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 적변유기에 대한 폴리페놀과 Polyphenol Oxidase의 잠재적 역할 KCI 등재

Potential Role of Polyphenolics and Polyphenol Oxidase on the Induction of Browning in Ginseng Roo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적변 유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적변삼과 polyphenol 및 polyphenol oxidase 활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1. 적변 유발 균주를 상처낸 건전 인삼 외피에 접종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접종일수의 증가에 따라 Hue angle값이 접종 후 1일 101.2, 10일 95.9, 20일 90.1, 30일 60.9로 적색으로 변화되었다. 2. Lysobacter gummosus, Pseudomonas veronii 및 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를 인삼의 상처부위에 접종하였을 때, 총페놀의 함량은 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3. Lysobacter gummosus, Pseudomonas veronii 및 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를 상처낸 인삼에 접종하였을 때 페놀함량의 증가와 함께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단백질당 PPO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polyphenols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on the induction of rusty symptom development in ginseng root. When rusty inducing bacteria were inoculated on fresh ginseng root, the hue value of the inoculated root increased from 101.2 (white yellow) at 1 day after innoculation to 60.9 (brownish red) at 30 days after innoculation. Lysobacter gummosus, Pseudomonas veronii and Agrobacterium tumefaciens enhanced the accumulation of total phenolics. Along with the increase of total phenolics, total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concomitantly increased but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enzyme was not.

저자
  • 임태교(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박홍우(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황용수(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최재을(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