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종량에 따른 맥주맥의 품종간반응 I.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변이 KCI 등재

Responses of Malting Barley Cultivars to Different Seeding Rates : Ⅰ. Variation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s in Different Seeding R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맥주맥 주요육성품종의 파종량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반응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맥주맥 14개 품종을 공시, 파종량을 10a당 세조파는 15, 20, 25, 30, 35 로, 휴입광산파는 20, 25, 30, 35, 40 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14개 품종간에는 세조파, 휴입광산파 공히 모든 형질에서 유의차를 보였고 또한 각 품종들이 세조파나 휴입광산파에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파종량의 증가에 따라서는 세조파, 휴입광산파 공히 출수, 성숙은 약간 빨라지는 경향이었고 간장은다소 길어지나 그 정도는 크지 않았다. m2 당 수수와 수량은 대체로 파종량 증가에 따라 직선적인 증대를 보였으나 각 품종들의 증대양상은 다소 상이하였다. 파종량 증가에 따라 세조파, 휴입광산파 공히 수당입수는 변화하지 않았고 1,000입중은 약관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며 1 중은 다소 무거워지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Finding the variations of principal agronomic traits, fourteen malting barley cultivars were tested with both narrow-spaced row seeding and broadcasting on high ridge respectively. The seeding rates were varied as 15, 20, 25, 30 and 35 liter per 10a in the narrow-spaced row seeding and 20, 25, 30, 35, and 40 litre in the broad casting on his ridg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tes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tion pattern of assessed traits among cultivars. However, the additional seeding rates in both seeding methods caused the drifts of earlier heading and maturity, longer in culm length, linear increase in number of spike and yields per unit area, slight reduction in 1000 grain weight, and slight increase in one litre weight, but no changes in number of grain per spike.

저자
  • 具滋玉(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구자옥
  • 李榮萬(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이영만
  • 河基庸(농촌진흥원 영남작물시험장) | 하기용
  • 申東永(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신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