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의 개화.등숙에 관한 연구 IV. 적엽처리가 참깨의 등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Ⅳ. Effects of Foliage Clipping on the Seed Matur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의 초형에 따른 비닐피복과 작기 그리고 적엽시기와 적엽부의별 적엽이 참깨의 동화기관과 종실의 결실.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후기등숙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일련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화 후 25일 하위엽 적엽에 따른 천립중 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보다, 비닐피복구는 무피복 보다, 맥후작은 단작 보다 천립중 감소가 컸다. 단경형 단작 하위적엽에서는 상위삭 천립중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2. 하위적엽에 의한 등숙립 비율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 보다, 맥후작은 단경 보다 등숙립 비율의 감소가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대차 없었다. 단경단작 25% 적엽에서 상위삭의 등숙립 비율은 무처리대비 약 6%의 증가를 보였으며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3. 개화 후 30 일.단경형.하위 25% 적엽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의 등숙률 증가를 보였으나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으며 상위적엽에 의하여 등숙률이 크게 떨어져 이 시기의 동화중심엽은 상위엽으로 추정되었고 단경형보다는 분지형의 하위엽이 등숙후기까지도 엽의 활력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단경.분지형 공히 큰 폭으로 등숙립 비율이 떨어졌다. 4. 하위 50 % 적엽에서 상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 엽에서 보다 39%가 더 증가되었으며 상위 50% 적엽에 의하여 하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대비 66%가 증가되어 한 쪽엽 적엽에 의하여 반대에 위치한 엽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보상작용이 인정되었다. 5 하위 50% 적엽에 의하여 광합성은 무처리에 비하여 58 %의 증가를 보였으나 상위 50 % 적엽에서는 OmgCO2 /dm2 /hr로서 잔존 하위엽에서 생성한 동화양분은 그 엽의 자체의 호흡에 의한 소모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식생장 후기 상위적엽에 의하여 광합성 작용은 치명적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잔존 하위엽의 광합성 기여도는 낮을 것으로 인정되었다. 6. 수확지수에서는 하위 25% 적엽에 의하여 무처리 대비 28%의 증가를 보인 반면 상위 50% 적엽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13% 감소되었다. 7. 하위 50% 적엽에서 잔존 엽면적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엽 면적에 비하여 48 %가 증가되었으나 상위적엽에서는 5% 증가에 그쳐 적엽에 의하여 신생 상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큰 반면에 노쇠한 하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거의 없었다. 8. 적엽에 따른 수량차는 분지형이 단경형에서 보다, 맥후작이 단작에서 보다 무처리에 비하여 감수폭이 터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단경.단작 하위 25 % 적엽에서 비닐피복과 무피복 공히 수량이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5 %와 8 %가 증가하였으며 타 적엽구에서는 감수되었다. 10.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34 % 감수된 반면 개화 후 3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 대비 24 % 감수에 그쳐 개화 후 10일 엽에서의 동화물질 생산 기여도가 개화 후 30 일 엽에서 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개화 후 10 일에는 단경.분지형 공히 하위 50 % 적엽구에서 가장 많은 감수를 보여 이 시기의 광합성 활동 중심엽은 하위엽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iage clipping on photosynthesis and grain filling for branch and non branch types under the polyethylene film mulch and non mulch conditions in mono cropping and second cropping after barle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and to improve poor grain filling at later flowering time utilizing these data. One thousand grain weight was more decreased in branch type than in non branch type, in polyethylene film mulch condition than in non mulch condition, and in second cropping after barley than in mono cropping by clipping lower part foliage. Twentyfive percent clipping of lower part foliage showed a little increase than no clipping. Matured grain rate also showed same tendency between branch and non branch type and between mono cropping and second cropping after barley as well as 1,000 grain weight except for polyethylene film mulch. Matured grain rate of 25% foliage clipping at 30 days after flowering in non branch type presented a little increase but decreased in branch type. Clipping of higher part leaves were so serious decrease of matured grain rate that higher part leaves at late maturing time have a major role in photosynthesis. Matured grain rate of foliage clipping at 10 days after flowering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Chlorophyll content of higher part leaves at 50% lower part foliage clipping presented 39% increase compared to same positioned leaves of non treatment, and 66% increase by 50% higher part foliage clipping in lower part leaves. Photosynthetic activity was 58% more increased in 50% lower part foliage clipping than no clipping, but seriously decreased in 50% higher part foliage clipping. Therfore, photosynthates of remained lower part leaves could not only support their own demands, but also any contribution to translocation of photosynthates from source to sink at late maturing time. Harvest index was 28% increased in 25% lower part foliage clipping and 13% decreased in 50% higher part foliage clipping compared to no clipping. Leaf area was 48% increased in 50% lower part foliage clipping compared to the same positioned leaves of no clipping, and only 5% increased in higher part foliage clipping. Productivity by foliage clipping compared to non treatment, was highly decreased in branch type than in non branch type, in second cropping after barley than in mono cropping. Little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polyethylene film mulch and non mulch conditions. Twenty five percentage of lower part foliage clipping on mono cropping of non branch type appeared 5% and 8% yield increase in each of polyethylene film mulch and non mulch conditions compared to no clipping, and all decreased in other treatments. Mean loss of productivity by foliage clipping at 10 days after flowering was serious than clipping at 30 days after flowering. As the result, contribution to photosynthesis of source at 10 days after flowering are larger than that at 30 days after flowering in sesame. Fifty percent lower part foliage clipping at 10 days after flowering showed so the most serious yield decrease that lower part leaves at that time were considered as the main role leaves for photosynthesis.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姜哲煥(작물시험장) | 강철환
  • 孫膺龍(고려대학교) | 손응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