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배 환경조건이 소맥품질에 미치는 영향 II. 지역별 기상조건이 소맥분 단백질함량 및 침전가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 Ⅱ. Effects of Regional Climatic Factors o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of Wheat Flou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재배 환경 조건이 주요 밀 품종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조광을 포함한 9개 품종을 8개 지역에 재배하여 지역별 기상인자와 소맥분 단백질함량 및 침전가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맥 재배기간중의 기온이 낮은 북부 일수록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는 품종에 관계없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에 미치는 가장 큰 기상요소는 등숙기간중의 평균 기온이었다. 3. 기온이 낮은 북부지역일수록 출수일이 늦어져서 등숙기간의 기온이 높아진다. 등숙기간의 평균기온이 높은 지방일수록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는 높아졌다. 4. 소맥의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온도반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온도반응이 예민한 품종은 Altas 66, Kitakamikomugi 및 영광이었고 둔감한 품종은 원광, Centurk 및 Bezostaya 이었다. 5. 소맥분의 침전가에 미치는 온도반응은 침전가가 높은 Atlas 66, Centurk, NE 701132, 품종들에서 높았고 침전가가 낮은 Roussalka 및 국내 품종들에서는 둔감하였다.

The effects of regional climatic factors on wheat quality were discussed. The most important climatic factor on wheat qual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of wheat was air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period of wheat. The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were higher in northern parts of Korea compared to southern parts in Korea. The varietal effects of ripening temperature o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of wheat were varied in nine tested varieties.

저자
  • 柳寅秀(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류인수
  • 申玄國(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신현국
  • 曺章煥(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조장환
  • 裵聖浩(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배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