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요 대두품종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2보 일장조건이 개화 및 제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e Soybean (Glycine max(L.) Merr) Cultivars : 2. Effects of Day Length on Flowering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96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광지역성 품종의 육종소재인 일장둔감형 품종의 선발 가능성과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국내외 주요 대두 55품종에 단일처리를 하여 개화 및 몇가지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일수는 단일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단축정도는 만생종에서 컸고 조생종에서 작았다. 2. 전 공시품종을 개화촉진 정도에 의해 일장감응성 정도를 고, 중 저로 유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일장감응성이 낮은 품종군 : 성안, Gembokin, Harosoy, Wayne, Wirth, Elton 및 Pi-54613 2) 일장감응성이 중정도인 품종군 : 수도 47호, 수원 5001, 수원 6001, 수원 8002, 수원 8003, 수원 8006, 수원 9003, 봉의, 충북황 001, 익산, 광묘, 광교, 서천백묘 및 만주대, SS-74185(이상 15품종은 국내종), Akita, Chogyemyungtae, Fusimusume, Norm 2, Kirin 5, Kokamedaizu, 육우 003, 동산 6001, 동산 69호, 동산 7003, Yougoro, Karasumame 및 은대묘(이상 13품종은 일본종), H-25, Williams, Ao - 7445, Rolsoy, Roe, Kobuleko, Norredo, Manchuria, Shih-Shih, Viking, Columbus, Pi-31408, Pi-68552 및 Pi-15243(이상 14품종은 미국 및 기타종) 3) 일장감응성이 높은 품종군 :수원 7003, 수원 80호, 수원 8005, 강림, 백천 및 Hill 3. 전 공시품종율 Gembokin, Wayne, Wirth 및 Pi-54613은 개화반응에 일장의 영향을 전혀받지 않는 일장둔감형 품종이였다. 4. 기장, 기직경, 절수, 분지수, 1주래수 및 1주입수 등은 단일에서 감소하고 장일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Gembokin, Wayne, Wirth 및 Pi-54613과 같은 일장둔감형 품종은 일장에 의한 형태적 특성의 변이도 비교적 적었다.

An attempt was made to survey soybean cultivars that were nonsensitive to the photoperiod for selection as possible breeding materials for wide area adaptable varieties. Fifty-five cultivar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day length conditions. The number of days from sowing until flowering was shortened under short day length conditions, and late varieties tended to be more sensitive to day length than early varieties. The response to day length of the tested cultivars might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intermediate and high degree, by their accelerated rate of flowering. Especially four varieties in the low responding group, Gembokin, Wirth, Wayne and Pi.54613 were identified to be nonsensitive to day lengths, that is, neutral varieties. They also showed little variation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day length conditions.

저자
  • 崔京求(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최경구
  • 金鎭淇(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김진기
  • 李成春(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성춘
  • 李王休(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왕휴
  • 全炳機(전주대학) | 전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