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잎의 엽록소 및 질소함량과 엽록도 관계의 품종적 차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PAD Value and Chlorophyll and Nitrogen Concentration in Rice Lea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5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엽록도(SPAD-502)에 따른 엽록소와 질소농도의 관계를 구명하여 벼 재배기술 개발 및 품종육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2001년 작물 시험장 벼 재배 포장에서 화성벼와 광안벼를 이용하여 실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염록도(SPAD값)는 표준시비량(11kg/10a)에서 이앙 이후부터 출수기까지 화성벼가 광안벼보다 1.2-4.4가 낮았다. 2. 엽록소 a함량과 SPAD값은 품종 구분 없이 정의 상관관계로서 엽록소 a 함량(y)은 SPAD값(x)과 y=0.9582x-6.9078 (R2 = 0.4307** )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3. 광안벼와 화성벼 지엽의 엽록소 함량은 유의하게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엽록소 b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총엽록소 함량에 대한 엽록소 b의 비율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4. SPAD값과 엽록소 함량의 상관관계는 엽록소 a는 화성벼는 0.616** , 광안벼는 0.536** 으로 두 품종 모두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엽록소 b는 화성벼는 0.298, 광안벼는 0.549** 로 광안벼만이 인정되어 품종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엽록소 함량은 화성벼는 0.541** 광안벼는 0.596** 로 정의 상관이 있었다. 5. SPAD 값과 질소농도의 상관관계는 화성벼는 0.608** , 광안벼는 0.685** 로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동일 처리의 시험에서도 품종간 SPAD값과 엽록소함량 및 질소농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SPAD값을 이용하여 엽록소 함량과 질소농도를 추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시 62%로 크게 감소되었다.다.0일이었다.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variet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chlorophyll and nitrogen concentration with leaf greenness value (SPAD value). We used two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leaf color type: Hwaseongbyeo has pale green leaves, and Gwanganbyeo has dark green leaves. SPAD value was correlated wit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 both varieties, but not with chlorophyll b in Hwaseongbye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PAD value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rice flag leaves were highly significant. However,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PAD value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rice flag leaves showed different relation among varieties.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in Gwanganbyeo was steeper than that in Hwaseongbyeo. In conclusion, SPAD value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varietal differences. Chlorophyll b and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leaf were regressed to the SPAD values differently with varieties. This implies that the SPAD value can not be used directly to estimate chlorophyll b and nitrogen concentr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varietal differences.

저자
  • 김덕수(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윤영환(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신진철(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김제규(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김석동(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