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변동과 출수 전후의 기상 및 수량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재배시기를 제안하기 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0일부터 6월 24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까지는 일 평균기온이 높았으나 출수소요일수가 단축됨에 따라 적산온도가 적어졌고, 출수 후 40일간은 평균기온이 낮고 일조시간이 많은 경향이었다. 2. 이앙기~출수기와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은 시험연차보다 이앙시기에 따른 변이가 컸으나 일 평균 일조시간은 이앙시기 보다 시험연차에 따른 변이 정도가 더 커서,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기상요인의 변화는 평균기온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수는 감소하였으나 수당영화수가 증가하였고, 결과적으로 이앙시기 지연에 의한 출수소요일수의 단축이 sink size의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4. 이앙시기 조절에 의한 m2당 영화수의 변화는 등숙비율과 뚜렷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현미천립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 쌀수량은 이앙시기에 따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완전립 비율은 6월 24일까지 이앙이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에 따라 완전미 수량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결과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는 이앙시기를 6월 중~하순으로 늦춤으로써 쌀 품위를 높이고 완전미 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등숙 후기의 저온 피해 우려를 고려하면 6월 중순에 이앙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조건에서 22종의 옥수수교잡종을 과습조건에서 도복관련형질들의 상호관련성을 검정하였는데 좌절중 (1.0 m, 1.5 m)과 좌절부위등을 평가하였고 주요한 도복 저항성 형질인 좌절중, 간직경, 뿌리건물중, 중심고등의 상호 관련성을 함께 평가하였다. 본시험은 포트시험에서 일차 스크린 한 것을 논에 경사지를 만들어 경사지별로 수분함량과 도복저항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관수시기(과습조건)를 파종후 20일, 5엽기, 출웅기, 출사기로 구분하였고 관수량은 100 mm/일 씩 5일간 처리하였으며 조사는 수확기에 수행 하였다. 본시험의 결과 출사기에 1.0 m, 1.5 m 높이에서 좌절중과 중심고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파종후 20일차에 관수처리구에서는1.0m, 1.5m 모두 좌절강도와 간직경이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관수처리 5엽기에서는 높이 1.0 m에서 좌절강도와 간직경간의 강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도복관련 형질인 간직경, 뿌리건물중,지상부 중심고, 좌절중, 좌절고등이지만 관수처리시 이들을 가장쉽게 판별 할 수 있는 방법은 5엽기에 관수처리구가 가장 효율적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4 and 2015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planting density on panicle 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anicle production with yield traits in the mid-maturing quality rice cultivar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Number of tillers per square meter increased by reducing planting distance and increasing seedling number per hill.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maturity and were reflected in the final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decreased as rice growth progressed. However, increase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following dense planting did not improve head rice yiel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 yield components or head rice yield. Head rice yield was not correlated with head rice percentage but was close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lled rice yield. Milled rice yield did not increase with grain filling percentage but increased with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increased with bo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former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we conclude that head rice yield of the ‘Haiami’ cultivar grown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is not improved with an increased panicle number following high planting density but it could be improved with high milled rice yield by increasing spikelet number per unit area.
        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cording to medicinal plant standard culture, flower organ should be removed but there is no detail information on flower organ removal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effect of flower organ removal on the increase of roots yield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Methods and Results : ○ Experiment variety :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 Treatment : ① Flower organ non-cutting ② Flower organ cutting ○ Planting date : April, 2015/ April 25, 2016 ○ Planting distance : 30×20cm/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The fresh rhizome yield of F. O. C. at a bud treatments were increased 21.0% ∼50.0% compare to F. O. N. C. treatments. The fresh rhizome yield of F. O. C. at a flower treatments were increased 17.4%∼34.6% compare to F. O. N. C. treatments. The fresh weight of above-ground parts of F. O. C. treatments were decreased 77.2%∼65.7% compare to F. O. N. C. treatments. F. O. C.(=Flower organ cutting) / F. O. N. C.(=Flower organ non-cutting).
        9.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Jiwhang (Rehmannia glutinosa L.) cultivation area of chungnam province was 62ha(219 farms, 53.9% of domestic cultivation area, M.A.F.R.A. 20142)). Recently, jiwhang is rapidly spread to 150ha ( Geumsan administration statistics, 2015) as taking place of income crop in Chungnam. High quality jiwhang GAP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magnus customers, producer association fosterage and conventional market Vitalization were the reason of rapid cultivation area increase of Rehmannia glutinosa L. in Geums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up the standard Rhizome size for planting in Rehmannia glutinosa L.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Togang ○ Treatment(rhizome length) : ① 1cm ② 2cm ③ 3cm ④ 4cm ⑤ 6cm(control) ○ Planting date : May 6, 2015 ○ Planting distance :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In the aboveground growth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the root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Take a 1∼2cm rhizome planting saved rhizome amount and planting time to 73.8%∼64.3% and 68.4%∼ 57.8% respectively than 6cm(control).
