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자의 양액재배 소괴경의 절편크기 및 절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 KCI 등재

Effects of Seed-piece Size and Seed-piece Number Per a Hydroponiclly Grown Mini-tuber on Growth and Yield of Potat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55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양액재배산 소괴경의 절단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1년 분무경 양액재배산 괴경을 3, 5, 7, 9, 11, 13g의 절편이 되도록 1(전서), 2, 3, 4개로 절단하여 플러그묘판에서 출아시켜 이식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35일에 출현율은 절편크기가 7-13g에서 83.0-85.4%, 3, 4절단서 재식구에서 84.0-86.6%로 높았다. 2. 10a당 총서 및 종서규격서 수량은 절편크기가 3g에서 9g으로 증가됨에 따라 10a당 총서수량은 각각 2,052kg과 1,589kg에서 2,924kg과 2,428kg으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절편의 무게가 증가되었을 때에는 괴경수량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3. 10a당 총서수량은 전서 재식구에서 1,918kg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982kg로 증가되었고 종서규격서 수량도 전서 재식구에서 1,422kg/10a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579kg으로 증가되었으나 3, 4절 절단서 재식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평균서중은 절편크기가 3g에서 13g으로 증가함에 따라 46.3g에서 71.5g으로 증가되었으며, 전서 및 2절 절단서 재식구의 56.5g과 58.0g보다 3, 4절에서 재식구에서 63.6g과 64.9g으로 무거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01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piece size (SPS) and number (SPN) per mini-tuber produced by hydroponics on growth and yield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Treatments consisted of the combination of six SPS (3, 5, 7, 9, 11, 13g/seed-piece) and four SPN (whole tuber, and two, three, and four pieces/tuber). Percentage sprout emergence at transplanting was higher for seed pieces weighing 7 to 13 g (83.0 to 85.4%) and for three and four pieces per tuber (85.4 and 84.8%). As SPS were increased from 3 to 9 g/piece, total yields markedly increased from 2,052 to 2,924 kg/10a and seed tuber (31 to 250 g) yield from 1,589 to 2,428kg/10a with no further increase with SPS. As SPN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tuber, total yields increased from 1,918 to 2,982 kg/10a and seed tuber yields from 1,422 to 2,579 kg/10a with no further increase with SPN. Average tuber weight increased with SPS (46.3 to 71.5 g/tuber) and SPN (56.5 to 64.9 g/tuber).

저자
  • 강봉균(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강영길(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문현기(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송창길(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찬우(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정식(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