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채의 지방산조성육종에 관한 연구 -IV. 재배장소를 달리하여 재배한 유채유의 지방산조성변화 KCI 등재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Ⅳ. Change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apeseed Oil by the Different Pla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7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1. 환경조건을 달리하여 재배한 유채유의 지방산조성은 품종과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함량이 낮은 지방산에서는 함량차가 적은데 대해서 함량이 높은 Erucic acid에서는 뚜렷한 차가 있었다. 2. 국내의 3개지역에서 재배된 유채품종의 지방산조성은 목포가 제주, 강릉보다 Erucic acid함량이 높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함량은 낮았다. 어느 경우나 단쇄지방산과 장쇄지방산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4. 목포에서 재배된 유채종자가 Erucic acid함량이 높았던 원인은 등숙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으며 일조시수가 적은데 있으며 이들 환경조건과 Erucic acid함량과의 사이에는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같은 경향은 한국과 일본의 지역차에서도 같은 원인과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5. 지방산개량육종은 등숙기간의 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으며 일조량이 적어서 Erucic acid함량이 높아지기쉬운 지역에서 육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Difference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rapeseeds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nd Japan were found. Erucic acid content of the rapeseeds produced in Korea, particulary in Mokpo was higher than that produced in Japan. While, the contents of oleic and linoleic acids produced in Korea were lower than those produced in Japan. It was considered being due to temperatur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hours of sunshine during the maturing period.

저자
  • 李正日(Mokpo Branch Station, Crop Experiment Station) | 이정일
  • 志賀敏夫(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Japan) | Toshio Shiga
  • 高柳謙治(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Japan) | Kenji Takayana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