        10.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enerally, price of Jiwhang(Rehmannia glutinosa L.) is highest in August. In this study, Economic Evaluation and Productivity of 9 Jiwhang varieties w ere analyzed according to harvesting tim es of August and October.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Jiwhang 1, Korea jiwhang, Daegyung, Gogang, Togang, Dagang, Wongang, Hwanggang and Yeongang ○ Treatment : ①Initial-August harvest ②Mid-August harvest ③Ended-August harvest ④Ended-October harvest ○ Planting date : April 17, 2015 ○ Planting distance :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The higher roots yield at August harvest was in Gogang, Dagang and Togang. The lower roots yield at August harvest was in Korea jiwhang and Hwanggang. The higher economic feasibility at August harvest was in Gogang, Togang, Dagang and Wongang. The higher economic feasibility at ended-October harvest was in Gogang, Yeongang, Togang, Dagang and Wongang.
        11.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cording to medicinal plant standard culture, flower stalk should be removed at the stage of 4-5 main leaves appearance but there is no detail information on stalk removal in jiwhang (Rehmannia glutinosa 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effect of flower stalk removal on the increase of total yield in Rehmannia glutinosa L.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Korea jiwhang, Wongang ○ Treatment : ① Peduncle non-cutting ② Peduncle cutting ○ Planting date : April 18, 2015 ○ Planting distance :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Aerial part growth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eatments in Wongang and aerial weight was havier in Peduncle cutting than in Peduncle non-cutting. Aerial part growth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eatments in Korea jiwhang. The roots yield in Korea jiwhang was increased about 5.2% in Peduncle cutting. The roots yield in Wongang was increased about 24.9% in Peduncle cutting.
        1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ai Zhu is generally harvested in 1-2 years after seedstock planting. Recently mainly in Guemsan, Bai Zhu is harvested in just 1 year after planting in spring . According to medicinal plant standard culture, Bai Zhu should be directly sown by 20cm distance in Apri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proper planting date.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Bai Zhu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Treatment : Planting Date ① Late march ② Early april ③ Middle of april(control) ④ Late april Plantind density : ① 30×10cm ② ① 30×20cm ○ Planting type : Direct Seeding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Number of lateral branches in 30×10cm was more in late march than late April and aerial part growth was superior as planting date was earlier. Emergence rate was higher in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and aerial part weight, fresh root weight, dry root weight rate, and dry root weight were superior as planting date was earlier. Dry weight yield increased as 38.3% in late March compared to middle of April. Dry weight was havier as 36.2% in planting time of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planting time of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Total income was higher in planting time of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planting time of middle of April and late April.
        1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Jiwhang (Rehmannia glutinosa L.) cultivation area of Chungnam province was 62ha (219 farms, 53.9% of domestic cultivation area, MAFRA. 20142)**). Recently, jiwhang is rapidly spread to 150ha (Geumsan administration statistics, 2015) as taking place of income crop in Chungnam. High quality jiwhang GAP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magnus customers, producer association fosterage and conventional market vitalization were the reason of rapid cultivation area increase of Jiwhang in Geumsan. But low emergence rate caused by spring drought should be solv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for emergence rate improvement in jiwhang.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 variety : Korea jiwhang ○ Treatment : ①Control ② 1 time irrigation at planting time ③1 time irrigation at planting time + transparent vinyl mulching ○ Planting date : April 30, 2015 ○ Planting distance : 30×15cm ○ Experiment place : Ginseng and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Geumsan-gun, Chungcheongnam-do) Conclus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oveground growth among treatments. The seedling emergence rate was higher in 1 time irrigation at planting time + transparent vinyl mulching(1ITVM) than control or 1 time irrigation at planting time(1I). Aerial part weight was significantly havier in 11ITVM than control or 1I. The roots yield was also more in 1ITVM than control or 1I. According to economic analysis, total income in 1ITVM compared to 1I and control was 125.1% and 54.0% higher respectively.
