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방풍망에 의한 수도의 풍해경감방법 KCI 등재

Studies on the Reducing Methods of Cold Wind Damage of Rice Plant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in the Eastern Coastal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6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풍해상습지에 대한 방풍망설치방법과 설치시기에 의한 풍해 경감 효과를 구명하고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개년간 경북영덕지방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1954년부터 1985년까지 32년 동안 강풍 발생빈도는 8월 10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높아 이 지역의 수도 안전출수한계기는 8월 10일 이전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2. 이 지대에 주로 풍해를 유발시키는 바람은 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휀(Fohn) 현상에 의한 고온건조한 편서풍과 해양에서 내륙으로 부는 한냉과습한 냉조풍이었으며 도작기간중 발생빈도가 각각 25 %였다. 3. 방풍망 설치에 따른 1차 효과는 감풍효과였으며 방풍망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1m에서는 23.9%, 10m에서는 35.8%, 20m에서는 26.9% 감풍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설치된 방풍망 높이의 10배 거리까지 있었다. 4. 방풍망 설치에 따른 2차 효과는 기온, 지온, 수온의 상승효과였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기온은 최고 0.7℃ , 최저 0.4℃ , 평균 0.1℃ 상승되었으며 수온은 최고 0.3℃ , 최저 0.3℃ 상승되었고 지온도 0.3℃ 상승효과가 있었다. 5. 방풍망 설치에 따른 3차 효과는 생육촉진 감수경감, 품질향상의 효과가 있었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출수기가 2~5일 단축되었고 간장,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임실율의 증가로 20~2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완전중의 비율도 높았다. 6. 벼알의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등숙율과 정조 1,000 입중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그 감소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방풍망 설치방법별로는 한냉과습한 냉조풍과 고온건조한 편서풍을 모두 방풍할 수 있는 종합방풍시설이 가장 효과가 컸으며 방풍망 설치시기별로는 수잉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컸다.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cold wind damage in the eastern coastal cold wind damaged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ice critical safe heading date was up to Aug. 10 in the eastern coastal area, which the frequency of gale Aug. 10 to Sep. 10 is high. The frequencies of westries and cold wind from sea were 25%, respectively, in this area. The effects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wind verocity were 26.9, 34,6% with raising air temperature of 0.4-0.7~circC and water temperature of 0.3-0.5~circC .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up to 10 time's distance of wind-break net's height from wind-break net. The installation of wind-break inhanced to rice growth, so showed the heading date earlier by 2-5days and increased culm length, no.of panicles per hill and no. of spiklets per panicle. The yield decrease in this area was due to sterilization, poor ripening and light 1,000 grain weight. The yields showed 20-28% increase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most in the installation plot with wind-break net against cold wind from sea and westries installed in the panicle formation stage.

저자
  • 李承弼(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이승필
  • 李光錫(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이광석
  • 崔大雄(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최대웅
  • 孫三坤(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손삼곤
  • 金七龍(남작물시험장) | 김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