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배양식이 맥류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ultural Methods on Yield and Yield Component of Wheat and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4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품종, 시비량 및 재배관리를 동일하게 처리하였을 경우 보급년대가 상이한 각종 재배교식의 차이에 따른 종실의 생산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관행조파(60 18cm), 광파(60 30cm), 협폭파(40 18cm), 세조파(30 5, 20 5cm) 및 전면전층파 등 6종류의 재배양식과 휴립재배법인 휴립이조법, 휴립광산파( 120 90cm 및 90 70cm) 및 휴립계조파(120 90cm, 6예) 등 4종 총 10개 재배양식을 사용하여 조강보리와 그루밀를 공시품종으로 하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은 비파종부분의 폭이 클수록 많았고 수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근분포정도는 수분소모정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휴간거리가 클수록 비파종부분의 근분포가 빈약하였다. 3. 양분흡수정도는 전면전층로타리시비법을 사용하는 세조파, 전면전층파, 휴립구산파 등이 종자하부 일정위치에 시비하는 작조시비법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종자밀도가 높은 관행조반, 광파, 협폭파 및 휴립이조파가 군집상태의 군낙을 이루어 월동률이 높은데 반하여 종자밀도가 낮아 독립수로 월동하게되는 세조파, 광조파, 전면전층파에서는 미기상의 영향으로 월동상태가 불량하였다. 5. 수량에 가장 공헌도가 큰 것은 수수였으며 균등배치가 이루워진 세조파가 광이용효율이 높고 수량도 가장 높았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cultural methods developed during last 30 years on grain yield of wheat and barley and structure of plant stand for uptake of nutrient and water, solar energy use and com-petitive capacity with weed, 10 kinds of cultural practices were compared in the clayey upland soil. Row fertilization is more effective for uptake of N,P and K than rotary fertilization. Weed occurrence was deeply related with width of non-seeded area in the row and affected yield decrease. Winter injury was more serious in the cultural practices with thick plant community than in those with isolated individual plant. Root distribution was more remarkable in drill seeding or broadcasting than row seeding and ha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consumption of barley.

저자
  • 朴武彦(맥류연구소) | 박무언
  • 柳龍煥(맥류연구소) | 류용환
  • 河龍雄(맥류연구소) | 하용웅
  • 南潤一(맥류연구소) | 남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