        1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중모1031’은 기상이변으로 조생종 벼 재배지대의 재해 및 병해 발생 증가에 대비 벼 조생종 품종의 내재해성 및 내병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2002년 하계에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여 2011~2013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수발아, 잎도열병 그리고 흰잎마름병이 강함이 인정되어 2013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간모본으로 선정되었다. ‘중모1031’는 출수기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7월25일로 오대벼와 같은 조생종이다. 간장은 60cm로 작고, 도복시험에서 쓰러짐에 강하였다. 주당수수는 13개로 오대벼와 비슷하나 수당입수는 80개로 오대벼보다 13개가 많았다. 현미 천립중은 오대벼의 26.3g보다 작은 22.0g의 단원립이다. 잎도열병과 흰잎마름병(K1∼K3)에는 저항성이지만 기타 바이러스 및 충해에는 약하였다. 수발아율도 4.5%로 강하였다. 쌀 수량은 5.47톤/ha로 오대벼보다 5%정도 다소 증수되었으며, 쌀 외관인 심복백이 없어 오대벼에 비하여 맑다. 그래서 중모1031은 조생종으로서 잎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성이며, 도복 및 수발아에도 강한 조생종 품종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특히 조생종 품종에 흰잎마름병 및 수발아에 강한 품종을 육성하는데 중간모본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1029’, a late-maturing, high biomass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for whole crop silage (WCS) use.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Gillim collection1’ with high biomass and ‘Junam’ which has some of diseases resistant genes. This elite cultivar had about 127 days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eading, 105 cm culm length, 11 panicles per hill, 163 spikelets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of 21.5 g as brown rice. This WCS rice variety was weak to cold stresses similar to ‘Nokyang’ but was tolerant to lodging in the field. In addition, ‘Jungmo1029’ was resistant to leaf and neck blast, bacterial blight except race K3a and rice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brown planthopper. Its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three years reached 17.1 MT/ha, 14% higher than that of ‘Nokyang’. This stay green cultivar had good quality for WCS with low acid detergent fiber and high total digestible nutrients similar to ‘Nokyang’.‘Jungmo1029’ wa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lain area of the South Korean peninsula and required to harvest 15~30 days after heading to improve the digestibility of cattle (Registration No. 5104).
        1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farmer’s demands to develop early-maturing cultivar in order to replace Odae variety to mid-northern inland plain and southern mountainous area of Korea. Saeodae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Cheolwon Sub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2.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Geuroobyeo and Suweon 472 in 2001 summer season, and selected by a promising line, SR27376-2-2-1-3,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the line of Cheolweon 81 in 2010. The local adaptability test of Cheolweon 81 was carried out at four locations from 2010 to 2012 and it was named as Saeodae. The heading date of Saeodae is July 25 in Cheolwon area, which is 2 days earlier than that of Odae. This variety has 66cm in culm length and 77 spikelets per panicle. Its 1,000 grain-weight of brown rice is 26.5 g,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dae. Germination rate at low temperature of this variety is about 70%, and viviparous germination is 17.7%. Cold tolerance of this cultivar is still not good, just mediocre. It shows strong lodging resistance. And premature heading, occurrence of wilting during ripening stage, and leaf senescence at maturing are similar to those of Odae. This variety shows resistance to leaf blast disease,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 and insect pest. This variety has translucent and clear milled rice kernel without white core and belly rice. The yield potential of Saeodae was about 5.26 MT/ha at ordinary fertilizer level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This variety would be adaptable to mid-northern inland plain and southern mountainous area of Korea.
        1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냉해는 벼의 대표적인 자연재해중 하나이며 쌀 수량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 냉해발생으로 국내 벼 재배면적의 64.2%에 결정적인 피해를 주고 약 32%의 수확량 감소를 가져왔다. 최근 잦은 기상이변이 발생 함에 따라 저온으로 인한 안정생산이 우려되고 있다. 벼 냉해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랭성이 우수한 벼 품종의 개발이다. ‘진부59호’는 내랭성이 우수하고 쌀수량 및 품질이 향상된 고랭지역에 적응하는 조생품종 육성을 목적 으로 ‘진부’를 모본으로 하고 ‘운광’을 부본으로 2006년에 인공교배 하였다. 계통육종법에 의해 세대를 진전시킨 후 고정세대에서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쌀수량이 525kg/10a로 진부보다 9% 증수하였다. ‘진부59호’의 출수 기는 7월 29일로 조생종이며 간장이 62cm 정도로 ‘진부’ 보다 7cm 짧고 수당립수는 77개 정도이다. ‘진부59호’는 저온발아성이 92%로 양호하고 유묘내랭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보였다. 향후 지역적응시험을 통해 계통의 안정성 및 특성을 검정할 계획이다.
