랜 시간이 흘러 그 적용에 있어 기 술적 변화나 법률적 환경 변화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고, 이에 많은 학자가 추 적권 개념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추적권의 개념에 대해 검토하고, 추적권의 적용에 관해 새롭 게 논의되고 있는 주요 쟁점 사항, 그리고 추적권이 국내적으로 적용됨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몇몇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6,400원
        2.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countries have been operating radioactive waste disposal (RWD) programs to construct their own repositories and have used natural analogues (NA) studies directly or indirectly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long-term safety of deep geological disposal (DGD) systems. A DGD system in Korea has been under development, and for this purpose a generic NA study is necessar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as just launched the first national NA R&D program in Korea to identify the role of NA studies and to support the safety case in the RWD program. In this article, we review some cases of NA studies carried out in advanced countries considering crystalline rocks as candidate host rock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We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se case studies and their roles in reflecting each country’s disposal repository design. The legal basis and roadmap for NA studies in each country are also described. However becaus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depend upo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y can be only used as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various research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NA study environment for domestic disposal system research in Korea.
        6,900원
        3.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ighth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Mr. Ban Ki-moon, after serving 10 years retired on January 1, 2018. His memoirs, “Resolved Uniting Nations in A Divided World” were published in 2021. Ban Ki-Moon is the only UN Secretary-General who was born and brought up in a country that not only was a victim of an invasion but also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UN, the Organization itself was directly involved in countering the invasion. Ban Ki-moon’s memoirs narrates articulately and compassionately many issues that divide the world. The efforts and ‘resolve’ of the eighth UN Secretary-General to solve, ‘resolve’ and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so to speak) is reflected in the optimistic sentiment expressed in the concluding sentence of his book: “[t]ogether our mission is possible.”
        4,000원
        4.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the question on the legal instruments of international organisations that impose direct sanctions on individuals and legal entities have surfaced, such as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UNSC) Resolutions. States are obliged to implement the UNSC Resolutions but would face difficulties in this course. The UNSC’s coercive approach rubs international security against democratic legitimacy, especially when the Resolutions violat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of legality and human rights. To date, Indonesia’s stance on international law (including UNSC Resolutions) under its legal system remains unclear. This study analy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UNSC Resolutions in Indonesia, which has no uniformity without a UN Act. The case of North Korean vessel, MV Wise Honest, highlights the growing confusion in Indonesia because violation of the UNSC Resolutions has not been governed. Conclusively, Indonesia needs to enact a UN Act to provide legal certaint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SC Resolutions.
        4,900원
        5.
        2021.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12월 22일 우리 정부는 유엔해양법협약 당사국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이 국가관할권 외측수역에서 실시하는 해양과학조사를 규율하기 위하여 기존의 해양과학조사법을 일부 개정하고, 2021년 6월 23일에 시행하였다. 1982년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이하, 유엔해양법협약) 제238조는 모든 국가와 권한있는 국제기구는 그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해양과학조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동 협약은 영해, 배타적경제수역 및 대륙붕, 공해, 심해저 등 관할수역에 따라 그 규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양안거리 400해리 미만의 해양경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수역의 경우, 해양과학조사활동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중, 한·일간 해양경계미획정 상태인 우리나라의 해양과학 조사의 입법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 방학을 생각해 보았다. 또한 2006년 한 국과 일본간의 독도주변 해양과학조사 사례와 2006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분쟁, 2018년 중국의 부이사건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 정부의 입법태도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6,900원
        6.
        202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90s, despite the strong opposi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has frequently conducted nuclear weapons tests and missile tests, and the DPRK nuclear issu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ecurity and stability of the Asia-Pacific region. As an extremely important multilateral organiz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ASEAN has gradually increased its influe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with the advancement of integration in recent years. In order to further enhance its influence and enhance its participation in Asia-Pacific affairs, ASEAN has been trying to give its voice on the Korean nuclear issue.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ASEAN Summit are the most important platforms for ASEAN to express its position and views. Sinc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ecame prominen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en a key topic discussed in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ASEAN Summit. Judging from the conference documents produced by the conferences over the years, ASEAN's attitude towards the Korean nuclear issue is still being fine-tuned. Althoug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peatedly issued policies to condemn North Korea and impose economic sanctions, ASEAN is generally neutral and conservative in its attitude towards the DPRK nuclear issue, and it is also very cautious in its actions. Recently, with China and Russia following the United States, they began to impose severe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their words changed to severe condemnation, and ASEAN's attitude towards North Korea also changed subtly. To some extent, the changes of the Korean nuclear issue in ASEAN reflect the constant fine-tuning of ASEAN's foreign policy.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fine-tuning of ASEAN's foreign policy and its influence on ASEAN by combing the changes of ASEAN's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potential reasons behind the changes.
