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물학적 형질과 RAPD에 의한 찰벼 수집종의 유전적 다양성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of Glutinous Rice Collections Based on Agronomic Traits and RAP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7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국내~cdot 외 찰벼 111개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수량구성요소, 아밀로스 함량, 알칼리 붕괴도등 작물학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에 기초하여 품종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물학적 형질을 이용한 군집분석에서 찰벼 유전자원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1군에는 51종(46~%) 이 차지하였으며, II군과 III군에 각각 25종(22.5~%) , IV군에는 10종(9~%) 이 속하였다. 특히 국내 수집종은 I, II군에 대다수 포함되었고, III군에는 indica 유전자원과 amylose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2. RAPD분석을 통해 선발된 15개의 primer로 부터 117개의 밴드를 얻었고, 이 중 다형성 밴드는 81개 (69.2~%) 였다.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의 수는 5~~12 개로 찰벼 유전자원은 평균 7.8개 였다. 3.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시 9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유전자원의 77~% 가 I군에 속하여 가장 큰 품종군으로 분류되었고, 그 외 II-IX군은 소군으로서 23~% 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indica형과 조생종들이 많았고, 소군인 III-IX군에는 국내수집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었다.

One hundred eleven glutinous rice collections from seven countries were evaluated for genetic diversity based on agronomic traits and RAPD analysis. Twelve agronomic traits including yield components amy-lose content, alkali digest value were used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glutinous rice collections. Glutinous rice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nd early maturings Korean landraces and high amylose indica belonged to group I with RAPD analysis, 15 primers selected for polymorphic bands generated 117 bands and 81 bands (69.2~%) showed polymorphism. The number of amplified bands per primer ranged from 5 to 11, with the average number of bands of 7.8. With the similarity value of 0.78 in dendrogram derived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RAPDs, glutinous rice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9 groups. Seventy-seven percent of the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group I that is the largest one, while the others (23~%) were distributed to group Il-IX. Group I included most indica type rices and early ripening collections, while the small groups of III-IX included most of the Korean collections.

저자
  • 김국환(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홍식(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석영(농업생명공학원)
  • 정봉환(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송범헌(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조용구(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