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휴입건답직파 재배에서 합리적인 절수 관개방법 KCI 등재

Water-Saving Culture under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1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권개수 부족시 합리적인 최소 권수방법을 밝히고자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5일 간격 고량관개, 10일간격 고랑관개, 15일 간격 고랑관개, 10일 간격 전면관개를 관행 물관리 방법과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권개용수량 절감은 관행에 비해 15일간격 고랑관개(92.4%)>10일 간격 고랑관개(88.5%)>10일 간격 전면관개(78.6%)>5일간격 고랑관개 (58%) 순이었다. 2. 고랑에서 90cm까지는 고랑 관개후 5일에도 수분장력이 -50kpa 이하였으나 고랑에서 120cm는 고랑 관개후 4일에도 -70kpa 이상이었다. 3.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관개 간격이 길수록 적었다. 4. 간장은 관행에 비해 관개 간격이 길수록 짧았으며, 전체 간장에 영향을 미친 절간은 상위 제1,2절간이었다. 5. 관개 간격이 길수록 수수 및 등숙비율이 낮아, 쌀수량은 관행관개(5.32MT/ha)에 비해 5일 간격 고랑관개는 5%, 10일 간격 전면 관개는 8% 감수하였으나, 10일 간격 고랑관개는 18%, 15일 간격 고랑관개는 28%의 유의적인 감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휴입건답직파 재배에서 권개수가 부족시에도 최소한 5일간격 고랑관개나 10일간격 전면관개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관개수가 부족할 경우에도 합리적인 휴입건답직파 재배의 물관리 기술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ow supply of water is generally the most serious factor limiting rice produ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asonable method for minimum irrigation under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at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duction ratio of irrigation water was high in order of furrow irrigation at 15-day>furrow irrigation at 10-day>flooding irrigation at 10-day>, and furrow irrigation at 5-day intervals. However, milled rice yield was high in the furrow irrigation at 5-day intervals and in flooding irrigation at 10-day intervals due to high ripened grain a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indicating two treatments were the most reasonable irrigation methods in terms of saving the labor cost and water supply as well as the admittable yield performance.

저자
  • 崔元永(호남농업시험장) | 최원영
  • 朴洪圭(호남농업시험장) | 박홍규
  • 金尙洙(호남농업시험장) | 김상수
  • 梁元河(호남농업시험장) | 양원하
  • 申鉉卓(호남농업시험장) | 신현탁
  • 趙守衍(호남농업시험장) | 조수연
  • 崔善英(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최선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