        7,000원
        7.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ligation to exchange views within the UNCLOS did not play its systematic role. The disputing parties are uncertain about the scope, mode, and standard of the obligation to exchange views, with adjudicators demonstrating their subjective tendencies. The low threshold of the provisional jurisdiction of maritime disputes, the emergence of jurisdiction over hybrid disputes, and the congenital deficiency of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of the UNCLOS address the obligation to exchange views which has not fully reflected the initial legislative intention and aim of the UNCLOS.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initiated by the Philippines demonstrates that the obligation to exchange views may be perfected and improved, to some extent, by enhancing the parties’ obligation of disclosure and the tribunal’s obligation of review. Where relevant unilateral or bilateral agreements exist regulating such type of disputes before the disputing parties initiate the compulsory arbitration procedure of the UNCLOS, the obligation to exchange views should be conducted with sufficient regard for the existence of such agreement.
        4,900원
        8.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경계획정에 대한 국가들의 시도는 분쟁당사국 간의 합의, 국제재판소의 사법적 판결로써 일반적인 흐름을 형성해왔다. 이것은 법의 유권적 해석에 관 한 정형화된 절차 또는 기관이 확정되어 있는 국내법과는 달리 국제법에 있어서는 ICJ, ITLOS 또는 중재법원의 결정들이 국제법의 해석에 관한 한 가장 권 위적이고 결정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제재판소의 재판의 준칙이 되어야 할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의 관련 규정은 해양경계획정의 목적이 ‘형평한 해결’에 있다는 것만 밝히고 있을 뿐 그 방법이나 고려해야할 관련사정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양경계획정문제는 아직까지 관련당사국들의 상이한 주장에 맡겨진 채 쉽게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양경계획정의 각 사건은 독특한 혹은 독자적인 것으로서 ‘선례구속의 원칙(Doctrine of stare decisis)’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판례로부터 일반적인 법원칙을 도출해 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재판소가 자신의 선 판례를 존중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후속 사건의 판단기준으로 인용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동안 축적되어온 국제 판례상의 해양경계획정원칙과 방법, 관련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해양경계획정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규칙을 도출하고 이러한 규칙에 따라 경계획정을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는 것은 실익이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유엔해양법협약의 개정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국제 판례의 리스테이트먼트 작업을 통한 법적 정리 및 국제적 권고 수준의 가이드라인 제정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해양권익의 확대에 따라 국가 간의 명확하고 신속한 경계획정이 우선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국가들은 구체적인 해양경계획 정방법을 고안하는데 협력하여야 한다.
        6,300원
        9.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국제 사회의 대응에 따라, 한국에서도 2002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보급 사업의 일환으로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2012년 의무할 당제(RPS)로 전면적인 제도 변동이 이루어졌고, 지금 현재에도 정책의 실효성으로 인한 정책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급격한 변동을 설명하는 요인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정책 과정에서의 외부적 요인을 주로 이야기 하고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정책 과정 내부에서의 변동 요인을 찾으려는 움직임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발국에 서의 제도가 새로운 제도로 급격하게 변동되는 요인에 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례로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사업에서의 발전차지원제도(FIT)에 서 의무할당제(RPS)로의 전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그 결과, 기존 논의에서 외부적 요인으로 정책 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설명한 것과는 달리, 내부적 요인인 의사결정방식 (Top-down)과 외부적 요인인 정권변동이 결합하여 정책변동을 일으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동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 설계 및 진화 과정에서의 정책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정책 형성자들에게 유용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8,400원
        10.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oday’s global marketplace, few consumers would bat an eye at a Central European retailer selling products manufactured in the US from raw materials purchased in Asia and Africa. Recently, Finnish connoisseurs of local craft beer were shocked to discover that even their local microbreweries were getting in on the act, albeit somewhat involuntarily. Strict regulations that govern the sale of alcoholic beverages in Finland essentially prevent the smallest breweries from distributing their products in the local market. Ironically, the only way for these small businesses to reach their local customers is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 setting up an online store across the border and serving the Finnish market from abroad. Drawing on the context of alcohol policy in Finland as an illustrative exampl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global markets can offer small businesses a way to counter unfavorable or discriminative local public policy. The study also illustrates the potential impact that businesses can have on policy by drawing public attention to its shortcomings, and offer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orough evaluation of policies for possible inconsistencies and outlining possible indicators that such inconsistencies may be present.