        1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냉해는 벼의 생육저해 및 수량감소를 발생시키는 재해 중 하나이며, 특히 우리나라 고랭지 지역은 냉해로 인한 벼 수량 및 품질저하가 우려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벼 재배를 위해 벼 재배기간 중 저온피해에 대비한 조생 내랭성 고 품질 벼 품종개발이 필요하다. ‘진옥’은 고랭지 적응 내랭성 조생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태봉’을 모본으로 하고 ‘운 봉3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여 육성과정을 거쳐 2013년 신품종으로 선정되었다. ‘진옥’의 출수기는 7월 23일 로 조생종이며 간장이 62cm 정도로 ‘진부’보다 7cm 짧고 수당립수는 84개 정도이다. 불시출수와 수발아는 안 되는 편이다. ‘진옥’은 저온발아성이 양호하고 냉수처리 내랭성 검정 결과 출수지연일수는 진부에 비해 짧으며 냉수구 임실율이 양호하여 강한 내랭성을 나타내었다. 쌀 수량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4개소)에서 550Kg/10a로 진부벼 보다 6% 증수되어 향후 중북부 고랭지 지역의 품종 다양화 및 수량성 개선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1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대지역의 벼 품종을 열대지역 재배시 불수출수로 인하여 수확량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중․만생종이 이러 한 환경변화에 더욱 민감하다.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고자 필리핀 국제벼연구소내 한국지소에서 열대지역에서도 정상적인 생육을 나타내는 ‘진미‘와 밥맛이 좋고 병해에 강한 ‘철원46호‘를 교배하여 열대지역에서도 잘 생육하여 수량성도 높으면서 병에도 강한 온대벼 ‘아세미(수원574호)‘를 개발하였다. 필리핀 현지에서는 간장이 66cm로 작 고 주당수수 12개 수당립수 84개였으며 등숙률을 보면 현지 품종(IR 72)의 등숙률이 63%인데 ‘아세미‘는 77%로 높았고 수확량도 헥타르 당 4∼5 톤으로서, 현지 품종인 ‘IR72’보다 10% 가까이 많았고, 밥맛도 좋았다. 우리나라 에서는 출수기가 8월1일로 ‘화성‘(8월 12일)보다 11일 빨랐으며 간장은 82cm, 수장 21cm, 수수 12개, 수당립수 109 개, 등숙률 83%였고 현미천립중이 22.5g인 중립종이다. 생리장해 저항성으로 유묘적고가 거의 없고 감수분열기 임실률도 높아 내랭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다. 잎도열병 저항성은 보통 수준이었고 흰잎마름병에는 약하나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했다. 또한 심복백정도 백미완전미율 등 미질특성은 ‘화성‘과 비슷하였다. 수량성은 중북 부 내륙지와 중서부 해안지에서 ‘화성‘보다 10%정도 높았고 중북부 산간지에서는 ‘오대‘보다 13%높은 수준을 보 였다. 이처럼 ‘아세미‘는 열대지역이나 우리나라에서 잘 재배되는 것으로 보아 아시아 지역에 재배가 가능한 비감 광성 광지역적응성을 갖춘 벼 품종임이 확인되었다.
        2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중모1031’은 기상이변으로 조생벼 재배지대의 재해 및 병해 발생 증가에 대비 벼 조생 품종의 내재해성 및 내병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02년 하계에 조생종인 상미벼와 운봉31호와 인공교배하여 2003년에 F1세대, 2004년에 F2세대, 2005년 F3세대 이후부터는 포장에서 계통육종법에 의해 선발하면서 주요 병해 충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에 대해 2008~2010년 3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생 종이면서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에 강하면서 쌀 외관이 양호한 SR28111-27-3-2 계통을 철원84호 계통명을 부여하 여 2011~2013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한 결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이 인정되어 2013년 12월 농촌 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간모본 ‘중모1031’으로 명명하였다. ‘중모1031’은 출수기가 보 통기 보비재배에서 7월26일로 오대벼와 비슷한 조생종이다. 벼 키는 오대벼보다 12cm 작은 단간종으로 쓰러짐에 강하고, 주당수수는 13개로 오대벼와 같으나 수당입수는 80개로 오대벼의 67개보다 13개가 많다. 잎도열병과 흰 잎마름병 K1, K2 그리고 K3에 강한 편이다. 저온발아성에는 양호하였으며, 수발아도 잘 안되는 편이다. 쌀알의 크 기는 현미 천립중이 22.0g으로 오대벼 26.3g보다 적은 소립이고 쌀의 외관은 맑은 편이다. 쌀수량성은 5.47톤/ha으 로 오대벼보다 5% 증수되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조생벼 재배지대에서 흰잎마름병 발생이 빈번한데 ‘중 모1031’은 향후 흰잎마름병 저항성 조생품종 육성에 중간모본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