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에서 콩 재배시 보릿짚 시용과 경운방법에 따른 토양 물리성과 수량 KCI 등재

Effects of Barley Straw Application and Tillage Method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Soybean Yield in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보리 후작 평야지 논에서 콩 안전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보릿짚 시용 후 무경운, 경운로타리 등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릿짚 시용으로 경운 유무에 관계없이 토양 중 유기물함량, 총질소, 인산 및 치환성 양이온 등이 증가하였다. 2. 토양물리성 중 공극과 토양수분함량은 경운로타리 > 로타리 > 경운로타리 후 보릿짚피복 >보릿짚소각 후 경운로타리 > 무경운 순으로 높았다. 3. 보릿짚 분해율은 파종후 30일째까지 빨랐고 그 이후는 서서히 분해되었으며, 얕게 매몰된 무경운이 경운로타리보다 빨리 분해되었고, 잡초발생량은 무경운과 보릿짚 피복에서 관행대비 각각 36%, 40% 억제되었다. 4. 콩의 뿌리활력과 근류형성능 및 콩 개화기의 생육은 무경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5. 수량은 볏짚시용 후 무경운 처리에서 3,070 kg/ha으로 보릿짚 소각한 관행에 비하여 19% 증수되었으나 경운로타리는 관행수준이 었다. 따라서 평야지 논에서 콩 재배시 강우가 잦을 경우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는 토양과습을 더욱 조장하므로 무경운 골 작조 후 재배함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llage methods such as plowing and rotary tillage (PRT), rotary tillage (RTG), no-tillage after barley straw application (NTB), and barley straw mulching after plowing and rotary tillage (BPR)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soybean when cultivated after the cultivation of barley. The method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method in which plowing and rotary tillage after barley straw incineration was applied. Barley straw application resulted in increase in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 regardless of tillage methods. Porosity and moisture level in paddy soil was ranked as follows : PRT > RTG > BPR > control > NTB. Decomposition rate of barley straw dramatically increased to 41.7% toward 30 days after soybean sowing, higher in NTB, DRB, and RTG than in BPR. Weed occurrence was decreased 36% in NTB and 40% in BPR. Root activity, nodulation and the dry weight per plant of soybean at flowering stage were highest in NTB and lowest in PRT. Soybean yield in NTB was 3,070 kg/ha increasing 19%, whereas that in PRT was not increased. Therefore in case of a frequent rain during the cultivation of soybean in paddy field PRT could result in excess moisture level in soil, the cultivation without tillage is desirable.

저자
  • 이상복(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병수(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강종국(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선(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재덕(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