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 소비벼의 입중과 입형의 유전 KCI 등재

Inheritance of Grain Weight and Size of a High Yielding Japonica cultivar, Sobibye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5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자포니카 중대립 소비벼의 입중 및 입형 관련형질의 유전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2조합의 자포니카 품종간 F1 및 F2 를 이용하여 현미 천립중, 현미 길이, 넓이, 두께 등의 유전 및 관련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폭비를 제외한 현미 천립중, 현미 길이, 넓이, 두께 등은 익산 429호/소비벼, 익산 430호/소비벼 두 조합의 F1 에서 모두 양친의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미 천립중은 F2 집단에서 18.4g-32.2g과 19.5g-33.4g 범위로 연속적인 빈도분포를 보였다. 2. 현미 천립중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두 조합에서 각각 89.00과 89.06으로 높게 추정되었으며, 현미의 길이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97.45와 97.35로 관련형질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입중과 입형 관련형질 상호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현미 천립중은 현미 길이, 넓이, 두께 순으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소비벼의 입중 및 입형관련 형질들은 우성으로 작용하는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양적형질로 나타났으며, 교배 모본으로 활용할 경우 초기세대에서 선발이 가능하여 육종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inheritance of grain weight and grain size of japonica cultivar, Sobibyeo which has high yielding potential and large grain in rice, the genetic variation, heritability and phenotypic correlation of 1,000 grain weight, gr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were investigated in two crosses, Iksan 429/Sobibyeo and Iksan 430/Sobibyeo. The gram characteristics of ~textrmF1 hybrids exceeded mid-parental values, while grain length: width ratio was intermediate between the parents. In ~textrmF2 populations, the average gr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were intermediate as mid-parental values, but grain weight exceeded the mid-parental values. In ~textrmF2 populations of Iksan 429/Sobibyeo and Iksan 430/Sobibyeo, mean 1,000 grain weights were 24.86g and 25.04 g on the average, and ranged 18.4g-32.2g and 19.5g-33.4g, respectively. The segregation mode for grain weight was regarded as a nearly normal distribution in two crosses of ~textrmF2 populations. Estimates of broad sense heritabilities for grain weight in Iksan 429/Sobibyeo and Iksan 430/Sobibyeo were high as 89.00% and 89.06%, and grain length showed the highest heritability among grain characteristics as 97.45% and 97.35%, respectively. Grain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with gr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and grain leng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grain width and thickness. These grain characteristics were apparently controlled by polygenes. Accordingly, these traits will be readily improved through selection in the early segregating generations.

저자
  • 이승엽(원광대학교 식물자원과학부 생명자원과학연구소)
  • 노태환(호남농업시험장)
  • 김보경(호남농업시험장)
  • 이중호(원광대학교 식물자원과학부 생명자원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