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양의 배수조건 차이가 참깨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Yield Formations of Sesame(Sesamum indicum L.) as Affected by Different conditions of Soil Drain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0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1981년에 참깨품종 "수원 9호"를 Pot에 공시하여 토양의 배수력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과 수량형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즉 점토와 세사를 용량비(V/V Ratio)로 각각 0:100, 25:75, 50:50, 75:25 및 100:0가 되도록 혼합한 토양에 6일 간격 20mm 관수와 3일 간격 10mm 관수의 효과와 반응차이를 해석하였다. 토양의 용량비에 따른 수분의 배수성은 점토혼합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배수성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반응은 순세사토에서만 한해가 인정되므로 관수의 증대가 요구되었고 그 외의 배수조건의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수량구성요소 가운데서 수량에 기여도가 가장 컸던 것은 주당삭수로서 수량과 마찬가지로 점토와 사토가 75%:25%로 혼합된 조건 즉 배수성보다는 보습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가장 많았으며 삭당입수나 등숙성은 선행형질인 주당삭수와의 부적상관 때문에 보습성 보다는 배수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수방법간에 이들 수량구성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량은 6일 간격 20mm보다 3일 간격 10mm 관수로서 보습력(점사율 75%:25%)이 높은 조건에서 최다수준이었으며 과도한 배수성이나 보습성의 조건에서는 뚜렷한 감수의 경향이었다.감수의 경향이었다.

To estimate the responses of sesame plant in growth and yielding traits to different soil drainage conditions, a pot trial was conducted by using of sesame variety "Suweon-9" were introduced with 5 different mixing combinations of clay and sea-sand soils as 0:100, 25:75, 50:50, 75:25, and 100:0 percents in volumetric ratio. Also two irrigation methods as 20mm/6 days interval and 10mm/3 days interval were detected. As a result, water drainage was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ment of clay contents. And the excess drainage condition(such as pure sand soil) required more irrigation, however in crop growth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soil drainage conditions except the pure sand wer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mong other yielding components, was most contributed factor to the yield, which was effectively given from the soil mixed with clay and sea-sand as 75% and 25%, respectively. Therefore, much similar responses were also detected from the seed yields per a sesame plant. However, the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maturity function were more effectively composed under the soil mixed with clay and sea-sand as 25% and 75% respectively better than under the soil of 75% and 25%. As a conclusion, the yielding responses of sesame plant was advanced more effectively at the soil conditions of water conserved type (e.g. 25%/75% in clay/sand ratio) than of water-draining type (e.g. 75%/25% in clay/sand ratio).nd ratio).

저자
  • 崔炯局(전남농촌진흥원) | 최형국
  • 具滋玉(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구자옥
  • 金容在(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김용재
  • 李敦吉(전남농촌진흥원) | 이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