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두의 도복 양상 및 관련 형질 연구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Lodging and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Pl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57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초형과 내도복성이 다른 품종에 있어서 도복의 정도와 양상을 조사하고 도복과 관련된 형질들의 직ㆍ간접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품종을 공시하여 3수준의 재식밀도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ㆍ분지수ㆍ절간장은 품종 및 재식밀도간에 각각 또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경절수는 품종간 차이는 있었으나 동일 품종내 재식밀도간에는 광교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2. 도복양상은 팔달콩과 장엽콩은 비교적 소식에서는 뿌리도복, 밀식에서는 휨도복이 많았고, 광교에서는 휴폭 30cm까지는 뿌리도복과 휨도복이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휴폭 20cm에서는 휨도복이 현저히 많았다. 3.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도복과 경장 및 절간장은 정상관, 경엽생중 및 뿌리생중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경직경은 장엽콩에서만 부의 상관이 있었고 광교는 뿌리생중만이 도복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도복에 대한 직접영향은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절간장이 가장 컸고, 도복에 약한 광교는 경엽생중이 가장 컸다. 5.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밀식일수록 휨도복이 많았고, 절간장은 도복과 정상관으로 도복에 미친 직접영향이 가장 큰 형질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odging pattern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everal agronomic characters upon lodging of soybean plants. Most of the lodged plants had bent main stem above first stem node at higher plant density. Lodg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nt height, internode length and shoot fresh weight in two soybean cultivars, Paldalkong and Jangyeobkong. Root fresh weight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dging in Paldalkong, Jangyeobkong and Kwangkyo. Length of internode showed the greatest direct effect on lodging in Paldalkong and Jangyeobkong.

저자
  • 朴景烈(경기도 농촌진흥원) | 박경열
  • 韓永熙(경기도 농촌진흥원) | 한영희
  • 宋洙顯(경기도 농촌진흥원) | 송수현
  • 金竝鉉(농촌진흥청) | 김병현
  • 李東右(경기도 농촌진흥원) | 이동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