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의 개화.등숙에 관한 연구 III. 참깨 초형별 삭과 및 종실의 발육 KCI 등재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Ⅲ. Growth of Capsule and Grain by Different Plant 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 후기등숙 불량을 개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각 초형별 삭과와 종실의 상육과정을 조사·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삭장은 수정 직후부터 신장을 시작하여 수정후 35 일에 최대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하였다. 2. 상위삭의 삭장은 중·하위등에 비하여 짧아 발육이 부진하였으며, 4실8방 형은 2실4방 형보다 상위삭의 발육이 더욱 불량하였으나 BTB (분지, 3,2/4) 형은 타 초형에 비하여 상위삭의 발육이 양호한 편이었다. 3. 삭의 착생 위치에 따른 발육은 주경 중심삭>분지 중심삭 >주경 측삭 >분지 측삭의 순으로 좋았다. 4. 삭폭은 삭장에서와 같이 수정 후 35 일에 최대를 기록하다가 이 시기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삭의 발육은 착삭 하위부>중위부>상위부의 순으로 양호하였다. 5. 3과성 4실 8방형에서는 상위삭폭이 생식생장 후기에 큰 폭으로 떨어져 등숙면에서 불리하였으며 삭장에서와 같은 경향이었다. 6. 생체 천립중에서도 수정 후 35 일에 최대를 기록한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착삭 하위부>중위부>상위부의 순으로 발육이 양호하였다. 7. 천립중에서도 분지삭과 측삭은 중심삭보다도 발육이 떨어졌으며 4실8방 형은 삭폭이나 삭장에서와같이 생식생장 후기 상위삭의 천립중 감소가 심하였다. 8. BTB(분지, 3,2/4) 형은 가장 많은 sink를 보유하였음에도 중·하위부삭에 대비한 상위부삭의 천립중 감소가 많지 않아 등숙과 증수 측면에서 유리하였으며 수량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BTB와 같은 초형에 분지삭과 측삭의 충실도를 높이는 방향의 육종이 바람직하다 하겠다.uE/m2 /sec에서 9.5%, 2,580u E/m2 /sec에서 20.3%로 각각 저하되어 광강도가 크고 조사기간이 길수록 광저해가 컸다. 4. 인삼에서 기공저항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엽육저항은 광저해를 받은 처리에서 크게 나타냈고. 담배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중앙삭, 측삭 공히 하부 절위일수록 무거웠다. 8. 각 절위별 수량지수의 누적비율은 착삭 제 1절위에서 제 9 절위까지는 전체 수량의 82%, 제11절위까지는 92.0%, 제 13 절위까지는 98.9% 이었으며, 수량결정의 한계절위는 착삭 제 14 절위로 나타났다. 9. 수량형질의 변이를 CV로 비교하여 보면, 개체간 CV는 성숙입중>총입수>삭수>성숙입수>천립중의 순이었고, 절위간 CV는 삭당성숙입중>삭당성숙입수>천립중>절위별삭수>삭당총입수의 순으로 각 형질 공히 개체간 CV 보다 절위간 CV가 현저히 높았다. 10. 착삭절위별 수량형질의 개체간 변이는 하부로부터 착삭 제6 절위가 가장 낮았다.arge seed 45%> virginia-small seed 40%순으로 shinpung type이 등숙초기에 건물분배율이 가장 높았다.구가 182.4, 감염무투약구가 164.1의 순으로서 Maduramicin 투약구가 가장 우수하였다.으로 분열하는 도중 모세포가 allelo-eumesogenous 형으로 분열하여 나선상분열한 4개 이상의 중위형성 부세포들 내에 3개 이상의 중위형성한 C형 부세포가 점차 작은 크기로 대생한 coallelo-helico-eumesogenous형, 다섯째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growth pattern of capsule and grain to improve grain filling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in sesame. Growth patterns of capsule and grain from anthesis to matur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different plant types. Growth of capsule length started to grow just after anthesis and recorded maximum point at 35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Growth of higher part capsule was worse than lower and middle capsules. Capsule growth of 2 carpels 4 loculi type showed better than 4 carpels 8 loculi type and BTB (branch, 3 capsules, 2 carpels, 4 loculi) type showed good growth due to its small reduction of higher part capsule length compared to those of lower and middle parts. The order of growth of capsule length were considered to be center capsule in main stem> center capsule in branch> side capsule in main stem> side capsule in branch. Growth of capsule width also showed maximum at 35 days after anthesis and then reduced. The order of growth of capsule width were lower part> middle part> higher part. Higher part capsule width of 3 capsules 4 carpels 8 loculi type showed serious decrease at late reproductive growth stage same as those of capsule length. Fresh one thousand grain weight showed peak at 35 days after anthesis and then reduced. The order of grain growth were appeared as lower part> middle part> higher part. Growth of fresh one thousand grain weight of branch and side capsule were lower than those of main stem center capsule, and 4 carpels 8 loculi type was deeply decreased at late flowering time in higher part such as the growth of capsule length and width. BTB (branch, 3,2/4) type didn't show much decrease in higher part fresh grain weight compared to those of other plant types in spite of its profitable character of lots of sink capacity. BTB type appeared to be ideal for improving grain filling and yield productivity in growing sesame in Korea.

저자
  • 姜哲煥(작물시험장) | 강철환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孫膺龍(고려대학교) | 손응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