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료용 수수 1대잡종 육성 모재 선정을 위한 도입 유전자원의 품종군 분류 KCI 등재

Varietal Classification of Introduced Forage Sorghum Germplasm for Parental Line Selection on F₁ Hybrid Breed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수수류 청예용 1대잡종 품종육성을 위해서 1986, 1987년에 실시된 수수 유전자원의 특성조사 결과를 평균 연관 군집 분석과 주성분 분석법에 의한 품종군 분류법으로 교배모본을 선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수 단수수 및 수수 수단그래스 교잡군 육성을 위하여 각 군별로 개화기가 유사한 것 중에서 초고 및 형태적 형질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것들을 교잡군의 모본으로 선정하였다. 2. 수수류의 품종군 분류에서는 √D2 에 의해 3개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I 군은 수단그래스, II군은 단수수, III군은 종실용 수수였고,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와는 원연관계였다. 3. 주성분분석의 결과 제5주성분까지만 취했을 때 전체 성분의 88.3%, 제 1, 2의 2개 주성분만으로는 59.3%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 주성분에 대하여는 수단그래스와 종실용 수수, 제1, 2주성분에 대하여는 단수수와 수단그래스 및 종실용 수수가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제1주성분은 이삭밀도와 형태, 백립중, 식물체색, 종실의 영 피복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 제 2주성분은 개화기간, 초고, 까락의 유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이상의 결과로 선정된 품종들을 청예용 품종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으로 사용할 때 F1 의 잡종강세가 높고, 그들 양친의 조합능력에서 계통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forage sorghum F1 hybrid breeding a total of 16 lines were selected from 311 introduced sorghum germplasm accessions, assessed and classified by the taxonomic distanc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lines of which plant heigh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diverse and the 50% flowering date was similar to each other, were selected for parental lines in sorghum ~times sweet sorghum and sorghum ~times sudangrass crossing groups. Three varietal groups were classified by the average linkag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2 computed in eleven characters. Group I, II and III included 6 lines of sudangrass, 4 lines of sweet sorghum and 6 lines of grain sorghum,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eleven characters, about 82% of total variation could be appreciated by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highly loaded with head compactness and shape, l00-seed weight, plant color and grain covering,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with flowering date, plant height and awnness.

저자
  • 姜正勳(농업과학기술원) | 강정훈
  • 李浩鎭(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 이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