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물의 품종 육성을 위한 복교잡 조합 방법과 그 효과 KCI 등재

Effect of Combination Method on the Four Inbred Lines of Double Cross Hybridization for Crop Population Improv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유전 배경과 초형이 다른 추파소맥 4품종을 공시하였으며, 이들 품종들의 조합배열을 감안하여 단교배 6조합, 3원교배 6조합 및 복교배 3조합을 생산하여 각 교잡방법 및 품종교잡 배열순서에 관한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교잡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신품종 육성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시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교배양식간 비교에 있어서 복교잡에서 가장 빠른 출수를 보였으며 종실수량도 20.3g으로서 가장 많았는데 3원교배 및 단교배 순으로 감소하였는데, 친품종들이 가장 적은 주당수량을 보였다. 2. 주당수량과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4 4 단교배 Diallel 분석은 GCA와 SCA에서 각각 조합능력의 차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SCA 효과중 평균 우성편차도 역시 모든 형질에서 차가 있었다. 주당수량의 GCA효과는 그루밀과 Bezostaya 1이 가장 높았으며, 이들 품종들이 실제 주당수량이 가장 많았다. 3. F1 의 SCA효과는 (은파밀/Bezostaya 1)조합에서 4.22로가장 높았고, (그루밀/은파밀) 조합에서 2.00으로 가장 낮았다. 4. 3조합의 F1 복교잡종중에서 (Lancota/은파밀//그루밀/Bezostaya 1) 조합이 주당수량 24.5g으로서 가장 많았고, 이러한 복교잡에 이용된 단교잡종(그루밀/은파밀)과 (Lancota/Bezostaya 1)의 복교잡에 직접 발현되지 않고 이들간의 염색체 교환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루밀/Lancota), (그루밀/Bezostaya 1), (은파밀/Lancota) 및 (은파밀/Bezostaya 1)의 조합이 발현되었으며, 이들의 단교배 F1 들의 평균 수량도 많고 SCA 효과도 높았다. 5. 3원교잡 F1 의 6조합중에서(Lan./Bez.//은파밀) 조합에서 21.3g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는데, 이들의 염색체의 상호 교환 결합에 의하여(Lancota/은파밀)과 (Bezostaya 1/은파밀) 조합이 SCA효과가 가장 컸고 평균 종실수량도 다른 3원교잡의 경우보다 많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efficiency of crop breeding on comparison of combination methods of single, 3-way, and double crosses and combination order of 4 winter wheat which were different in origin, source, and plant types, On comparison of 4 crossing modes, there appeared the earliest heading and the highest grain yield in double cross, and decreased in 3-way. single crosses. and parents in order, There showed the significant mean squares of GCA and SCA in 4~times 4 diallel analysis for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Grumil and Bezostaya 1 exhibited highest GCA effect of grain yield which appeared the actual highest grain yield. There appeared the highest SCA-effect in F1 (Eunpamil/Bezostaya 1) showing 4.22. Of the 3 double crosses there exhibited the highest grain yield in F1 (Grumil/Eunpamil/ /Lanota/Bezostaya 1). Two single crosses for this double cross ---F1 (Grumil/Eunpamil) and F1 (Lancota/Bezostaya 1) --- do not revealed directly for this yield, but combined each other by chromosome switch as combination of F1 (Grumil/Lancota), F1 (Grumil/Bezostaya 1), F1 (Eunpamil/Lancota) and F1 (Eunpamil/Bezostaya 1) which appeared the higher grain yields and SCA-effects. Of the six 3-way crosses. F1 (Lancota/Bezostaya 1/ /Eunpamil) expressed the highest grain yield. Its combinations were F1 (Lancota/Eunpamil) and F1 (Bezostaya 1/Eunpamil) combined by chromosome switch, which its grain yield and SCA-effect were higher.

저자
  • 孟敦在(중앙대학교 산업대학) | 맹돈재
  • 成炳列(작물시험장 목포지장) | 성병열
  • 黃鍾珍(맥류연구소) | 황종진
  • 河龍雄(맥류연구소) | 하용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