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엽형 및 CO₂ 이용효율에 따른 콩 입중별 이상초형 연구 KCI 등재

Ideal Leaf Type on Leaf Shape and Co₂ Use Efficiency of Different Seed Size Cultivar in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콩의 입중에 따른 이상초형(ideal type)의 개발을 위해 광합성호율이 높은 안전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엽형 및 입중에 따른 잎기능에 관련된 몇 가지 주요특성 및 CO2 이용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 단엽의 CO2 동화량은 소립품종에서 장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66 umolm2s1로서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18.29 umolm2s1)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대립품종에서는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17 umolm2s1로서 장엽형품종(17.45 umolm2s1)보다 높았다. 2. 기공전도도가 0.12-0.13범위에서는 주로 대립, 장엽형 품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CO2 동화량은 17-18 umolm2s1정도로 낮았고, 0.14-0.15범위에서는 소립, 장엽형 품종들이 분포하였는데 CO2 동화량은 19-20 umolm2s1로서 높았다. 3. CO2 동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생성량은 대립,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들이 0.82-0.83으로 가장 적었으나 CO2 동화량은 18-20 umolm2s1로서 높았다. 4. 주당 CO2 흡수량은 나물콩에서는 장엽형 품종이 68.5ppm으로 환엽형(46.5 ppm)보다 크게 높았으며 장류콩에서는 환엽형이 70.1 ppm으로서 장엽형(63.1 ppm) 보다 약간 높았다.

To examine ideal leaf types with higher ~textrmCO2 assimilates and different seed sizes, 12 soybean varieties were planted on the pot in a plastic house covered with glass. Leaf function based on stomatal conductance and ~textrmCO2 assimilation in soybean is different in seed size and leaflet shape. Mean ~textrmCO2 assimilation of a single leaf was 19.66 ~mu~textrmmolm-2~textrms-1 and showed higher in small seed cultivars with narrow leaflet than that of small seeds with wide leaflet (18.29 ~mu~textrmmolm-2~textrms-1 ), but within large seed groups, it was higher in wide leaflets (19.17 ~mu~textrmmolm-2~textrms-1 ) than narrow leaflet cultivars (17.45 ~mu~textrmmolm-2~textrms-1 ). In small seed and narrow leaflet cultivars, stomatal conductance ranged from 0.14 to 0.15 ~mu~textrmmolm-2~textrms-1 , while ~textrmCO2 assimilation ranged from 19 to 20 ~mu~textrmmolm-2~textrms-1 .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losely related to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저자
  • 이강세(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전병무(연변대학 장백산 천연자원보호.개발연구원)
  • 김영진(호남농업시험장)
  • 국용인(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박호기(호남농업시험장)
  • 박문수(호남농업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