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대두 품종의 뿌리특성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Root Characteristics of Soybean Varietie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4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대두 품종의 지하부 특성을 구명하여 수량성을 이해하고 품종육성과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장려품종, 도입품종 및 재내종 각 10품종씩 합계 30품종을 공시하여 포장 및 pot 실험을 수행하였다. 4엽기, 개화시기, 협비대기에 지상부와 지하부 특성을 조사하고 종실중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재배조건에서 장려품종군, 도입품종군 및 재래종군간의 지상부 특성은 4엽기까지는 차이가 없었고 개화시기에는 경장만이 차이가 있었으나 협비대기에는 경자, 경태, 주경절수, 분지수, 협수 및 종실중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포장재배조건에서 장려품종군, 도입품종군 및 재래품종군간의 지하부 특성은 4엽기에는 태근수, 개화시기에는 1차근각, 근절단강도, 협비대기에는 태근직경 및 근중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지상부 및 지하부의 특성들과 종실중과의 상관은 품종군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지하부보다는 지상부 특성이 종실중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장려품종군은 지상, 지하부의 어느 형태적 특성도 종실중과 상관이 없었으며 따라서 생리기능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5. 도입품종군에서는 생육 전기간의 엽면적이 종실중과 상관이 높았고 4엽기의 경장과 건물중 및 근강도가 수량과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냈다. 6. 재래종군은 생육 전기간중 엽면적과 건물중이 종실중과 상관이 높았고 개화기 이전의 절수, 협비대기의 경태, 태근수 등이 높은 정상관을 보였다. 7. 우리나라 장려품종은 협비대기에 평균 1차근수 25.6개, 태근수 14개, 근각 64˚ , 수평근장 9.8 cm, 근절단강도 10.5 kg 및 T/R율 11.9이었다.수기 풍향과 수직이 되도록 재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한다.건물중 그리고 천립중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포장에서 월동후 유식물수 비율은 57~67%로 출수후 30일~50일에 수확한 종실간의 차이가 없으나 생육초기의 초장은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한 종실의 경우는 작았다. 출수기는 출수후 40일 수확한 종실은 출수기가 늦지 않으며 간장은 종자 성숙정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8. 채종목적인 호밀 재배에서 우기를 회피하여 종자 수량감소 최소화할 수 있는 수확기는 출수후 45 일 (개화후 38일)경 이라고 본다.측정결과, 반응 후 촉매상에 존재하는 CoOx 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

Root is supposed to be important role in growth and yield formation of soybeans and also there is expected to exist varietal differences between soybean root morphology and system. 30 soybean varieties including 10 Korean recommended, 10 Introduced and 10 Korean native varieties were grown at field and pot under standard culture condition. Top and roo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V4, R1 and R5 stage and T/R relations, correlations with yield were calculated. Top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variety groups of Korean recommended, Introduced and Korean native variety. Stem length at R1 stage and stem length, stem diameter, number of nodes,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pods and grain yield at R5 st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p characteristics. Root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variety groups were number of thick primary root at V4 stage, primary root angle and root cutting strength at R1 stage, thick root diameter and root dry weight at R5 stage. The correlations between top and root characteristics and soybean yield was greatly different by soybean variety groups, and the top characteristics was more highly correlated then root characteristics. All the top and root characteristics of Korean recommended variety showed no correlations with yield. However, leaf area, stem length, top dry weight in Introduced variety and leaf area, top dry weight, number of nodes, number of thick primary root in Korean native variety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oybean yield.

저자
  • 蔡濟天(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채제천
  • 李殷燮(단국대학교 농과대학) | 이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