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논ㆍ밭 재배에서 수량예측을 위한 생육과 수량 관련 형질의 비교 KCI 등재

Growth and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of Soybeans for the Estimation of Grain Yield in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이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소흡수량이 같더라도 총영화수와 수량은 연차간에 차이를 보였다.rotease 활성과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0.6 으로 I 군 2.8±1.2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yield of soybean in upland and paddy field condition. Field experiments were done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2005. The evaluated soybean cultivars were Taekwangkong, Daewonkong, and Hwangkeumkong. Soybean seeds were planted by hill seeding with 3-4 seeds and row and hill spacing were 60~times10cm in upland and 60~times15cm in paddy field. Seeds were sown on row (without making ridge) and on the top of ridge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Field parameters were measured yield components (plants/m2 , pod no./plant, and 100-seed weight, seed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stem length, leaf area at each stage, and dry weight of shoot) and after measuring they were compared the relationships with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seed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Seed yield of soybean was affected by cultivars and planting density. Seed yield was higher in upland than paddy field due to the higher planting density in upland field. The upland soybeans generally had lower 100-seed weight than that of paddy field. Seed yield of soybean in a paddy field was greatest in Taekwangkong and followed by Daewonkong and Hwangkeumkong. The harvest index of taekwangkong and Hwanggumkong was higher in upland than paddy field, however, it was higher in paddy field than upland in Daewonkong. Seed yield was greatest in Daewonkong in both experimental fields. The greatest stem length was observed in taekwangkong and Hwanggumkong (R6) in late growth stage in paddy field. Dry weight of shoot and pod, pod number,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higher grown in paddy field than grown in upland. Crop growth rate (CGR) of cultivars was higher in paddy field after 8 WAS(weeks after sowing) and it was greatest at 13 WAS in Daewonkong among the cultivars. In upland field, CGR was greatest in Taekwangkong and then followed by Daewonkong and Hwanggumkong during 12 and 15 WA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100-seed weight and seed yield in both experimental field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ed number and seed yiel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were about 0.8 during the whole growth stage except 5 WAS and 4-5 WAS in paddy field and upland,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done just one year and drained paddy field condition was not satisfied drained condition successfully at 7th leaf age of soybean by the heavy rain, so we suggest that the excessive soil water reduced seed yield in paddy field and the weather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utilizing of these results.

저자
  • 조영손(작물과학원)
  • 박호기(작물과학원)
  • 김욱한(작물과학원)
  • 김석동(작물과학원)
  • 서종호(작물과학원)
  • 신진철(작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