        3,000원
        1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중국은 현재 2015년 12월 재개된 해양경계획정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양국은 경계획정 방식에 대해 이견을 보였는데, 중국은 해양경계획정 의 방식으로 형평의 원칙을 주장하는 반면, 한국은 등거리선/중간선 원칙을 주장하고 있다. 근래에는 해양경계획정 분쟁의 해결에서 ‘3단계 해양경계획정 방식’이 일반 적인 해양경계획정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단계 해양경계획정 방식’이 란 1단계에서 재판소가 관련해역에 잠정적 경계선을 작도하고, 2단계에서 ‘관련사정’의 고려를 통한 잠정적 경계선의 조정 또는 이동을 한 뒤, 마지막 단계에 서 불균형 검토를 통한 최종 경계선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판례를 검토하여 재판소가 인정한 관련사정에는 어떠 한 것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재판소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태의 해안선 이나 섬 등 ‘지리적 특성’과 ‘관련해안 길이의 현격한 차이’ 등을 잠정적 경계선 을 이동시켜야 하는 ‘관련사정’으로 인정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해양경계획 정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제규범으로 인정된 ‘관련사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협상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6,300원
        13.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선기선은 연안국 일반적 방향에 따라서 정상기선을 설정할 수 없는 특별 한 사정이 있을 때, 직선기선으로 정할 수 있는 예외적인 사정에 한해서 인정 되고 있는 제도로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은 이 러한 원칙을 무시하고 국제법규와 인접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지도 아니하고 협 의절차나 형평한 결과를 도출한 것도 아니면서 오직 자국의 해양관할권를 확대 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선기선이라는 제도를 악용하여 일방적으로 설정한 것이 다. 따라서 일본의 직선기선설정은 인접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바도 없이 일방 적으로 선포하여 유엔해양법협약을 비롯한 국제관습법 등 국제규범을 일탈하 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일탈은 관련국가간 법적·외교적 분쟁울 야기할 수도 있으 며 특히 동아시아 국가간에서는 그 해결이 또한 쉽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의 직선기선 및 기점에 관한 법적 문제점들을 유엔해양법협약의 관점뿐만 아 니라 관습국제법, 국가관행 및 특별사정 등에 기초하여 비교적인 분석 및 평가 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직선기선에 관한 일본의 여러 국가관행 및 국내 법률이 국제법과 일치하지도 않고 국제해양법상 일반적으로 승인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하에 유엔해양법협약 및 국가관행 측면에서 불법하게 설 정된 일본의 직선기선과 기점에 대한 법적 고찰과 함께 국제법 및 국제해양법 에 기초한 문제해결의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7,000원
        1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ief <Recreation of Man>(1937-1938) installed in the League of Nations’s building and the relief is the biggest work of Eric Gill. Unlike <Christ and Moneychanger>(1922-1923) in which Gill accused and directly rebuked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through the episode that appeared in the New Testament, <Recreation of Man> is the work of interpretation on the theme related to creation of man in the Old Testament from Gill’s view, and of Christian imagery toward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ric Gill decided the topic, to maximize both the posi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as a leader of international order of postwar and the British government as a donor. In this process, Eric Gill was figuratively shaping Christian vision and the critical view against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government. Also, borrowing some of the Michelangelo’s <Creation of Adam> known in art history, he took the form of a unique three-sided altarpiece. Confirming the meaning of this work can be achiev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mage and the inscribed sentence that can be seen in the unique method of Eric Gill. The Actual content of the religious poetry of the United Kingdom written in English and Latin, in the work, convey the idea that Eric Gill created the new world that built on the spirit of Christianity. Finally this sculpture work presents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lled League of Nations expressed as art and, at the same time, the religious beliefs of Eric Gill about the world was manifested in the international monument.
