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15보 양질유ㆍ양박 유채 육성계통들의 춘파성 정도 분류 KCI 등재

Breeding for In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ossica napus L. Ⅶ. Studies on Classification of Spring Nature Grade of Double Zero Rapeseed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종전에는 Brassica napus에서 성분이 개량되지 않은 유채의 일반 품종들의 Winter type만을 대상으로 춘파성 정도를 분류하고 추태로서 분류기준을 삼았으나 본 시험에서는 같은 B. napus인 Summer type까지를 포함하고 성분이 개량된 양질유ㆍ양박 품종을 공시하여 임실여부로서 분류기준을 삼는 새로운 분류를 시도하여 춘파성 정도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목포지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양질유ㆍ양박 유채(Brassica napus) 품종 및 육성계통들은 8단계 group으로 춘파성 정도를 분류할 수 있었고 춘파성 정도 제Ⅶ group는 Summer type의 계통들이 이에 속하였으며 이들 계통은 Oro, Midas 등의 Summer type의 품종과 교배하여 선발된 계통들이었다. 2. 춘파 파종기에 따른 성숙기변화는 춘파시기가 늦을수록 성숙기는 지연되는 경향이었고 춘파성 정도가 높음에 따라 생육일수와 적산온도가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3. 춘파성 정도와 내한성 관계는 춘파성 정도가 높을수록 내한성이 낮았으며 춘파성 정도와 초성간에는 춘파성이 높을수록 초성에서 I형에 가깝고 주경의 신장이 분지보다 빈약한 바 이들 모든 상호관계는 고도의 부상관으로 나타났다. 4. 월동에 안전한 추파재배용계통은 춘파성 정도가 낮은 0, I, II group로서 공시품종중 59 품종이 이에 속하였다.

In order to obtain basic date for the cultivation and the breeding of double zero varieties of rapeseed, spring nature grade were investigated. Spring nature grade could be classified to 8 classes by the method of material maturity. The double zero varieties, Ⅶ group of spring adaptability has been developed from the cross "Oro" and "Midas" classified as summer typ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pring adaptability and seed yield. On the other hand, a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turation and spring adaptability, cold resistnce and spring adaptability, plant from and spring adaptability. Ⅵ and Ⅶ group close to summer type showed spring growing adaptability, and 0, I and II group were appeared as winter type, autumn growing adaptability with cold tolerance.with cold tolerance.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權炳善(작물시험장) | 권병선
  • 金祥坤(작물시험장) | 김상갑
  • 方鎭淇(작물시험장) | 방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