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녹두품종별 종실크기 및 온도처리에 따른 하배축 신장성 KCI 등재

Effects of Seed Size and Temperature on Hypocotyl Elongation in Mung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근래에 육성된 한국산 녹두품종에 대하여 용도상 분류 기준이 되는 하배축신장성과 주요 성분함량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배축 신장성이 큰 품종은 4234-697과 금성녹두였으며 남평녹두는 중간정도, 선화녹두는 작았다. 2. 파종 후 치상온도가 높을수록 하배축 신장은 양호하였는데 고온에서는 파종직 후부터 급속한 신장을 나타냈다. 3. 냉장고에 저장한 종자의 하배축신장성은 상온에 저장한 종자보다 하배축신장성이 양호하였다. 4. 종자크기와 하배축신장성과는 품증에 따라 각각 다른 상관정도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riability of hypocotyl elongation of mungbean varieties. With four mungbean cultivars, which were classified as 4234-697 and Keumsungnogdu(long), Nampyungnogdu(Medium), and Seonhwanogdu(short), hypocotyl elong-ation was measured 4 to 6 days after seeding in paper towel at different temperatures (15, 20, 25, 30, and 35~circC ). Hypocotyl elongation of mungbean seed stored at 5~pm 1~circC for 6 months was compared with of seed stored at room temperature. As the temperature rises, the hypocotyl is longer. The hypocotyl elongation started immediately at high temperature, and longest at the range of 30 to 35~circC . The hypocotyl elongation became longer at the 5~circC storage plot than at the room temperature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100 seed weight and hypocotyllength are not significant.

저자
  • 李成春(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이성춘
  • 金東喆(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김동철
  • 任太坤(전남보건환경연구원) | 임태곤
  • 宋東錫(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송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