        5,700원
        15.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cope of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has been increasingly widened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in response to actions taken not only by the Member States but also in some cases by the individuals. In fact, a range of actions and decisions were taken by the Security Council, approximately in the late 1990s and after the so-called 9/11 attacks in the context of combating terrorism, as well as in other contexts against the member States. In consequence, the affected States and individuals had to seek redress from international or national courts on different grounds such as violations of human rights. This has led the domestic courts to develop novel jurisprudence. Thus, it is necessary to pay due attention to the jurisprudence created by these courts. This paper is devoted to analysis an interpretation by the High Court of Singapore in relation to sanctions resolutions of the Security Council against Iran.
        5,100원
        16.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a’s straight baseline regime deviates from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a number of ways. Such discrepancies are likely to induce legal and political conflicts between countries, and also the settlement of which would not be easy, in particular,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China’s straight baselines and basepoints should be analyzed and evaluat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s of UNCLOS, but also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based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tate practices, and special circumstances. Many of China’s State practices and laws based on straight baselines are neither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s, nor generally recognized as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This paper provides important legal insights into China’s straight baselines, which are unlawful from the perspectives of UNCLOS and State practices, and, in addition, suggest desirable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international laws.
        5,400원
        1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in the 2004 Report of the High-level Panel on Threats, Challenges and Change,“ A more secure world: Our shared responsibility” (under the heading “A more effective United N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tated: “The United Nations was never intended to be a utopian exercise. It was meant to be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that worked.”However, several authors in recent years have asserted that the victorious powers merely wanted to maintain the status quo and their privileged positions, and never intended the system to work and give up those privileges. This paper, however, argues the contention that the UN was never designed to function effectively, is a myth, and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important aspects and innovations that presented decisive new developments that originated with the United Nations. Thus the international court, which had in the interwar period been an institution outside the framework of the League of Nations Covenant, became an integral part of the UN system, making it more closely resemble a government with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functions. Even more prominent, concerning the executive branch, the Security Council, unlike what had been the case with the League Council, opened itself to instigate members to delegate powers for its effective functioning. This was a most significant innovation that would allow for democratic process in the organization and defence of peace. Finally, a new principle in international law, i.e. the concept of a “transitional period”for world organization, was conceived.
        6,100원
        19.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자상거래는 인터넷매체를 통한 비대면적 거래이며, 사업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불문한다는 점에서 소비자거래 또한 국내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국제소비자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분쟁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보호적 측면에서 전자거래에 관하여 전자거래기본법과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의 미비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그 비교법적 대상으로 국제거래로 이루어지는 전자거래에 법적 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통일적인 규범인 UN전자계약협약으로 하였다. 그리고 전자거래계약의 체결의 과정에 따라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정보제공, 청약과 청약의 유인, 오류의 방지, 성립시기와 장소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약과 청약의 유인과 관련하여, UN전자계약협약이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이나 유사한 관점을 보인다. 그러나 청약과 청약의 유인의 구분에 관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던 만큼, 분명히 명시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겠다. 다음으로 송신시기와 관련해서는 UN전자계약협약과 전자거래기본법이 다른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송신시기와 관련하여 다른 나라의 입장과의 통일적인 관점에서 규율하는 것이 증가하는 국제거래에서 필요하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장소와 관련하여 UN전자계약협약은 영업소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전자거래에서 장소의 개념은 분쟁발생시 재판관할을 확정하는 등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과 전자거래 기본법은 영업소가 2이상인 경우에만 주된 관리가 이루어진 곳을 영업소(place of business)로 본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영업소를 파악할 것인가의 명시는 없다. 따라서 전자계약협약과 같은 영업소의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개념의 명시의 도입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ist-in-residence which gets chances to create by artists’moving and encounteringnew culture is heightening its level in 21th century.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ssue ofcultural diversity and the role of artists which is for city revitalization and sustainability areaffect residency program in the midst of highly proceeded globalization that internationalexchange. Therefore, in the aspect of creative city, a new model is creating by reuse of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Asia or Eastern country become the subject in residencyprogram management, the issue of cultural diversity is getting more important, programsbased on project not just residence are managing. Furthermore, it has inter-countrycooperating system in the rage of cultural management. It means that artists’space ofcreating activity has a new, social role in spontaneously we need to approach to followingmodel in Korea, as well.
        6,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