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 전환밭에서 토성에 따른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 KCI 등재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원지역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를 달리하는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 실험포장(사양토)과 작물시험장 벼 재배포장(식양토)을 선정하여 월동 청예 사료작물 3가지와 하기 청예사료작물 4가지에 대한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정하고 초기 전환밭에서 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검색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작물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된 7종의 사료작물들은 지하수위가 낮고 상대적으로 사질성인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포장에서 더 좋은 생육 및 수량을 보였으며, 두 포장 모두 하기 청예용 사료작물의 재배시에는 습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청예용 사료작물 중에서는 트리티케일이 평균 1052kg/10a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포장간의 건물수량 차이도 보이지 않아 전환 밭에서의 월동 작물로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호밀은 두 포장간의 차이가 있어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있었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평균 41.6%의 낮은 월동률을 보여 위도가 높은 수원지역에서는 전환밭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기 청예사료작물 중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평균 1139kg /10a 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잡종과 진주조, 사료용 옥수수는 토성간의 건물수량의 차이가 있어서 식양토 전환밭에서는 습해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용 피는 두 포장간에 수량차이가 없었다.

A field trial was carried out to select suitable crops for diverted upland from paddy field and to investigate response of several forage crops to soil properties and ground water levels of the diverted upland at Suwon area of Korea in 1992 and 1993.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andy loam plot and comparatively clay loam plot having higher ground water level. Rye (Paldang), triticale (Shinki), italian ryegrass (Tetraflorum) were used as wintering forage crops and maize(Suwon 19), sorghum-sudangrass hybrid(Pioneer855F), pearl millet(Suwon 6), japanese millet (King) were used as summer forage crops.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were better and higher in sandy loam soil having low ground water level. Among wintering forage crops, triticale recorded the highest forage yield. Rye showed high forage yield in sandy loam soil and italian ryegrass hardly survived in diverted upland of Suwon area during winter. Among summer forage crops, forage yie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highest. Yield of japanese millet was not affected by soil conditions in both plots. Yields of pearl millet and maize remained relatively low in both plots.

저자
  • 金秀炯(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김수형
  • 李浩鎭(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이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