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탈곡 시 종자 수분함량과 탈곡방법에 따른 종자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Shelled at Different Seed Moisture and Threshing Method Cond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높일 수 있는 탈곡방법을 알기 위하여 단옥수수(EarlySunglow×GCB70 )와 초당옥수수(Xtrasweet82×Fortune ) 종자의 수분함량을 12, 15, 18, 21%로 건조한 후 손과 전기 탈곡기로 탈곡하여 25℃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 및 전해질 누출, α-amylase 활성 등 종자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 탈곡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기계적 상처가 없었으나 기계 탈곡할 때 종자의 상처를 줄일 수 있는 수분함량은 단옥수수는 15~21% , 초당옥수수는 12~21% 이었다. 2.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손 탈곡한 종자가 기계 탈곡한 종자보다 단옥수수는 6~14% , 초당옥수수는 9~18% 높았다. 3. 단옥수수는 25℃ 발아율과 cold test 출아율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초당옥수수는 관계가 없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침종 시 당 누출과는 부의 상관, α-amylase 활성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기계 탈곡 시 25℃ 에서 상처립 비율,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과 전해질 누출량, α-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

Characteristics of sweet (sugary, su) and super sweet (shrunken-2, sh2) corn seeds shelled by different threshing methods at different moisture content status were studied. Hybrid seeds of a su (Early Sunglow ~times Golden Cross Bantam 70, GCB 70) and a sh2 (Xtrasweet 82 ~times Fortune) were dried to moisture content of 12, 15, 18, and 21%. Hand shelling did not give any mechanical damages to seeds, while an electrical corn thresher gave some visible mechanical damages. The emergence rate of hand shelled seeds was higher than that of machine shelled seeds by 6~14% for a su and by 9~18% for a sh2 hybrid depending on seed moisture contents in cold test. The optimum seed moisture content to reduce mechanical threshing damages and to improve seed quality was 15% for su and 12% for sh2 hybrid seeds. At the optimum seed moisture contents, germination rate at 25~circC , emergence rate in the cold test and α-amylase activity were highest, while the percentage of damaged seeds an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in soaking water were minimized.

저자
  • 이석순(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생물자원학부)
  • 윤상희(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생물자원학부)
  • 양승규(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생물자원학부)
  • 홍승범(아시아대학교 한약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