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옥수수의 생육기간 예측을 위한 Growing Degree Days의 계산방법 KCI 등재

Methods of Estimating Growing Degree Days to Predict Growth Duration in Maiz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9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옥수수의 생육기간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고, 옥수수의 조만생을 구분하는데 적합한 GDD의 계산방법을 찾기 위하여 1979년과 1984년 및 1985년의 3년간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단교잡종 수원 19호를 17회 재배하고 24가지의 GDD 계산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육기간을 일수로 표시하는 것보다 GDD로 표시하는 것이 어느 경우에나 변이계수의 감소를 가져왔다. 2. 최고온도나 기저온도중 어느 하나만을 보정하는 경우에는 기준온도 7.2℃ 가 GDD의 변이계수를 최소로 하였으나, 두 온도를 모두 보정하는 경우에는 기준온도 10℃ 에서 GDD의 변이계수가 최소로 되었다. 3. 어느 경우에서나 파종으로부터 출아율까지의 GDD 변이가 출아로부터 출사기까지의 GDD 변리보 다 컸다. 4. 년차나 생육기간에 관계없이 변리계수가 가장 적은 GDD의 계산방법은 최고온도가 30℃ 를 넘는 경우 최고온도 =30-(최고온도-30)으로 보정하고 최저온도가 10℃ 포정인 경우 기준온도를 10℃ 로 포정한 후에 기준온도 10℃ 를 빼주고 남은 값으로 GDD를 계산하는 방법(23번)이였다. 5. 이 방법에 의한 출아기까지의 평균 GDD는 64± 12℃ , 출사기까지의 평균 GDD는 794± 19℃ 로서 95 %의 확률로서 출아일과 출사일을 예측할수 있는 오차범위는 ± 3 일이었다. 6. 생육일수와 누적 GDD를 이용하여 계산된 일평균 GDD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높아졌다. 7. GDD에 의한 출아일과 출사일을 추정한 결과 2/3 이상이 실측치가 1 일 이내의 편차를 보였으며 최대편차는 3 일이었고, 실측일수와 추정일수 사이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In an attempt to find better ways to relate growth with temperature and to estimate maturity differences in corn (Zea mays L.), various formulas of computing Growing Degree Days (GDD) were evaluated. Utilizing data from 17 plantings of a single cross, Suweon 19, over a 3 year period, 24 different methods of computing GDD were compared for their ability to reduce variations over different plantings. The best equation was to compute GDD with a base temperature of 10~circC and an optimum of 30~circC . The excess temperature above 30~circC was subtracted to account for high temperature stress. GDDs required for emergence and silking of Suweon 19 were 64~pm 12~circ and 794~pm 19~circ , respectively. Based on these GDD values, emergence and silking dates could be estimated with a variation less than 3 days. The observed and estimated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emergence and silk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저자
  • 鄭丞根(충북대학교 농과대학) | 정승근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
  • 朴根龍(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박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