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녹두의 주요 성분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품종간 차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s of Major Chemical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ng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근래에 육성된 한국산 녹두품종에 대하여 녹두 용도별 가공 적성분류 기준이 될 수 있는 주요 일반성분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24.3, 3.6%였는데 수분함량은 약 10% 정도였다. 2. 조단백질과 조탄수화물간, 종자수분과 조지방함량간, 종실중과 조지방함량간 등에서는 각각 고도의 부의 유의조관을 보였다. 3. 지방산조성 중 불포화지방산이 60∼67% 함유되었으며 종류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등 4종이었고, 포화지방산이 33∼40%정도 함유되었는데 종류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 등 4종이었다. 4.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가 33.4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linoenic acid와 palmitic acid로 각각 21.87, 21.72%였고, 다음이 stearic acid, oleic acid, arachidonic acid가 각각 5.98, 5.87, 4.87% 였으며 behenic acid와 lignoceric acid는 극히 미량 존재하였다. 5.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 oleic acid와 lignoceric, behenic acid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를, palmitic acid와 arachidonic, lignoceric acid간, oleic acid와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와 lignoceric acid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종실중과 oleic, arachidonic, behenic acid간에 고도의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material on the utility characteristics in mungbean, The crude protein, fat and ash content were 24.3, 0.67, 3.6%, repectively, and the fat content showed varietal differences, whereas the protein and ash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varieties. The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seed moisture and fat content, seed weight and fat content.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ain 60∼67% and there were oleic, linoleic, linolenic and archidonic acid, and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ain 33∼40% and there were stearic, palmitic, behenic and lignoceric acid. The major fatty acids in mungbean were linoleic, linolenic and palmitic acid, and have contained 33.46, 21.87, 21.72, respectively, and oleic, stearic and arachidonic acid contained 5.98, 5.88, 4.87, respectively, and the behenic and lignoceric acid left trace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almitic and linoleic acid, oleic and lignoceric, behenic. However; palmitic and arachidonic, lignoceric acid, oleic an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nd liniceric acid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eed weight of tested varieties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leic, arachidonic and behenic acid.

저자
  • 李成春(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이성춘
  • 任太坤(전남보건환경연구원) | 임태곤
  • 金東喆(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김동철
  • 宋東錫(순천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송동석
  • 金榮國(전남보건환경연구원) | 김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