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바라기 품종들의 생태적 차이와 수량성에 관하여 KCI 등재

Studies on Ecological Variation and the Yielding Capacity of “Sunflower”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최근에 도입된 해바라기 품종들의 우리나라 기상조건하에서의 생태적인 차이와 이에 따른 수량성을 검토하여 품종선택에 있어서나 재배적인 문제점을 구명하고져 25품종을 공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교적 수량이 높은 수원 001 bulgaria, local black giant, HESA. hybrid 204 품종들은 발아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90± 2일정도로서 이 기간의 적산온도는 1900℃ 이상이었다. 2) 유분함량이 높은 수원 001 peredovic, local black giant, Hungary, Sunbred 등은 발뢰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65~70일 정도로서 적산온도는 810± 50℃ 로 그 폭은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생육 Stage중 발뢰기에서 개화기까지의 일사량과 수량간에, 적산온도와 임실비율간에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수량이 높은 품종군들의 두상화직경은 19cm이상이었다. 5)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간장 및 경태간에는 유의성은 인정되나, 이들 요인이 두상화중, 종실중함유율 등에는 크게 영향하지 않었고, 6) 우리나라 기상조건하에서 종실중, 유분함량이 높은 품종들은 비교적 발아기에서 발뢰기까지의 일수가 짧고 개화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긴 품종군들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the ecological variation and yield factors under the Korea weater with the 25 sunflower varieties which have been introduced from abroad recently. As the results of thi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high yield and high oil content varieties seemed to have the short period comparatively from planting to head visible and to have long period from flowering to maturity.

저자
  • 金奎眞(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김규진
  • 趙俊鎬(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조준호
  • 柳益相(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유익상
  • 崔鉉玉(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최현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