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육모일수에 따른 양분흡수와 배유양분 소모 KCI 등재

Nutrient Absorption and Endosperm Consumption in Rice Seed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육묘 일수에 따른 양분 흡수 양상을 밝혀 어린모 기계이앙 상자육묘시 시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990년 모래를 HCI로 세척후 시비량을 달리하고 동진벼를 상자당 200g을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토의 질소 함유율은 모래(N-lg), 인공상토 모두 파종 후 3일부터 감소하였으며, 파종 후 11일부터는 모래(N-lg)에서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2. 식물체 질소 함유율은 파종 후 9일까지는 모래 N-lg, 인공상토, 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으나 파종후 11일부터는 인공상토>모래 N-g>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다. 3. 질소 흡수량은 출아 직후인 파종 후 3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며, 파종 후 9일까지는 인공상토와 모래 N-1g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11일부터는 흡수량 차이가 컸다. 4. 인산의 흡수량은 파종 후 7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고 칼리 흡수량은 모래의 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모의 초장과 건물중은 파종 후 3일부터, 엽수는 파종 후 5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다. 6. 배유 소모율은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나 배유 의존도(배유소모량/지상부 건물중)는 모래 N-0g>모래 N-lg>인공상토의 순으로 많았다.

To elucidate the pattern of nutrient absorption and endosperm consumption as the seedling age of rice, Dongjinbyeo was raised in the seedling box with different nitrogen levels. Absorp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high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 with N-1g /box and sand without N from 3 and 5 days after seeding but, potassium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nd+N-1g /box and sand. Endosperm consumption rate was high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 + N-1g /box and sand but, endosperm dependence rate (endosperm consumption /top dry weight) was vice versa. Seedling height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N-1g /box and sand from 3 days after seeding, number of leaves were more from 5 days after seeding in same order.

저자
  • 田炳泰(농촌진흥청 연구관리국) | 전병태
  • 趙守衍(호남농업시험장) | 조수연
  • 李善龍(호남농업시험장) | 이선용
  • 崔旻圭(호남농업시험장) | 최민규
  • 金尙洙(호남농업시험장) | 김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