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의 주내 및 주간 경쟁반응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ompetitive Response of Rice Cultivar in Association with Plant Spacing and Seedling Number per H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3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도 주요 형질의 재식밀도 반응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다수형 품종(인도형/일본형)인 삼강벼와 일본형 품종인 낙동벼를 공시하여 재식거리를 10 10cm, 20 20cm, 30 30cm, 40 40cm로 하고, 각 재식거리별 주당본수를 1, 3, 5, 7본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밀식할 수록,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빨랐는데 재식거리 10 10cm에 주당본수 7본은 40 40cm 1본보다 삼강벼는 5일, 낙동벼는 4일이 빨랐다. 2. m2 당 수수 및 영화수, 총건물중, 수량은 일반적으로 밀식할 수록, 주당본수가 많을 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나, 총건물중은 낙동벼의 경우 재식거리 10 10cm, 주당본수 3본에서 최대에 달하여 그 이상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3. 수확지수는 밀식보다 소식이 높았고, 주당본수별로는 밀식에서는 본수가 많은 쪽이, 소식에서는 주당본수간 차이가 없었다. 4. 광합성 효율은 낙동벼보다 삼강벼가 높았고, 재식거리별로는 20 20cm에서 높았다. 재식거리별 주당본수에 따른 영향은 삼측벼의 경우 10 10cm에서는 5본, 20 20cm에서는 7본에서 각각 높았고, 그 이상 재식거리에서는 주당본수간 차이가 없었다. 낙동벼는 재식거리 10 10cm에서는 주당본수 1본에서 높았으나, 그 이상 재식거리에서는 주당본수가 증가할 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재식밀도에 따른 전체 경쟁반응은 낙동벼보다삼강벼가, 밀식이 소식보다. 주당본수가 증가할 수록 높았고, 주내 및 주간 경쟁반응의 상호관계는 삼강벼의 경우 재식거리 30 30cm에 주당본수 3본까지, 낙동벼는 재식거리 20 20cm까지는 주간 경쟁반응이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오히려 주내 경쟁반응이 높았다. 6. 경쟁지수와 수량과의 상관관계는 두품종 다같이 종합 경쟁지수와는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으나, 주간경쟁지수와는 삼강벼는 직선적인 관계식이, 낙동벼와는 지수곡선적인 관계가 성립하였고, 주내 경쟁지수와는 낙동벼만 유의상관이 있었고, 삼강벼는 유의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삼강벼와 낙동벼는 경합지수가 2.1~2.3정도까지 증가할수록 수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경쟁지수 증가면에 있어서는 삼강벼는 주간거리에 의해, 낙동벼는 주간거리와 주당본수에 의한 조절이 바람직 하였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about cultural techniques for high yielding by manipulating plant spacing using two rice cultivars, Samgangbyeo (Indica/Japonica type) and Nakdongbyeo (Japonica type), and four plant spacings, 10~times 10cm, 20~times 20cm 30~times 30cm and 40~times 40cm, with 4 kinds of seedling number per hill, 1,3,5 and 7, respectively. High photosynthetic efficiency (Eu) exhibited at the Samgangbyeo compared to Nakdongbyeo regardless of plant spacings and seedling numbers. For Samgangbyeo, Eu value was the highest at the 20~times 20cm plant spacing and five seedlings and seven seedlings per hill showed high Eu values at 10~times 10cm plant spacing and 20~times 20cm plant spacing, respectively, while other plant spac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seedling numbers. For Nakdongbyeo, however, one seedling plot obtained high Eu value at the 10~times 10cm plant spacing while this Eu value increased as the seedling number per hill increased in other plant spacing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ice grain yield and total competition index for both cultivars while kind of relationships differed in these two cultivars; linear relationship for Samgangbyeo and exponential relationship for Nakdongbyeo, respectively. Competition index between rice hill was more significant than within rice hill for Samgangbyeo while both competition indexs were important for Nakdongbyeo to increase rice yield.

저자
  • 朴成泰(영남작물시험장) | 박성태
  • 金純哲(영남작물시험장) | 김순철
  • 崔忠惇(영남작물시험장) | 최충돈
  • 李壽寬(영남작물시험장) | 이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