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재래종 옥수수 체세포 염색체의 C-분염패턴 KCI 등재

C-banding Pattern of Mitotic Chromosome in Korean Indigenous Maiz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Giemsa C-banding 방법에 의하여 한국 재래종 옥수수 핵형 및 염색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옥수수의 근단 생장점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핵형 분석 및 염색체의 특성 연구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재래종 옥수수에서는 각각 10개의 heterochrornatic knob이 발견되었으며 이것들의 크기와 위치는 계통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가 6번 염색체에 부수체를 가지고 있었다. 10번 염색체를 100으로 해서 비교해 본 각 염색체들의 상대적 길이는 조사된 계통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A Giemsa C-banding method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somatic chromosomes of Korean indigenous maize(Zea mays L.). Two Korean indigenous maize stocks and an American hybrid maize for comparison were examined. Ten deeply stained heterochromatic knobs whose position and size were different between the genotypes, two satellites and interstitial bands were observed. The length of homologous chromosomes compared by the relative lengths of chromosomes presented as a percentage of the length of chromosome 10 were different between the genotypes. The Giemsa method proved to b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somatic chromosomes an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stocks of Korean indigenous maize.

저자
  • In Sup Lee(Dept. of Biology, Kyungsung University) | 이인섭
  • Bong Ho Choe(Dept. of Agronom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최봉호
  • J. P. Gustafson(USDA-ARS, Dept. of Agronomy, University of Missouri) | 거스타프손 제이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