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프의 수령 및 재배지 표고에 따른 수량 변화 KCI 등재

Influence of Plant Age and Cultural Altitude on Cone Yield in Hop(Humulus lupulus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호프의 수령, 재배지 표고, 생산년도에 따른 생구화 수량의 변화를 구명하여 재배면적 확대, 적지선정 및 수량 예측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호프 주산지인 강원도 횡성에서 756 농가의 생구화 수량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호프의 수령별 10a당 평균 생구화 수량은 1년생 181.0kg. 2년생 516.0kg, 3년생 670.0kg, 4년생 726.4kg, 5년생 761.0kg 이었다. 2. 호프의 수령간 생구화 수량은 1, 2, 3, 4 년생에서 각각 고도의 유의한 수량차가 있었으나 4년생과 5년생 이상과는 수량차가 인정되지 않아 호프의 수량성은 4년생 이상이 되어야 충분히 발휘될 수 있었다. 3. 4년생 이상 호프의 재배지 표고별 수량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재배 년도별 평균 수량은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nfluencial plant age and cultural altitude in change of hop cone yield in Hoeongseong, Korea. The fresh cone yields per 10a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plant age showing 181.0 kg in 1-year-old, 516.0 kg in 2-year-old, 670.0 kg in 3-year-old, 726.4 kg in 4-year-old and 761.0 kg in 5-year-old. The productivity of fresh cone at each plant 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 age to 3 age but the productivity over 4-year-old hop pla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verage hop cone yields, yearly variation was significant, but the yields among the altitudes studi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저자
  • 朴景烈(경기도 농촌진흥원) | 박경열
  • 權臣漢(경희대학교 산업대학) | 권신한
  • 李東右(경기도 농촌진흥원) | 이동우
  • 閔仁基(두산 농산㈜) | 민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