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VI. 참깨 초형에 따른 착삭부위별 등숙율 KCI 등재

Studies on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Ⅵ. Grain Filling Rate for Differently Positioned Capsules in Different Plant 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참깨의 신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자 527품종 중에서 분지의 유무, 착과성 및 삭실방에 따라 분류한 8개 초형에 대하여 각 2개씩의 품종을 공시하여 초형에 따를 착삭위치별 등숙율의 차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경중앙삭에서는 등숙률이 중ㆍ하위간에 큰차리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측삭에서는 하위>중위>상위의 순으로 좋았으며 중앙삭이 측삭보다 양호한 등숙을 보였다. 2. 분지에서는 하위>상위, 중앙삭>측삭의 순으로 높았다. 3. 1과성형은 3과성형보다, 단경형은 분지형보다 등숙이 양호하였는데 3과성형에서는 측삭, 분지형에서는 분지삭에서의 등숙불량이 3과성형과 분지형의 등숙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4. NMB (단경, 1과성 2실 4방)형은 양호한 등숙을 보였으며, BTB(분지, 3과성 2실 4방)형은 중 정도의 등숙을 보였으나 가장 많은 sink를 보유하여 수양성에서는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5. NTQ(단경, 3과성 4실 8방)형과 BTQ(분지, 3과성 4실 8방)형과 BTQ(분지, 3과성 4실 8방)형은 상위측삭에서 결실이 안되어 전체등숙은크게 떨어졌으나 NMQ, BMQ형 등은 같은 4실 8방형이면서도 3과성형과는 달리 양호한 등숙을 보여 3과성 4실 8방형에서도 source를 확대하여 양분공급을 늘린다면 대형삭의 이점을 살린 이상초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breeders and agronomists working with sesame. Grain filling rate were investigated for eight plant types classified by branching habit, capsules per axil, carpels and loculi of a capsule. Two typical cultivars were chosen for plant type among 527 gene pools. Grain filling rate didn't increase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lower and middle part capsules, J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upper part. Grain filling rate of lower part, main stem and center capsule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upper part, branch and side capsule for grain filling. Mono-capsule setting and unbranched plant type were higher for grain filling than tricapsule setting and branched type due to inactive ripenness on branched capsule. NMB type showed that best maturity and relatively good grain filling in BTB type despite it's largest sink capacity. NTQ and BTQ type appeared poor ripenness because of immaturity of higher part side capsules; however it was believed that there were still possibilities for improving ripenness in 3 capsule and 4 carpels 8 loculi type by the good maturity of 1 capsule and 4 carpels 8 loculi type.

저자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姜哲煥(작물시험장) | 강철환
  • 孫膺龍(고려대학교) | 손응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