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리 생식생장기의 수분부족이 수량 및 몇 가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Grain Yield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Water Stress at Reproductive Stage in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2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보리는 생식생장기에 수분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보리 5품종 (겉보리 :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쌀보리: 백동, 맥주보리: 향맥)을 공시하여 생식생장기에 해당되는 출수전 20일, 출수전 10일 및 출수기에 각각 10일간씩 단수처리를 하여 한발을 유발하였으며 처리 후에는 관수를 하여 정상적으로 재배하였다. 보리 품종들을 10월에 포장에 파종하여 익년 2월에 대형 폿트에 이식하여 재배하였으며, 건물중, 유효경비을, 간장,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유리 proline함량과 상대팽압도를 측정하였다. 1. 한발에 의한 피해는 출수전 10일>출수기>출수전 20일 처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수전 10일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간장은 85∼98%, 주당수수는 52∼83%, 일수립수는 71∼86%, 천립중은 80∼84%, 그리고 10주당 수량은 60∼94%를 나타내었다. 2. 출수 10일전 단수처理에서 수량 및 수량구성 요소들의 감소율이 가장 컸고, 수량구성요소 중에 주당수수와 일수립수가 비교적 한해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3. 올보리>밀양 1002ㆍ두루보리>향맥>백동의 순으로 내한성이 약하였다. 4. 한발처리를 끝낸 후에 다시 관수하여 지엽의 유리 proline함량의 감소율과 상대팽압도의 회복율을 품종별로 보면 피맥 3품종이 높고 백동과 향맥이 매우 낮았다.

To cope with increasing importance of water stress in food crop production, som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ir cultivar-differences and grain yield of winter barley cultivars in response to water stress during reproductive stages were studied employing three covered-barley cultivars, Milyang 12, Durubori, and Olbori, one naked-barley cultivar, Baegdong, and one two-row malting-barley cultivar, Hyangmaeg. The barley grown in pot-soil was conditioned for 10 days under water stress, varying the time of water stress : 20 days before heading, 10 days before heading and the time of heading. The decrease in growth due to water stress varied greatly with the cultivars and time of water stress. The greatest injury occurred when water stress was imposed for 10 days from 10 days before heading : the culm length of water-stressed plants have shown reduced by 85∼98% of the non-stressed; the number of spikes per plant by 52∼83%;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 by 71∼86%; 1,000-grain weight by 80∼84%; yield per pot by 60∼94%. The number of spikes per plant as one of yield components was most sensitively affected. As a whole, the drought resistance of cultivars was high in the order of Olbori> Milyang 12 and Durubori> Hyangmaeg>Baegdong. On rewatering the plants after termination of the water stress treatment the recovery rate of free proline content and relative turgidity of flag leaf were higher in 3 covered-barley cultivars, and lower in cultivars Baegdong and Hyangmaeg.

저자
  • 崔元烈(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최원열
  • 權容雄(서울대학교 농학과) | 권용웅
  • 朴鍾煥(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박종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